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왕실문헌연구실에서는 한국학 확산과 장서각의 대중화를 위하여 장서각 열린수장고 프로그램을 매년 진행해왔습니다. 장서각 열린수장고는 장서각에 소장된 다양한 문헌을 전문연구자가 소개하고 직접 열람하면서 해당 자료의 특징과 가치를 함께 살펴보는 온라인 콜로키움입니다.
올해 장서각 열린수장고는 기존 온라인 줌을 활용한 실시간 발표에서 장서각 유튜브를 통한 온라인 서비스 방식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수준 높은 발표를 고품질의 영상으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새롭게 개편한 “2025년 장서각 열린수장고”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겠습니다.(문의: 031-730-8815)
《2025년 장서각 열린수장고 개편안》
∙ 주 제: 장서각 고문헌의 가치와 활용
∙ 발표시기: 2025년 4월 ~ 11월, 매월 둘째 주 화요일 오전 10시(총 8회)
∙ 발표방식: 장서각 유튜브를 통한 온라인 발표 및 자료 열람 영상 서비스
▷ 커뮤니티창(댓글창)을 통한 질의•응답•고객만족도설문조사(링크)
∙ 온라인서비스: 발표 영상 개시일 ~ 2025년 열린수장고 종료 시
∙ 참여대상: 국내외 한국학 관련 연구자 및 일반인
∙ 참여방법: 발표일 오전 10시 해당 회차 영상 URL주소 공지(연구원 게시판) 및 문자 메일 안내
▷ 링크 접속 후 자유롭게 시청 - 댓글창에 질의시 발표자 확인 후 답변(1-2일 소요)
∙ 세부 발표 일정(발표 일정 및 주제는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표; 회차, 날짜, 발표자, 주제로 구성되어 있음
| 회차 |
날짜(예정) |
발표자 |
주제 |
| 49회 |
4월 15일 |
홍현성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
조선왕실이 애독한 고전소설 |
| 50회 |
5월 13일 |
김유진 (장서각, 정연구원) |
『황명통기집요(皇明通紀輯要)』 : 영조의 조선 왕실 계통 재정립 |
| 51회 |
6월 10일 |
박진성 (장서각, 정연구원) |
하나의 표류사건, 두 종의 표해록 - 양지회의 『표해록』과 최두찬의 『승사록』 - |
| 52회 |
7월 8일 |
박철민 (장서각, 연구원) |
장서각 소장 『엄산일기(嚴山日記)』: 현전 최고(最高)의 서울 중심 생활일기 |
| 53회 |
8월 12일 |
김덕수 (장서각, 책임연구원) |
합격의 영광, 삼일유가(三日遊歌) |
| 54회 |
9월 9일 |
박부자 (성신여대, 교수) |
서파 유희의 『물명고(物名考)』 가치와 활용 |
| 55회 |
10월 14일 |
이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왕실 의례의 근대적 변용 : 관례와 성년식 사이에서 |
| 56회 |
11월 11일 |
김바로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AI의 시선으로 본 한국역사인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