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교육윤리-5
연구과제명
  • 국문 : 재외 민족교육 강화를 위한 사회문화적 한계 극복방안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안귀덕
공동연구자
  • 김신일 / 서울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7-01-01 ~ 1998-02-28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재미동포는 약 180만으로 전체 재외동포의 520만의 34%를 차지한다. 재미한인은 한국인 해외 이민과 유민 가운데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의 한인들에 비하여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한 경우로 꼽힌다. 그러나 이것은 상대적 비교일 뿐 몇 년 전 로스엔젤스 한국인 폭동시에 표출되었듯이 재미 한인들은 아직도 미국사회에 사회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아직 완전히 수용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들이 한국인으로서 긍지를 지키면서 미국사회에 완벽하게 적응하여 성공한 미국시민으로 성장하기에 아직도 남아야 할 난관이 많다. 그 가운데도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난관이 교육이다. 재미동포들이 부딪치고 있는 교육문제는 이중적이다. 하나는 미국사회에 적응하여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데 필요한 교육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인으로서의 민족 정체성을 견지하는 데 필요한 교육문제이다. 이제까지 해외동포교육은 주로 일방적으로 민족 정체성만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한 사회의 주류사회에 적극적으로 진입하는 데 필요한 교육에는 무관심하였다. 그러나 민족 정체성의 견지와 주류사회에의 적응은 마치 별개의 것처럼 보이거나 또는 상호 대립인 듯이 보이지만 사실은 분리될 수 없는 총체적 문제이다. 어느 한쪽만 치중하면 오히려 문제를 야기하기 쉽다. 재미동포의 교육문제는 복잡하고 다중적이므로 다원적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재미한인들은 일견 교육적으로 어느정도 성공을 거듭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2세와 1.5세의 교육문제는 근년에 와서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는 현지의 소리가 높다. 여기에 고교 유학생과 어학연수유학까지 중첩되어 한인청소년들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현지 한인사회는 2세와 1.5세의 교육문제를 한인사회의 최대과제로 꼽는다. 그러나 교육문제는 2세와 1.5세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성인세대도 심각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 성인세대 사이에 현지사회에의 적응과 모국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가지고 있는 수가 적지 않다. 교육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될 문제이다.
   본국정부도 재외 동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책적 관심을 높이고 있다. 교육부의 1996년 재외 동포교육 내실화 사업에는 한글학교 운영비 10억원, LA에 민족교육관 설립 26억원 지원, 민족교육자료 개발 334천권 제작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재외 동포교육에 대한 정책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강화방안과 정책 대안의 모색에 앞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과학적 사실파악이다. 과학적으로 체계적인 실태확인을 위한 기초연구가 시급하나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 연구는 재미한인 사회의 교육문제 실태 인식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단순한 문제조사의 차원이 아니라, 한인사회의 교육적 성장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과 아울러 한인사회가 부딪치고 있는 교육에 관한 사회문화적 제약(constraints)을 밝히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외동포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제공과 함께 재외 한인에 관한 학술적 성과도 축적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연구자 한 명이 1년간 LA에 교환교수로 체류할 것이므로 현지에서 연구를 진행한다. 문헌자료 및 기록문서의 수집 분석과 사회조사 방법을 활용하고 재미한인을 대표할 수 있는 3-4명의 시례에 대한 집중적인 면접을 통하여 작성하는 학습생애사방법을 사용한다. 학습생애사는 학교를 비롯한 각종 교육기관에서의 학습은 물론 교회, 한인들의 모임 등 일상생활 속에서의 학습 그리고 순수한 개별적 지역학습까지를 포함하는 한 개인의 전 생애에 걸친 모든 학습의 궤적을 기술 해석 설명하는 교육연구방법이다.

 

연구내용
   1) 재미 한인사회의 성장과정에 있어서 교육적 역할
   2) 한인의 미국교육에의 적응과정 : 성공과 실패
   3) 재미한인 청소년(1.52)의 교육실태와 문제
   4) 재미한인 기성세대의 교육실태와 문제
   5) 한인 민족교육과 현지적응교육의 통합운영을 위한 교육체계
   6) 재외동포교육정책의 개선방안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장 서론
2장 재외한인의 역사사회적 배경
3장 재미한인의 민족교육 실태
4장 재미한인의 의식적 토대
5장 재미한인의 학습생애
6장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김신일: 1966, "해외 차세대를 위한 민족정체성 교육" 1회 한국학 학술대회 발표논문
               미국 로스엔젤스
김유미: 1988, 미국학교의 한국아이들 서울: 안보기획
손태근: 1988, 재미한국인 교육의 과제와 전망, 서울:한민족
Abellman, Nancy and John Lee, 1955. blue Dreams: korean Americans and the Los Angels riots, Harvard University Press.
Barringer, Herbert and Sung-Nam Cho, 1993.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the 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Golden, John. 1990. "Acculturation, Biculturalism and Marginality: A study of Kore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bilingual Education 14: 93-107
Hurh, Won Moo. 1990, "The '1.5 Generation': A Paradigm of Korean American Pluralism" Korean Culture I: 21-31
Strom, Robert et al, 1987. "Childbearing Dilemmas of Korean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Scienta Pedagogica Experimentals 24: 91-102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