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6-예술-3
연구과제명
  • 국문 : 악기개량과 중국악기 수용에 나타난 한국 전통음악 음색의 특징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병원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6-07-01 ~ 1996-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음악 연주에는 목소리, 악기, 혹은 전류 등의 소리를 발생하는 매개체가 필요하다. 이 매개체들을 통해 추구하는 음색(音色)이라는 것은 선율, 장단과 함께 음악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 중의 하나다.
   음악의 음색은 한 전통음악문화의 특징을 규정짓는 중요한 잣대 역할을 한다. 이것은 목소리가 개개인의 특징을 인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과 같다. 서양음악사에서 고전시대(ca. 1770-1830)와 낭만시대(ca. 1770-1900)의 음색이 다르고, 한국음악과 일본음악의 음색이 다르고, 남한과 북한의 음악적 음색이 각각 다르다.
   기존 악기의 음색이 문화적 기대에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그 악기의 개량작업이 시작된다. 수입된 외국의 악기 중에서 그 문화권이 추구하는 음악적 역량을 제공하지 못하는 악기는 서서히 없어지거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 못한다. 반대로 그 문화권의 음악적 취향에 맞는 악기는 점차적으로 그 나라의 전통악기로서 위치를 확립하게 된다.
   이러한 전제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통음악에서 수용된 대표적인 악기인 거문고, 젓대, 아쟁의 역사적 개량 혹은 수용 합리성을 조사하여, 그 악기들이 제공하는 공통적인 음색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조명해 보는 것이다.

 

연구배경
   악기를 중심으로 한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음악의 연구는 주로 악기의 역사와 구조 등에 국한되어 왔는데, 왜 그러한 구조로 되었고, 왜 그러한 개량이 되었는지에 대하여 의문을 던져 본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 문화권의 음악적 음색의 형성은 역사적으로 세 가지 현상 중 하나라고 보겠다. 첫째는 전통적 음색을 꾸준히 보전하는 것이다. 둘째는 음색이 악기의 개량, 혹은 음악적 취향의 변화, 혹은 산업화 과정에서 기술개발의 부산물로 변화된 것이다. 셋째는 정치적 이유로 인위적으로 음색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한국전통음악은 첫 번째 현상에 해당되고, 서양고전음악이나 1948년 이후 음악은 두 번째, 북한의 음악은 세 번째 현상에 해당된다고 본다.
   이혜구 · 송방송 등은 4세기 통구 무용총벽화의 거문고가 4현악기였는데 왕산악 이후로 현재와 같은 6현악기로 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나 왜 두 줄을 더 붙였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젓대로 이미 악학궤범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청공이 중국의 적보다 4.5배 정도 큰데, 이에 대한 해석은 아직까지 없었던 것 같다.
   아쟁은 구당서에 처음으로 언급되고 1114년 당악기의 하나로 고려에 수입되었는데 1세기도 안 되어 향악에 수용되고 현재에는 전통민속악기로도 기반을 굳혔는데 이러한 변화의 확인만 있지 이유를 가정한 연구는 없었던 것 같다. 이들의 변화 이유를 규명하는 것은 한국음악음색의 특징뿐만 아니라, 극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한국음악의 특징을 밝히는 데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고 생각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거문고, 젓대, 아쟁은 각각 특이한 개량과 수입의 역사를 지녔다. 따라서 각 악기는 약간씩 다른 연구의 Parameter를 요한다. 다음은 각 악기들의 연구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제목을 정리했는데 연구방법은 그 질문들을 순차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이다.

 

   ▨ 거문고.
      1. 왕산악 이전과 이후의 거문고의 악기구조.
      2. 거문고의 구조적 특징과 음색의 형성에 주는 영향.
      3. 현존 거문고의 선율현과 개방현의 음악적 특징.
      4. 현존 거문고 연주법이 음색형성에 미치는 영향.

 

   ▨ 젓대.
      1. 악학궤범의 젓대와 현존 젓대의 구조적 비교 · 검토.
      2. 젓대와 관계가 있는 중국의 적과 일본의 용적과 구조적 비교.
      3. 북한에서 사용되는 젓대의 구조적 특징.

 

   ▨ 아쟁.
      1. 구당서원사에 언급된 아쟁의 구조 및 연주방법.
      2. 고려조 아쟁 수입과정의 재검토.
      3. 아쟁의 향악화, 민속화의 이유 규명.

 

연구내용
   논리 전개상 결론부터 말하자면, 한국전통음악이 추구하는 전통적 음색은 탁성(濁聲), 혹은 쉰 소리, 혹은 북한에서 말하는 쇳소리라고 하는 거친 듯한 음색이다. 그러므로 한국음악사에서 특정한 외국 악기의 수용이나 기존 악기의 혁신적 개량은 이러한 음색을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시도의 일면이라고 가정된다. 이 가설의 뒷받침으로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악기를 중심으로 한 그들 변화과정 관찰을 통해 한국적 음악의 음색의 결론을 얻는 데 의도룰 두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음악 연주에는 목소리, 악기, 혹은 전류 등의 소리를 발생하는 매개체가 필요하다.
   음악의 음색은 한 전통음악문화의 특징을 규정짓는 중요한 잣대 역할을 한다. 이것은 목소리가 개개인의 특징을 인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과 같다. 서양음악사에서 고전시대(ca. 1770-1830)와 낭만시대(ca. 1770-1900)의 음색이 다르고, 한국음악과 일본음악의 음색이 다르고, 남한과 북한의 음악적 음색이 각각 다르다.
   기존 악기의 음색이 문화적 기대에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그 악기의 개량작업이 시작된다. 수입된 외국의 악기 중에서 그 문화권이 추구하는 음악적 역량을 제공하지 못하는 악기는 서서히 없어지거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 못한다. 반대로 그 문화권의 음악적 취향에 맞는 악기는 점차적으로 그 나라의 전통악기로서 위치를 확립하게 된다.
   이러한 전제에서 본 연구의 한국 전통음악에 수용된 대표적인 악기인 거문고, 젓대, 아쟁의 역사적 개량 혹은 수용 합리성을 조사한 결과, 그 악기들이 제공하는 공통적인 음색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조명해 주었다.

참고문헌

舊唐書.
송방송. 한국고대음악사연구.
樂學軌範.
이혜구. 한국음악연구.
元史.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中國大百科關書.
中國小數民族藝術辭典.
中國小數民族樂器志.
Curt Sachs. The History of Musical Instruments.
Grove Dictionary of Musical Instruments.
Liang Ming-yueh. Music of the Billions: An Introduction to Chinese Music.
Malm, William P. Japanese Music and Musical Instruments.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