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보유하고 있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을 소개하고, 현재 한반도 내에 남아 있거나 혹은 한민족에 의해 창조된 문화적 흔적으로서 유네스코에 등재된 19점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외국인들에게 총체적으로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19점의 문화유산, 기록유산, 무형유산은 선사시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반만년의 대한민국의 역사를 균형 있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깊이 있는 역사적 관점에서의 집필과 적절한 사진을 활용함으로써 한국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역사와 문화가 지닌 독특성이나 우수성을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습니다. 2014년 개정판은 2010년에 발간된 초판의 내용을 보완하고, 부록으로 WORLD HERITAGE MAP을 추가하여 한국의 유산을 지도로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본문 곳곳에 QR코드를 추가하여 유물 유적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기기로 바로 찾아보는 편리와 재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수도인 서울의 탄생부터 현재의 메가시티로의 발전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서울의 역사, 문화에 관한 내용도 함께 담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에 대해 논의된 많은 보고서와 책자, 세미나 등을 통해 발표된 자료를 근거로 서울에 대한 객관화된 정보를 제공하고, 서울의 역사·문화·도시 개발과 재개발·외국의 타 대도시와 구별되는 현재의 서울의 특징 등 서울의 다양한 모습을 담아내어 세계인들이 균형 잡힌 시선으로 서울이란 도시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전통’과 ‘근대성’의 견지에서 철학과 교육, 가족, 사회 윤리, 정치 리더십, 국가 정체성, 제의, 정신문화와 관련된 한국 유교의 다양한 측면들을 논의합니다. 서로 유기적인 1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자적 형식으로 쓰였지만, 대학 교수와 학생, 교사와 사서, 교육 기관과 공무원, 일반 독자를 포함한 폭넓은 독자들을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한국과 다른 지역의 유교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인쇄문화의 출현과 발달과정을 비롯하여 목판인쇄, 활자인쇄에 관한 자세한 내용과 세계 기록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에 관한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금속활자와 관련하여 활자의 주조과정 등을 사진과 삽화를 통해 알기 쉽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책은 한국문화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넓혀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서지학적 관점에서 쓰였기 때문에 한국의 서지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도 유용합니다.
우리 고유의 문자인 한글이 주변국 중국과 일본의 문자와 어떻게 다른지, 어떻게 창제되었고 오늘날에 이르고 있는지 알기 쉽게 상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국 문화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언어학적인 관점으로 쓰였기 때문에 한국어 및 한국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도 유용합니다.
인포코리아(Infokorea)는 외국의 교과서 제작진과 교사 등 한국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을 위해 개발된 한국 소개 잡지입니다. 인포코리아는 외국의 교과서 저자나 편집자들이 교과서 제작에 참고할 수 있고, 교사들이 수업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관련 최신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인포코리아는 한국의 문화, 사회, 역사, 경제 관련 주제를 특집으로 제공합니다.
인포코리아(Infokorea)는 교사와 교과서 개발자와 다른 교육자를 비롯한 외국의 독자들을 위해 개발된 한국 소개 잡지입니다. 이 잡지는 외국의 교과서 저자나 편집자들이 참고할 수 있고, 교실에서 수업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관련 최신 일반 통계와 교육 통계(2013년 호에는 “남한의 유아 및 초등 교육”)를 제공합니다. 또한 한국의 문화, 사회, 역사 관련 주제를 특집으로 제공합니다. 2013년 호의 주제는 한국의 문학이며, 한 편의 아티클 “한국의 고전문학 개관”을 실었습니다. [ Contents ] ● Statistics 1. Land and Climate 2. Population 3. Labor 4. Prices and Household Economy 5. National Account 6. Manufacturing 7. Construction and Energy 8. Culture and Tourism 9.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s 10. Foreign Trade 11. Public Finance and Financial Institutions 12. Health and Welfare 13. Environment ● Focus An Understanding of Pre-primary and Primary Education in South Korea ● Feature A Concise Outline of Old Korean Literature ● Lesson 1. Teaching with A Single Shard 2. Echoes of the White Giraffe: A Study Guide to Sook Nyul Choi’s Novel
대한민국이 보유하고 있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을 소개하고, 현재 한반도 내에 남아 있거나 혹은 한민족에 의해 창조된 문화적 흔적으로서 유네스코에 등재된 19점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외국인들에게 총체적으로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19점의 문화유산, 기록유산, 무형유산은 선사시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반만년의 대한민국의 역사를 균형 있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깊이 있는 역사적 관점에서의 집필과 적절한 사진을 활용함으로써 한국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역사와 문화가 지닌 독특성이나 우수성을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습니다.
인포코리아(Infokorea)는 외국의 교과서 제작진과 교사 등 한국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을 위해 개발된 한국 소개 잡지입니다. 인포코리아는 외국의 교과서 저자나 편집자들이 교과서 제작에 참고할 수 있고, 교사들이 수업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관련 최신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인포코리아는 한국의 문화, 사회, 역사 관련 주제를 특집으로 제공합니다. 2012년 호의 주제는 한국 경제이며, 세 편의 아티클 “한국의 산업의 전환, Industrious 혁명에서 Industrial 혁명으로”, “남한의 경제 성장”과 “다시 생각하는 한강의 기적”을 실었습니다. [ Contents ] ● Statistics 1. Land and Climate 2. Population 3. Labor 4. Prices and Household Economy 5. National Account 6. Construction and Energy 7.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s 8. Foreign Trade and Balance of Payments 9. Public Finance 10. Health and Welfare 11. Environment 12. Education and R&D 13. Culture and Tourism ● Focus Korean Industry Transformed from Industrious Revolution to Industrial Revolution Underpinning Innovation : A Statistical Understanding of Korean Industry ● Feature 1. The Economic Growth of South Korea 2. Rethinking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 On the Road to Successful Laissez-faire Market Economies ● Lesson Miracle on the Han River
인포코리아(Infokorea)는 교사와 교과서 개발자와 다른 교육자를 비롯한 외국의 독자들을 위해 개발된 한국 소개 잡지입니다. 이 잡지는 외국의 교과서 저자나 편집자들이 참고할 수 있고, 교실에서 수업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관련 최신 일반 통계와 교육 통계(2011년 호에는 “통계로 본 한국의 교육”)를 제공합니다. 또한 한국의 문화, 사회, 역사 관련 주제를 특집으로 제공합니다. 2011년 호의 주제는 일본의 한국 강제 병합이며, 두 편의 아티클 “1910년 일본의 한국 강제 병합”과 “용서하되 잊지 않기”를 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