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상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제목 비교문화연구소 제7회 <해외한국학자 초청강연> 콜로키움 개최 안내
작성자 비교문화연구소 등록일 2022-11-08 조회수 893

비교문화연구소에서는 2022년 <해외한국학자 초청강연> 제7회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연구원 안팎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비교문화연구소  The Center for Cross-Cultural Studi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AKS) 11월 해외 한국학자 초청 강연  Special Guest Lectures on Korean Studies from Invited Foreign Scholars  조선시대 내수면환경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다: 강배, 민물고기와 더불어 Study on the Inland water surface conditions, and Humans’ relation with them during the Joseon period: Focusing on River boats and Freshwater fishes 모리히라 마사히코森平雅彦  큐슈대학교 MorihiraMasahiko, Kyushu University, Japan  본 강연은 비대면(ZOOM)으로 진행됩니다.  2022년 11월 10일(목) 오후 2:00 ZOOM아이디 | 912 3272 5370(비밀번호0000) 문의처 |crosscultural.aks@gmail.com

 

해외 한국학자 초청강연 제7회 한국학중앙연구원 비교문화연구소  안녕하십니까? 한국학중앙연구원 비교문화연구소에서는 2022년 <해외한국학자 초청강연> 시리즈 제7회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강연제목 | 조선시대 내수면환경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다: 강배, 민물고기와 더불어  강연자 | 모리히라마사히코森平雅彦큐슈대학교 강연일시 | 2022년 11월 10일(목) 14:00  본 강연은 비대면(ZOOM)으로 진행됩니다.  ZOOM 회의방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Zoom ID |  912 3272 5370 본 강연의 줌 링크가 필요하신 분께서는  아래 메일(crosscultural.aks@gmail.com)로 문의 바랍니다.   강연요지 본 강연에서는 한강, 낙동강 등 한국의 주요 강을 비롯한 현장을 탐방하며 조선시대의 상황에 대해 얻은 이해를 공유하고, 강 배의 운항 실태, 민물고기의 이용 양상, 고기잡이를 둘러싸고 지역사회에서 생긴 갈등 등을 살펴본다.

 

Special Guest Lectures on Korean Studies from Invited Foreign Scholars The Center for Cross-Cultural Studi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AKS) 한국학중앙연구원 비교문화연구소  Greetings,  The Center for Cross-Cultural Studi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AKS)hosts the 7th Colloquium in the <Special Guest Lectures on Korean Studies from Invited Foreign Scholars>  Series 2022.  Title |  Study on the Inland water surface conditions, and Humans’ relation with them during the Joseon period: Focusing on River boats and Freshwater fishes Lecturer  |  Morihira Masahiko(森平雅彦), Kyushu University, Japan Date |  November 10th (Thurs.), 2022, PM 02:00  This lecture is delivered online (ZOOM) ZOOM (ID: 912 3272 5370). Anyone in need of a direct link for the ZOOM conference, please contact crosscultural.aks@gmail.com.  Abstract In this lecture, major Korean rivers such as Han-gangand Nakdong-gang, and how they were during the Joseon period, will be examined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in the lecturer’s own field studies. Also discussed will be various issues such as river boat transportation, consumption of freshwater fishes and local conflicts over fishery, etc.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전글로 구성
다음글 본원 '진·변한지역 초기 목관묘문화기의 물질문화와 네트워크-토기, 청동기, 철기를 중심으로- 결과발표회 겸 학술회의' 개최 안내
이전글 장서각 고문서 학술대회 개최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