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기획과제-2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문화특강』 강좌개설을 위한 기초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순우
공동연구자
  • 권희영 / 본원 / 부교수
  • 한형조 / 본원 / 조교수
  • 임치균 / 본원 / 조교수
  • 은기수 / 본원 / 조교수
연구기간 1997-01-01 ~ 1998-06-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韓國學大學院에 입학하는 석, 박사과정생들을 위하여 한국학에 대한 基礎的이고 原理的理解共有할 수 있는 方法論을 개발하고, 이에 근거해 신규로 개설되는 한국문화특강의 강의 주제와 교수요목을 작성하는 데 있다. 한국문화특강의 강좌개설을 위하여 26에 걸친 同 講座週別 강의 주제를 설정하고, 각 주제에 대한 상세한 교수요목을 작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문화특강이 대학원생들로 하여금 그들의 국학연구에 일정한 학문적 지표와 좌표의 역할을 담당하게 하고, 나아가 한국학대학원이 독특한 학파적 성격을 지니는 것에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강의 주제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고 통합되어 과목의 성격이 뚜렷하게 부각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연구배경
   본 연구는 향후 대학원에 設講韓國文化特講의 과목특성을 전체 韓國學과의 연관성 속에서 이해함으로써 그 과목의 특성을 명확하게 하고자 하는 실제적인 목적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편찬될 特講敎材의 선행 예비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참고 문헌으로는 본원 한국학대학원에서 ’9610월에 펴낸 한국학개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한국학에 대해 논의되었던 기존 문헌과 자료들을 광범위하게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및 워크샵 개최

 

연구내용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실시한다. 1부는 강좌개설을 위한 이론적인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2부는 特講에 관한 강의 주제의 설정 및 구체적인 교수요목을 작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논의되어야 할 사항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예상된다.
   가) 한국학의 역사와 그 의미
   나) 외국에서의 自國學연구현황
   다) 미래사회에 있어서의 한국학의 역할과 위상
   라) 한국문화특강의 교육목표
   마) 한국문화특강의 강의주제 및 교수요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한국학의 역사성과 개념의 성립과정
한국학의 새로운 체계정립을 위한 시론
미래의 한국사회와 한국학대학원
세계화와 한국학대학원
한국문화특강의 교육목표

연구결과

   정순우 교수는 한국학의 성립가능성을 전통문화를 현재화하는 이론적 , 타자를 해석하는 고유한 이론모델, 그리고 개화기 이후 조선학의 경우에서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조정 · 통합하는 이론체계라는 세 측면에서 살폈다.
   한형조 교수는 한국학이 점점 쇠약하는 듯했으나 경제의 논리 속에 한국학이 새로운 수요를 전담해야 할 시점이 바로 지금이라고 강조한다.
   권희영 교수는 정보화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이를 자세히 검토한 후 이것이 우리 한국학대학원의 역할과 위상에 어떠한 도전을 주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은기수 교수는 한국학의 학문적 성격을 비교시각에서 이해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미국에서 미국학(American studies)의 발달과 학문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임치균 교수는 강의 요목을 결정하려면 반드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이 지향하고 있는 설립 이념 및 교육 목표와 한국학의 개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