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7-사회민속-3
연구과제명
  • 국문 : 주자의 『가례』에 나타난 사당의 기능(1)
  • 영문 : -
연구책임자 장철수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7-01-01 ~ 1998-12-31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주자학을 지배이념으로 삼은 조선시대의 생활과 사회윤리는 주자(1130-1200)가례를 기준으로 삼아 왔다. 가례에는 모든 일상사를 조상에게 고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러기 위한 공간으로 사당의 건립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당은 일상생활 공간 가운데에서 아주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조상숭배와 사당은 조선시대 이후로 한국의 생활과 의식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친 문화요소의 하나라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러한 사당의 기능에 관해서는 본격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우선 가례에 나타난 사당의 기능을 밝혀, 조상숭배와 사당의 본질을 밝혀, 주자학이라는 지배이념이 일상생활에 끼친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배경
   생활사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생활문화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이론화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연구자는 생활문화의 구성요소인 인간 · 공간 · 시간이 지배이념 · 기술 · 역사적 사건과의 관계에 의해서 기능적으로 변한다는 삼간구성체계를 제시한 바가 있다. 그 가운데에서 연구자는 그동안 우선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지배이념이었던 주자학에 의한 생활문화의 형성과 변화의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서 관혼상제와 사당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이미 한국전통사회의 관혼상제』 『한국의 관혼상제와 같은 단행본을 위시하여 사당의 역사와 위치에 대한 연구」 「경북지역 예서의 저술과 의의」 「주자 가례에 나타난 사당의 구조에 관한 연구등의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 연구가 예서와 사당 자체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이 공간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이용하도록 되어 있는가 하는 의례의 행위측면에 대한 연구로서, 위의 연구들을 보완해 줄 것이다.
   연구자료는 현재까지 주자가례라고 알려진 다음의 3자료를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첫째, 주자(1130-1200)의 정본이라고 전하는 가례, 둘째 성리대전서에 수록된 가례, 셋째 명 구준(1418-1495)에 의해 편찬된 가례의절을 기본 자료로 삼고, 그밖에 우리나라의 예서를 참고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주자의 가례에 나타나 있는 의례절차 가운데에서 사당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밝히고, 그와 함께 다른 의례와의 관계를 밝혀 사당의 기능을 총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연구내용
   주자의 가례에 사당을 반드시 살림공간인 집안에 건립하여, 4대조의 신주를 모시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4대조까지의 조상을 살아 있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당은 집안의 다른 공간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의 어느 부문에서 사당이 언제, 어떻게, , 누구에 의해서 활용되는가에 대한 해명은 바로 유학, 더 좁게는 주자학의 생활관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사당의 활용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앞으로 조선시대의 실제의 일상생활에 대한 연구의 근거를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서 론

2. 가례의 종류와 체제

3. 通禮의 내용

4. 통례에 나타난 祠堂의 기능
   1) 과거의 삶을 보존하는 기능
   2) 가족 구성원의 혼령을 모시는 기능
      (1) 직계 조상의 혼령을 모시는 기능
      (2) 방계 친족의 혼령을 모시는 기능
      (3) 직계 후손의 혼령을 모시는 기능
   3) 죽은 사람의 혼령을 상징하는 신주를 모시는 기능
   4) 神主 배열방식의 통합 기능
   5) 의례장소로서의 기능
      (1) 일상적인 晨謁禮
      (2) 出入時의 의례
      (3) 歲時의 의례
         가. 正朝 · 冬至 · 朔日 參禮의 절차
         나. 望日 참례의 내용
      (4) 俗節의 의례
      (5) 有事時의 의례

5. 결론

연구결과

    1. 우리나라에 알려진 주자 가례3종류이나, 성리대전의 가례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음
    2. 이 책은 4례를 중심으로 한 주자의 가례와는 달리 통례를 새롭게 편차하여 5례체제로 바꾸고 있음
    3. 5례체제는 비일상적인 의례의 내용 가운데에서 일상적인 기능을 중요시한 관점에서 새롭게 등장하였음.
    4. 주자의 가례에 나타난 사당의 기능은 본질적으로 우리나라에서와 같이 조상만이 아니라, ‘죽은 가족 구성원의 신주를 보관하는 공간으로 되어 있음
    5.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받아 들인 사당제도는 주자의 가례의 내용 가운데에서 일부만을 받아 들인 것이라고 할 수 있음
    6. 이러한 점들은 주자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은 조선시대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요망하는 근거가 될 것으로 판단됨

참고문헌

朱熹(1130-1200) [家禮]
[家禮]([性理大全書] 18-21)
丘濬(1418-1495) [家禮儀節]
李縡(1680-1746) [四禮便覽]
黃泌秀 [增補 四禮便覽](1958. 세창서관)

 

고영진, 1989, “15, 16세기 주자가례의 시행과 그 의의한국사론 21
김춘동, 1955. ‘상례고(1)’(고려대 문리논집 1)
김춘동, 1958. ‘상례고(2)’(고려대 문리논집 3)
김춘동, 1970. ‘한국예속사’([한국문화사대계 4].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남상민, 1995. 한국의 예사상과 예학의 역사적 고찰(학예지 4육사육군박물관)
申湜(1551-1623) [家禮諺解](영인본, 홍문각)
안호룡, 1989, 조선전기 상제의 변천과 그 사회적 의미고려대박사논문.
이광규, 1985. [한국인의 일생](형설출판사)
이민수 역, 1975. [관혼상제](을유문고 권 180. 을유문화사)
이을호, 1967. ‘예개념의 변천과정’(대동문화연구 4)
이종수, 1962. [사례정해](신화문화사)
장철수, 1984. [한국전통사회의 관혼상제](한국정신문화연구원)
주영웅, 1985, “가묘의 설립배경과 그 기능역사교육논집 7
지두환, 1982, “조선초기 주자가례의 이해과정한국사론 8
지두환, 1983, “조선전기 묘제에 관한 연구한국문화 4
지두환, 1989, 조선전기 국가의례연구서울대 박사논문.
한동구, 1973. [한국의 관혼장제](국서간행회)
황원구, 1981, “주자 가례의 형성과정인문과학 45연세대.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