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6-교육윤리-4
연구과제명
  • 국문 : 새 시대의 가정 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계학
공동연구자
  • 김재은 / 전 이화여자대학교 / 교수
  • 김광웅 / 숙명여자대학교 / 교수
  • 유가효 / 계명대학교 / 교수
  • 최경순 / 부산여자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6-01-01 ~ 1997-06-30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교육개혁의 시대를 맞아 황폐화한 우리의 가정교육을 전통 가정교육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새시대에 부응하는 가정교육 지침서를 개발할 수 있는 탐색적 연구를 하고자 함.

 

연구배경
   본 연구실에서는 한국인의 전통 가정 교육사상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한국인의 전통 가정 교육사상93년에 출발하였으며 95년에는 재판을 간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21세기를 전망하면서 새시대에 부응하는 가정교육의 지침을 개발하여 황폐화한 우리의 가정교육을 바로 잡으려는 생각에서 아동교육의 전문가들과 협동으로 새시대에 걸맞고 우리의 전통 가정교육의 결에 맞는 새로운 가정교육 지침을 개발하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실에서 연구하여 출발한 한국인의 전통 가정교육사상이 기본적인 참고자료가 될 것이며, 최근에 발표된 아동교육 및 가정교육에 관련한 세미나의 보고서 및 연구보고서가 기본 참고문헌이 된다. 그 밖에 동몽교육에 관련한 전통교재들이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우리의 전통 가정교육의 기반을 두고 있는 유가의 경전들이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위의 연구내용에 관련된 문헌 연구가 주된 연구 방법이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통 가정교육의 사상 및 아동 교육에 관련한 문헌연구 및 현대 아동심리학에 관련된 문헌연구가 주된 연구 방법이 될 것이다.

 

연구내용
   1. 새 시대의 전망
   2. 가정교육의 현실과 청소년 문제
   3. 전통 가정 교육사상
   4. 아동 발달 단계와 발달 과업
   5. 아동 발달 단계에 따른 가족 구성원의 교육적 기능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우리문화의 풍토와 새시대에 부응하는 가정교육의 내용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인의 문화전통과 삶의 이념을 고찰하였고, 동양인의 생장론과 전통가정교육을 고찰하였으며, 이에 따른 전통가정교육의 방법적 원리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가정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3세대 1가족을 모델로 부모와 조부모의 교육적 기능을 도출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발달단계별로 새 시대의 가정교육의 지침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인의 전통 가정 교육사상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21세기의 사회, 인간 그리고 교육한국교육개발원, 1992.
21세기와 가정교육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5.
세계화를 위한 효 가치관 정립과 자녀 양육 방향 모색한국 아동학회, 1995.
새 시대의 가정윤리신사회 공동선운동연합, 1995.
가정과 청소년 문제한국청소년 개발원, 1993.
Child Development & PersonalitySeventh Edition, P. H. Mussen(et. ed.), 1991.
Father’s Influence an ChildrenM. Hamilton, 1977. ()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