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 서고 봉모당의 건립과 운영
  • 저자 김문식·이근호·강문식·정정남·옥영정·안장리·이완우·성인근·장을연·서준
  • 발행일 2019-12-30
  • 판형 신국판
  • 쪽수 408쪽
  • ISBN 979-11-5866-606-4
  • 정가 18,000원
  • 분류 AKS총서  >  장서각 한국사 강의
    역사  >  한국사
  • 구입처 교보문고  

도서 소개

1776년에 영조의 뒤를 이어 즉위한 정조는 규장각을 설치하고 봉모당을 마련하였다. 봉모당은 역대 국왕의 어제와 어필, 왕실 계보류 등 국왕 관련 자료들을 봉안하여 관리하던 장소로 조선 국왕들의 의지와 지혜를 살필 수 있는 곳이다. 이 책은 역사학, 건축학, 서지학, 문학 등 여러 학문 영역에서 봉모당과 봉모당 소장 자료를 다각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담았다.
강력한 지도력을 행사한 숙종, 경종, 영조, 정조가 편찬한 왕실자료를 봉모당 설치 이후 수집, 보관하는 과정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봉모당의 역사적 의미와 특징을 고찰하였다. 봉모당 봉장 목록에 수록된 당대 최고 수준의 문헌들을 소장한 내력과 현재의 소장처를 일일이 밝혔다. 봉모당 소장 어필, 책문과 석각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조선시대와 대한제국기에 사용된 국새와 어보를 망라하고 있는 인신 목록을 살폈다. 역대 국왕 중 가장 많은 어제를 남긴 영조의 어제를 문집, 열성어제, 간본, 첩본의 네 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국왕과 신하가 함께 통치하는 성리학적 이념에 따라 설계된 조선은 그들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국왕에게도 하나의 완성된 지식인의 모습을 요구했고, 경연을 통해 성군(聖君)이 되기 위한 교육을 받게 했다. 두 번의 큰 전란을 겪은 뒤 조선의 국왕은 어떤 고민과 노력을 하였으며, 그것이 현재 어떻게 남아 있는지 봉모당의 자료를 통해 읽어 볼 수 있다.

저자 소개

김문식,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근호,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강문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관
정정남,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강사
옥영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안장리,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완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성인근, 경기대학교 초빙교수
장을연,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
서준, 전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학예연구사

목차

18세기 국왕의 왕실자료 편찬과 봉모당/김문식
18세기 어제‧어필의 간행 및 수집/이근호
정조 대 봉모당 운영과 장서 관리/강문식
봉모당의 창덕궁 내 위치와 건축적 변화/정정남
봉모당 서적 관리와 서목/옥영정
영조어제의 봉모당 소장 양상/안장리
봉모당 초기의 어필류/이완우
봉모당 봉안 국새와 어보-????봉모당책보인신목록????을 중심으로/성인근
봉모당 봉안 책문의 현전본 고찰/장을연
봉모당 소장 석각의 현황과 내용/서준

서평 및 출판사 리뷰

This book presents the writers' research on the archived books and materials at Bongmodang and its' operation.

 

In 1776, King Jeongjo was enthroned after King Yeongjo passed away, and in the same year, King Jeongjo founded Gyujanggak, the royal library, and built Bongmodang, a repository for the writings and calligraphies of kings, the books of genealogy of the royal family members, and documents related to state affairs. Joseon was a country designed to be ruled by a monarch and court officials under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and the realization of their ideals necessitated that a king must be a near perfect intellectual. For a king to become such a sagacious ruler, he must be educated by attending and learning from tutorial sessions. Before King Jeongjo was enthroned, the country had undergone two terrible wars, and by studying the archives at Bongmodong, one can see the efforts of King Jeongjo as he tried to restore law and peace. 《Building and Operating Bongmodang the Royal Repository》 presents research conducted on the archives at Bongmodong in different areas including history, architecture, bibliography, and literature. 
Four rulers—Sukjong, Gyeongjong, Yeongjo, and Jeongjo—strengthened the monarchy during their reigns, and the book examines documents concerning the royal family, how the documents were collected during the kings’ reigns, and how they were stored at Bongmodang after its establishment, and thereby the book also examine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Bongmodang. The book includes a list of document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revered writings at the time and which were therefore housed under the roof of Bongmodang, and the book also provides the locations of the documents now. The book categorizes and analyzes the royal writings, the collection of questions and answers from civil examinations, copies of memorial stone writings, and the list of Bongmodong for state seals and royal seals used by kings, queens, and princes used during the Great Korean Empire. Of all the kings of Joseon, King Yeongjo left behind the greatest number of writings, and the book examines them after dividing them into four categories: royal essays, Yeolseong Eoje (royal prose and verses), periodic writings, and writings on scrolls. 

독자리뷰 (0)

등록
왕실 서고 봉모당의 건립과 운영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