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칼럼: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발행정보, 내용으로 구성
제목 (신간안내) 숙종 시대 조선이 경험한 문명의 복잡성과 이중성에 대한 시론
작성자 ntcrNm 등록일 2022-03-24 조회수 367
발행정보 도서출판실(2022-03-24)
첨부파일

숙종 시대 조선이 경험한 문명의 복잡성과 이중성에 대한 시론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숙종 시대 문명의 도전과 지식의 전환』 발간 -

 

 

□ ‘중화(中華)’라는 단일한 문명의 이념과 ’서학(西學)‘이라는 새로운 문명의 자원이 동시에 작동하던 숙종 대 조선의 문화적·정치적·지적 도전의 과정을 다면적으로 살핀 『숙종 시대 문명의 도전과 지식의 전환』(김선희 지음)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에서 발간되었다. 
 ○ 저자 김선희(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는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동서비교철학·한국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서비교철학의 관점에서 16세기 이후 중국에서 이루어진 동서양의 지적 조우와 변용 및 당대 유럽에서 이루어진 역방향의 지적 전환을 연구하고 있는 소장학자이다. 최근에는 이익, 정약용, 최한기 등 조선 유학자들의 철학적 도전을 다각도에서 검토하고 있다.  

 

□ 숙종 시대가 가지는 의미 
 ○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에 해당하는 숙종 시대는 이후 영·정조 시대의 지적 폭발을 예비하기 위한 지적 분화의 시기였다. 또 조선의 정치·경제·학술적 분화와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의 시대로도 평가받는다. 
 ○ 숙종(肅宗, 재위 기간 1674~1720)이 집권했을 때는 정치 세력들이 각 당파로 분화하여 강력한 긴장을 형성하던 시기였다. 숙종은 전면적인 정권 교체를 함으로써 당파 간 긴장을 완화하거나 분쇄하고자 했다. 이때 숙종이 택한 환국(換局)은 붕당 간 경쟁과 긴장을 활용해 왕이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고도의 정치적 전략이었다. 경쟁하는 세력들을 단번에 조정하여 권력을 이동시킴으로써 경쟁하는 신권(臣權)을 견제할 수 있었던 것이다. 
 ○ 숙종은 온화했던 선왕 현종과는 달리, 강력한 문제 해결의 의지로 반대를 돌파할 수 있는 강단 있는 성격의 소유자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그만큼 많은 문제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던 의지적인 인물이라고 볼 수도 있다.
 ○ 숙종은 내적으로는 왕조의 정통성과 왕권의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외적으로는 강희제(康熙帝) 치세의 청으로부터 문화·기술적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 황단, 숙종이 주목한 새로운 정치 공간
 ○ 숙종은 궁궐 안에 멸망한 명(明)을 기리는 제단인 황단(皇壇, 대보단)을 설치함으로써 조선이 문명의 유일한 계승자라는 신호를 발신하고 공표할 장(場)을 마련한다. 이는 언뜻 청에 대한 원망과 명에 대한 존숭으로 보이지만, 숙종은 대보단의 상징성을 명의 유민(遺民)이나 청이 아니라, 오로지 조선 내부에서 경쟁하고 갈등하는 정치 세력들에게 발신했다. 숙종이 원한 것은 청을 향한 복수설치(復讐雪恥)도, 명을 향한 재조지은(再造之恩)도 아닌, 통치의 정당성에 대한 내부적 공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문명의식을 정치 문법으로 구축해 분열과 긴장을 돌파하려 한 것이다. 
 ○ 황단은 문명의 유일한 계승자라는 자임 속에서 이념적으로 극대화된 국가 정체성을 조선 내부에 투사하고 확산하고자 했던 숙종의 정치적 방식과 태도를 선명히 보여준다. 17세기 말 ‘오랑캐’ 청과 완전히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었던 조선은 청을 타자화하면서도 반영하는 이중적 태도를 취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숙종은 청과의 불평등한 관계 속에서도 조선 내부에서 왕권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황단은 그 정통성을 조선 내부로 발신하는 정치 공간이었으며 무엇보다 문명의 승계와 전이를 정당화하는 상징적 우주였다. 

 

□ 새로운 문명의 담지자 서양과 조우하다. 
 ○ 숙종 대는 존주대의(尊周大義) 혹은 대명의리론(大明義理論)으로 대표되는 문명의 유일성이 조선 내부의 정치적·지적 실천을 강력히 규제하던 이념의 시대지만, 동시에 예수회 선교사로부터 들어온 새로운 지식, 서학(西學)으로 인해 중국 이외에 복수(複數)의 문명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경험하기 시작한 분기점이기도 하다. 

 

-중략-

 

□ 자명종과 망원경, 문명의 유일성과 복수성 
 ○ 자명종은 1631년(인조 9) 정두원에 의해서 조선에 처음 들어왔고, 곧 모사본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곧바로 그 기술이 응용되거나 활용된 것은 아니다. 자명종뿐 아니라 천문의기들은 조선의 지적 혹은 기술적 진보를 위한 자원이었다기보다는 문명의 자원, 즉 예악을 흥기하는 도구에 가까웠다.


- 중략 - 

 

□ 이 책은 숙종시대를 상징하는 것으로 황단과 자명종을 들었다. ‘황단’은 왕정의 정통성을, ‘자명종’은 서양 지식의 수렴을 의미한다. 숙종 대 동양과 서양의 이질적인 문명의 만남은 새로운 변화와 지식의 전환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이때의 지적 에너지와 긴장은 이후 영·정조 시대에 지적 폭발이 이루어지는 도화선이 되었다. 이런 점에서 명의 정당성과 청의 실용성 사이에서 숙종 시대가 추구했던 문명의 도전과 지식의 전환을 비교해 살펴본다면, 새로운 각도에서 조선 후기의 역동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전글로 구성
다음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반도 분단과 냉전의 경계를 고찰한 『Korea Journal』 2022년 봄 특집호 발간
이전글 한국학중앙연구원, 종로구 소녀상을 중심으로 한 풍경 탐색 논문 등 총 다섯 편의 연구논문을 담은『한국학』발간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