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6-사회민속-3
연구과제명
  • 국문 : 통일 지향적 커뮤니케이션 체계 형성에 관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복수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6-01-01 ~ 1996-12-15 연구형태 단독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남북통일은 이 시대에 우리가 이룩해야 할 당위의 과제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통일에 이르는 길은 남북한을 둘러싼 국내외적 관계 속에서 풀어 나가야 할 험난한 가시밭길이다. 통일은 결코 선언원칙의 합의만으로는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우리는 이미 경험하고 있다. 통일은 정부와 국민의 체계적인 준비, 합리적인 실천 그리고 간절한 소망이 수반될 때 가능할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난제이다. 그렇다고 통일 노력을 결코 게을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통일은 이 시대의 역사적/민족적 당위의 과제이기 때문이다. 최근 방한한 베를린 사회과학원 회장 볼프강 자프 교수가 독일은 미리부터 통일에 대비해 관계-학계 차원에서 다양한 준비가 있었음에도 막상 통일이 되고 보니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튀어나왔다. 한국도 가능한 모든 경우의 상황에 대해 연구가 시급하다고 본다.”고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는 통일을 앞당기고 이후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반 문제에 대한 검토를 계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남북 통일 연구의 일환으로, (1) 분단이후 남북한의 제반 갈등양상을 진단하고, (2) 언론(대중매체뿐만 아니라 교류 증대를 포함한)이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상호 이익/화합/공존의 원칙 아래 폐쇄/단절된 남북 실상을 올바르게 이해시키고 갈등과 적대감을 해소시키며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여 궁극적으로 남북이 화해와 협력의 장으로 나아갈 수 있는 통일지향적 커뮤니케이션 체계 형성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 연구

 

연구내용
   현재 남북한의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 망은 차단되어 있다. 분단 이후 몇 번에 걸친 의미있는 접촉은 있었지만 그것은 극히 한시적이고 제한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대중매체는 남북 상호간에 적대감과 불신의 골을 깊게 하는 데 기능해 왔다. 그러나 남북한을 둘러싼 국제적 환경은 남북이 상호이익/화합/공존의 원칙 아래 남북이 화해와 협력의 장으로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나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남북한이 평화통일과 진정한 민족 공동체를 재창조해 나갈 수 있는 통일지향적 커뮤니케이션 체계형성을 위한 방안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남북한 평화통일과 민족공동체 재창조를 위해서는 보다 더 적극적으로 통일 지향적인 관념과 의식의 전개양상이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형성되고 활성화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제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통일지향적 커뮤니케이션 체계형성과 활성활르 위한 제방안을 검토(분석과 제안)해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남북한의 평화통일을 이루어 나가기 위해서는 국제관계의 다자간 협력을 진행해 나감과 동시에 남북한간의 통일지향적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형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남북한간의 통일지향적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형성해 나가기 위해서는 (1)남북한 사회와 커뮤니케이션 체계가 변화해야 하고, (2)남북한간의 매체의 다변화 및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3)남북한 주민이 상호 신뢰를 회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한 남북한 정부와 민간차원의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통일한국의 삶의 양식과 가치체계 탐색, 199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통일문화창조를 위한 연구, 1985
    한국심리학회, 남북의 장벽을 넘어서 통일과 심리적 화합, 1993
    한국언론학회, 통일 그 이후심포지움, 1995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분단국의 통일언론정책, 1990
    姜光植 外, 통일후유증 극복방안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구영록 임용순 공편, 한국의 통일정책, 나남, 1993
    국토통일원, 統一問題硏究14, 1989
    김영주 이범수 공저, 북한 언론의 이론과 실천, 나남, 1991
    김삼오, 한국언론 이대로 좋은가, 자유사상사, 1994
    김해식, 한국 언론의 사회학, 나남, 1994
    리용필, 조선 신문 100년사, 나남, 1993
    박영상, 언론과 철학, 나남출판, 1994
    유재천 편, 북한의 언론, 을유문화사, 1989
    한국 기독교 사회문제연구원 편, 言論社會, 民衆社, 198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의 사회와 문화 제22한국사회 발전이론 비판, 1994
    홍기선, 韓國 社會變動과 매스컴, 나남, 1988
    Frud S. Siebert, Theodore Peterson & Wilbur Sohramm, FOUR THEORIES OF THE PRESS(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56
    L. John Martin & Anju Grover Chaudhary, COMPARATIVE MASS MEDIA SYSTEMS(New York; Longman Inc.), 1983
    James Curran & Michael Gurevitch (eds.), MASS AND SOCIETY(Chapman and Hall Inc.), 1991
    Yonosuke Nagai & Akira Iriye (eds.), THE ORIGINS OF THE COLD WAR IN ASIA(Univeresity of Tokyo Press), 1977
    Young Whan Kihl, POLITICS AND POLICIES IN DIVIDED KOREA-Regimes in Contest(Colorado: Westview Press Inc.), 1984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