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연구소 연속 콜로키엄 안내
근현대 한국학의 쟁점과 전망 : 연속 콜로키엄
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연구소에서는 식민지, 냉전 그리고 1990년대 신자유주의 이후 급속하게 변해온 근현대 한국학과 한국의 사회 문화 그리고 지식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및 쟁점을 다양하게 공유하고, 이후 근현대 한국학 분야의 공동기획연구로 필요한 연구주제 및 영역에 대한 논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근현대 한국학의 쟁점과 전망>이란 주제로 6월부터 9월까지 총 12회에 걸친 연속 콜로키엄을 개최하고자 합니다.
일시 : 매주 화요일 오후 3:00~5:00(9월 개강 이후 콜로키엄은 조정 예정)
모든 발표는 온라인(zoom)으로 진행됩니다. 사전 신청은 아래 메일로 연락을 부탁드립니다(kimwon@aks.ac.kr).
1회 6.29
김건우(대전대, 국문학), 정준영(서울대, 사회학) : 해방후 연구자가 묻고 일제시기 연구자가 답하다 - 한국의 기원, 1930년대
2회 7.6
이승일(강릉원주대, 역사학) : 한국근대 민사판결문 국역본 출간의 의미
3회 7.13
양승훈(경남대, 사회학) 산업도시와 공단의 변화
4회 7.20
강성현(성공회대, 사회학) 트랜스내셔날 아카이브의 조사연구 방법: 냉전, 탈식민주의 그리고 한국학
5회 7.27
김관욱(덕성여대, 인류학) 신자유주의 이후 감정노동과 몸
6회 8.3
조동원(카이스트, 문화연구) 디지털 기술과 현대 한국의 얽힘, 한국 디지털문화사 연구
7회 8.10
김주희(덕성여대, 여성학) 페미니즘 대중화 이후 여성주의 연구의 쟁점
8회 8.17
한순미(조선대, 국문학) 재난인문학 연구의 초점과 방향
9회 8.24
홍성수(숙명여대, 법학) 한국 사회 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공감
10회 8.31
이승철(서울대, 인류학) : 신자유주의 금융화 이후 일상과 문화의 변화
11회 9. 7
허지향(리츠메이칸대, 역사학) : 식민지에서 서양철학이란 무엇인가
12회 9.14
홍정완(연세대, 역사학) : 현대 한국 사회과학의 기원과 근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