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학도서관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
홈
종합정보시스템
웹메일서비스
사이트맵
LANGUAGE
ENGLISH
CEFIA ENGLISH
CEFIA JAPANESE
CEFIA CHINESE
CEFIA SPANISH
CEFIA RUSSIAN
CEFIA FRENCH
통합검색
검색
검색 닫기
전체메뉴
검색
프린트
SNS 공유 열기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
소개
연혁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신뢰를 받고 있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 최초로 한국 문화를 집대성한 대백과사전입니다.
1980년 이후 한국학 연구 장기 프로젝트의 결과로 탄생한 대백과사전입니다.
한국 문화에 대한 가장 권위 있는 지식 정보를 담고 있는 대백과사전입니다.
한국학 각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이 집필한 대백과사전입니다.
‘웃음’, ‘한(恨)’, ‘귀신’ 등 우리문화의 심층을 이해할 수 있는 대백과사전입니다.
시대 요청에 부응하는 사전으로 거듭나기 위해 개정 증보를 멈추지 않는 대백과사전입니다.
http://encykorea.aks.ac.kr/
1980 ~ 1989
1980. 0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 사업 시작
1980~1991
학자 3천8백여 명 참여, 총6만 5천 항목 42만매 원고 및 4천여 종 도판 확보
1990 ~ 1999
1991.12
초판본 발간(총 27권, 본책 25권/부록 2권)
1992.10
세종문화상 학술부문 수상
1995.12
보유편 제1권 간행(제28권)
1995~1997
사전 내용을 토대로 <한국사정보DB>, <향토문화정보DB>, <한국인물DB> 개발
1996~2001
제1차 개정증보 사업 진행
2000 ~ 2009
2001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CD-ROM 6장, DVD 1장) 발매
2007
엠파스(www.empas.com)를 통한 백과사전 서비스 개시
2007
제2차 개정 증보 사업 시작
2009
네이트(www.nate.com)를 통한 백과사전 서비스 개시
2010 ~ 2019
2011
네이버 지식백과를 통한 백과사전 서비스 시작
20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홈페이지 오픈
2013
다음 백과를 통한 백과사전 서비스 시작
2013
네이트(www.nate.com)를 통한 백과사전 서비스 종료
2017
제2차 개정 증보 사업 종료
2018
지속 편찬 사업 시작
2019
3.1운동 100주년 기념 '독립운동' 관련 항목 개발
TOP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