보도자료·칼럼: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발행정보, 내용으로 구성
제목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왕실 문화와 숙종을 면밀히 살펴보는 특별전·기획전 온라인 전시회 개최!
작성자 ntcrNm 등록일 2022-12-05 조회수 244
발행정보 왕실문헌연구실(2022-12-05)
첨부파일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왕실 문화와 숙종을 면밀히 살펴보는

특별전·기획전 온라인 전시회 개최!

 

◇ <특별전: 숙종과 그의 시대>, <기획전: ᄇᆞᆯ긔(발기), 물명으로 읽는 왕실 문화> 온라인 전시회 개최
◇ 숙종 탄신 6주갑(360주년)을 맞이해 2020년부터 2년에 걸쳐 연구한 성과를 바탕으로

숙종 관련 유물 총 51건 전시
◇ ‘조선 왕실 발기 관련 국내 최초 전시’, 총 24건 공개해 왕실 행사에 사용되던 복식과 음식 등

다양한 물명 확인 가능 
◇ 오는 7일부터 ‘장서각 온라인 전시관(ejsg.aks.ac.kr)’ 통해 누구나 무료로 관람 가능 

 

행사 메인 타이틀은 장서각 온라인 전시관이며 기획전시 명칭은 발기 물명으로 읽는 왕실문화이고 특별전시 명칭은 숙종과 그의 시대 입니다.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 장서각(관장 주영하)은 오는 7일부터 ‘숙종과 그의 시대’<특별전시>와‘ᄇᆞᆯ긔(발기), 물명으로 읽는 왕실 문화’<기획전시>를 온라인을 통해 개최한다. 
○ 이번 전시는 시설 개선을 위해 정비 중인 장서각 전시실의 상황과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온라인 관람 수요의 증가에 맞춰 온라인으로 기획됐다.
   * 발기(發記) : 조선왕실의 각종 의식에 필요한 물명(복식·음식·기명 등)의 목록과 수량을 열거한 문서

 

□ 이번에 개최하는 기획전과 특별전 모두 상당한 의미와 특징을 갖고 있다. 
○ 특별전 ‘숙종과 그의 시대’는 그동안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던 숙종의 업적과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전시로 숙종 탄신 6주갑(360주년)을 맞아 2년간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왕 숙종을 일가의 일원, 왕가의 왕손, 조정의 군사, 국가의 군주로 구분하여 그의 업적과 면모를 확인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 기획전 ‘ᄇᆞᆯ긔, 물명으로 읽는 왕실문화’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왕실 발기류(총 948건)를 소장하고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 대표적이고 주요한 왕실 발기 유물을 선별하여 이번에 국내 최초로 전시하는 것이다.

 

<특별전-‘숙종과 그의 시대’>
□ 특별전 ‘숙종과 그의 시대’는 그동안 영조(조선 제21대 왕)와 정조(조선 제22대 왕)에게 가려져 제대로 조명 받지 못한 숙종(조선 제19대 왕)의 다양한 면모를 부각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전시는 ????대학????에서 강조한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차용해 국왕 숙종을 개인·왕실·조정·국가 총 4부로 구성했으며 51건의 자료를 공개한다.
○ [제1부] ‘일가의 일원, 숙종’에서는 숙종 개인에 초점을 맞춰 현종(조선 제18대 왕)과 명성왕후의 외아들이자 3명의 정비와 6명의 후궁의 남편, 경종‧영조‧연령군의 아버지로서 숙종의 위치를 살폈다. 
○ [제2부] ‘왕가의 왕손, 숙종’에서는 숙종이 원자이자 적장자로서 조선 역사상 가장 강력한 왕권을 행사한 국왕이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왕가의 계통을 바로잡고, 억울한 왕실 인물을 복위시킨 후 이를 반영한 계보를 간행·반포함으로써 왕권은 물론 왕실의 권위를 크게 향상시킨 업적을 정리했다.
○ [제3부] ‘조정의 군사(君師), 숙종’에서는 절대 군주로 즉위한 숙종이 국정 운영의 파트너를 자의적으로 교체하고, 탕평정치를 추구했으며, 대명의리(對明義理)와 같은 시대적 담론을 주도해 국왕이자 조정 신료들의 스승이 되고자 했던 궤적을 추적했다. 
○ 마지막 [제4부] ‘국가의 군주, 숙종’에서는 청과 일본과의 대외관계를 해결하고, 백성을 생각하는 군주로서의 면모에 역점을 뒀다. 5군영 체제 완비와 수도권 방어정책 등을 통한 국가적 안위 담보, 다양한 구휼 정책 추진을 통한 민생 안정 등 양대 전란 후 국가 기강을 회복해 조선 후기 중흥의 발판을 마련한 내용을 조명했다. 

 

<기획전시-‘ᄇᆞᆯ긔, 물명으로 읽는 왕실문화’>
□ 기획전 ‘ᄇᆞᆯ긔, 물명으로 읽는 왕실문화’는 장서각 소장 왕실고문서 왕실발기류 948건 중 가장 대표적인 24건을 소개한다. 이 전시는 왕실 고문서로서 발기의 의미와 그 종류를 파악하고 왕실 의례에 활용되는 복식과 음식 등 다양한 물명을 통해 왕실문화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고, 총 7부로 나누어 구성했다.
○ [제1부] ‘왕실발기의 종류’에서는 1823년에서 1930년 접대발기에 이르기까지 약 100여 년 동안 다양한 왕실의례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복식, 음식, 진상, 차비관, 문구 병풍, 기명 등의 종류를 설명한다.
○ [제2부] ‘출생의례’는 왕실 자손의 출산 전후에 치러지는 일련의 의례를 뜻한다. 해당 의례 진행과정에서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과 사용한 물품 등이 발기에 기록되어 있다. 
-중략-
○ [제7부] ‘상례’는 망자를 장사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의례의 총칭이다. 관련 발기에는 다례상에 올린 음식 목록과 단오나 석가탄신일 등 의례 시에 왕실의 일원들에게 올린 의복에 대한 목록 등이 나타나 있다.

 

-중략-

 

□ 오는 12월 7일부터 진행되는 장서각 온라인 전시는 ‘장서각 온라인 전시관(ejsg.aks.ac.kr)’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전글로 구성
다음글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남아시아의 한국학 연구와 교육 동향 살펴본 영문학술지 발간
이전글 한국학중앙연구원,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로 안전 이상 무!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