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신뢰를 받고 있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 한국 최초로 한국 문화를 집대성한 대백과사전입니다.
- 1980년 이후 한국학 연구 장기 프로젝트의 결과로 탄생한 대백과사전입니다.
- 한국 문화에 대한 가장 권위 있는 지식 정보를 담고 있는 대백과사전입니다.
- 한국학 각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이 집필한 대백과사전입니다.
- ‘웃음’, ‘한(恨)’, ‘귀신’ 등 우리문화의 심층을 이해할 수 있는 대백과사전입니다.
- 시대 요청에 부응하는 사전으로 거듭나기 위해 개정 증보를 멈추지 않는 대백과사전입니다.
1980 ~ 1989
- 1980. 0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 사업 시작
- 1980~1991 학자 3천8백여 명 참여, 총6만 5천 항목 42만매 원고 및 4천여 종 도판 확보
1990 ~ 1999
- 1991.12 초판본 발간(총 27권, 본책 25권/부록 2권)
- 1992.10 세종문화상 학술부문 수상
- 1995.12 보유편 제1권 간행(제28권)
- 1995~1997 사전 내용을 토대로 <한국사정보DB>, <향토문화정보DB>, <한국인물DB> 개발
- 1996~2001 제1차 개정증보 사업 진행
2000 ~ 2009
- 2001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CD-ROM 6장, DVD 1장) 발매
- 2007 엠파스(www.empas.com)를 통한 백과사전 서비스 개시
- 2007 제2차 개정 증보 사업 시작
- 2009 네이트(www.nate.com)를 통한 백과사전 서비스 개시
2010 ~ 2019
- 2011 네이버 지식백과를 통한 백과사전 서비스 시작
- 20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홈페이지 오픈
- 2013 다음 백과를 통한 백과사전 서비스 시작
- 2013 네이트(www.nate.com)를 통한 백과사전 서비스 종료
- 2017 제2차 개정 증보 사업 종료
- 2018 지속 편찬 사업 시작
- 2019 3.1운동 100주년 기념 '독립운동' 관련 항목 개발
관리부서한국학사전편찬부
담당자백과사전편찬실 (031-739-9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