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에서는 2025년 4차 <제193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을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해외한국학 콜로키움'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십'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한국학 관련 연구를 수행 중인 해외 연구자들이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학술 교류의 장입니다.
이번 콜로키움은 2025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십 수혜자들의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하였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5년도 4차 <제193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개최 내역
1. 일시: 2025. 8. 27.(수), 10:00 ~ 12:00
2. 장소: 문형관 대회의실(B107호)
3. 발표 내역
발 표 자 |
에드 풀포드(Ed Pulford) |
소속•직위 |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교수 |
발표 언어 |
영어 |
발표 주제 |
‘글로벌 차이나’ 시대 조선족의 정체성과 기회
(Identity and Opportunity Among the Joseonjok in the Age of ‘Global China’)
|
발표 내용 |
Based on ethnographic and text-based research carried out in Seoul, this presentation discusses preliminary findings from a project focused on how the Chinese-Korean Joseonjok(조선족; 朝鮮族) community navigates contemporary realities at multiple scales. Socioeconomic change in localities such as Daerim-dong and Garibong-dong accompany wider political and societal shifts across Korea, and – at the international level – changing relations between Seoul and Beijing. All these shape senses of identity and opportunity among the Joseonjok, whose transnational lives are among several cases which this project seeks to investigate on a wider ‘global China' canvas.
|
발 표 자 |
전월매(Tuemei Tian) |
소속•직위 |
중국 천진사범대학교 교수 |
발표 언어 |
한국어 |
발표 주제 |
영선사 김윤식 작품 속의 근대 천진의 문학지리학
(The Literary Geography of Modern Tianjin in the Works of Youngseonsa Kim Yoon-sik)
|
발표 내용 |
1881년 운양(雲養) 김윤식(金允植)은 영선사로 學徒와 工匠 69명을 이끌고 중국 천진으로 향하였으며 거기에서 거의 1년간 체류한다. 그의 천진 관련 작품인 <영선일기>, <천진담초>, <운양집>, <속음청사> 등을 대상으로 근대 천진 도시의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을 통한 천진 도시가 가지는 문학경관, 전통적인 동아시아 세계 질서가 해체되는 격변기에 조선인의 중국에 대한 인식과 그 내면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
4. 문의: 해외한국학지원실(031-739-9712, fellowship@aks.ac.kr)
※ 발표 후 질의응답이 있을 예정입니다.
※ 콜로키움 종료 후 인근 식당에서 점심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 참석을 원하시는 분은 사전 연락을 부탁드립니다 (이메일 fellowship@aks.ac.kr).
붙임. 제193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포스터 1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