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칼럼: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발행정보, 내용으로 구성
제목 한국학중앙연구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13만여 명』공개 !
작성자 ntcrNm 등록일 2021-10-01 조회수 357
발행정보 한국학정보화실(2021-09-02)
첨부파일

한국학중앙연구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13만여 명』공개 !

 

◇ 근대 학교 졸업자들에 대한 기초 연구의 출발

◇ 현대 한국 엘리트들 사이에 연관성 추적의 실마리 제공!

◇ 대부분의 학교에서 조선인보다 일본인 재학생이 압도적으로 많음을 확인

◇ 평양의 숭실학교, 경성의 보성전문학교 등 일부 사립학교는 조선학생들의 절대다수 차지

◇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누리집 통해 누구나 무료로 자료 열람 가능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를 구축하여 연구자 및 일반국민에게 공개한다고 밝혔다.

 

□ 이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한국교원대학교 이용기 교수 연구팀에 2016년부터 3년간 연구비를 지원하여 정리한 것으로, 대한제국기 고등정도학교 9개교와 일제시기 중등․고등교육기관 348개교에 다녔을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인 ‘학력 엘리트’ 137,031명에 대한 학력정보를 정리한 것이다. 
  ○ 여기에는 일본, 중국, 미국 및 기타 지역의 대학기관으로 유학간 1만 5천 여 명으로 추산되는 한국인 학생들의 학력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 갑오개혁으로 과거제와 신분제가 폐지된 이후 학력사회로의 급속한 변화가 시작되었다. 한말~일제시기 중등·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민족운동, 사회운동의 주도세력으로 성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회 모든 분야와 지역사회의 중심세력으로 활동하였다. 나아가 해방 이후에도 국민국가 수립 및 시민사회 형성, 지역사회 운영에 있어 주도세력이 되었는데, 연구팀은 이들을 ‘학력 엘리트’로 명명하였다.

 

□ 이번에 공개하는 DB 내 당시 학교 현황을 보면,
  ○ 대부분의 학교에서 조선인보다 일본인 재학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 그러나 민족학교로 알려진 평양의 숭실학교, 경성의 보성전문학교 등 일부 사립학교는 조선학생들이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 이런 자료들을 통해 식민통치 시기를 치열하게 살았던 선배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

 

□ 또한, DB에 수록된 인물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 해방정국에서 활약했던 송진우는 메이지대학(明治大學)을 졸업했고
  ○ 초대 법무부장관을 지낸 김병로는 일본대학에서 공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시인으로 잘 알려진 모윤숙은 개성 호수돈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이화여자전문학교를 졸업했음을 동창회원록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 현재는 졸업생 이름과 공부한 학교 및 자료 출처 정도만 정리되었지만, 광범위하게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는 각종 학술문화 공공DB들과 연동되면 근현대 ‘학력 엘리트’ 집단의 학력정보를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기초 데이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이 DB는 당사자가 기록하여 정확성을 확보하고 있는 학교 일람류와 교지․교우회지, 관보 등을 비롯하여 학적부, 학위록, 이력서, 판결문, 신문조서, 졸업앨범, 신문, 잡지 등을 이용하여 구축되었다.

 

□ 안병우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은 “오늘 우리가 누리는 번영은 근대를 살았던 수많은 엘리트들의 피눈물 나는 희생과 지치지 않는 노력의 결실”이며, “이들의 뿌리와 힘의 원천에 학력은 큰 기여를 하였고 이러한 결실은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이 자료의 의의를 강조하였다.

 

□ 이 자료들은 현재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waks.aks.ac.kr)> 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 홈페이지 : http://waks.aks.ac.kr/site/elite
  ※ 이용방법 :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누리집 검색창에서 ‘엘리트’ 입력 → 하단 ‘연구과제’ 클릭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홈페이지’ 클릭 → ‘자료보기’ 클릭  

 

□ 연구참여자 소개
  ○ 연구책임자 : 이용기 (한국교원대학교)
  ○ 공동연구원 : 강명숙 (배재대학교)
  ○ 공동연구원 : 김광식 (숭실대학교)
  ○ 공동연구원 : 박진영 (연세대학교)
  ○ 공동연구원 : 심희찬 (立命館大學 (Ritsumeikan University))
  ○ 공동연구원 : 정준영 (서울대학교)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전글로 구성
다음글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인이 중국에 남긴 역사와 자취를 금석문으로 밝히다
이전글 2021년 8월 관련 보도자료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