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6-어문-1
연구과제명
  • 국문 : 개화기 일제시기 국어 표기법사 연구(III) ㅡ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과 통일안 맞춤법의 비교 고찰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신창순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6-01-01 ~ 1996-11-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국어 표기법의 전개와 검토, 1992. 정문연을 간행하면서 그 서문에서 이 과제에 관해서 미처 다루지 못한 많은 문제들을 후고에 맡길 것을 말한 바 있는데, 그뒤 '92, '94년도 연구과제로 본 연구과제의 동일명의 (I)(II)로서 이를 다룬 바 있거니와, 본 연구에서는 아직도 다하지 못한 문제들, 1) 총독부 언문철자법과 통일안 맞춤법과의 관계고찰, 2) 조선어학회와 조선어학연구회의 철자법 논쟁, 3) 국문연구소의 표기법안 분석 등을 연구하려고 한다.
   한편, 본 과제는 또하나의 문제로서 한글전용표기문제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저서에서 개화기부분은 다루었으므로 본 과제 동일명(IV)로써 일제시기의 한글전용표기운동을 다시 일년 계속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앞으로 2년간의 연구로써 본 과제 곧 개화기 일제시기의 국어표기법 연구는 7년간의 연구를 마무리짓게 될 것이다.

 

연구배경
   본 연구 테마는 종래 국어학사 등에서 단편적으로 기술되는 외에는 전문적인 연구가 별로 없었다. 그러나 한나라의 정서법, 문장어 수립의 중요한 의의를 생각할 때 본 연구의 의의는 작지 않으며 국어 정책 문제를 생각하는 데 있어서 본 연구결과는 기본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질 것임에 틀림없다.
   더욱이 국어의 근대적 표기법, 문장어 등은 개화기에 이르러 새로 개척되었다는 특수한 사정 그리고 그 본격적인 전개가 오히려 일제하 시기에 이루어졌다는 사정 등에 의하여, 본 연구는 본인같은 입장, 여건에 있는 사람 아니고는 수행하기 어려울 것으로 여겨진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단독연구
   참고문헌을 널리 모으고 이를 분석 검토하여 논문으로 기술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화기(구한말)의 국문연구소, 1920년 후반 이후의 이른바 맞춤법 논쟁, 1930-1933년의 언문철자법과 통일안맞춤법 비교 등 여러 테마를 다루므로 연구범위가 넓고 참고해야 할 문헌이 방대하다. 뒤의 두 테마는 이 문제와 관련한 본인의 기존연구가 많은 참고가 될 것이다.

 

연구내용
   1. 흔히 간과되고 있으나 1933년에 나온 통일안 맞춤법은 1930년에 나온 조선 총독부 언문철자법을 일보 전진시킨 것이라 할 수 있어 영향관계는 큰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철자법의 자세한 비교를 통해 그 영향 관계를 밝힌다.
   2. 조선어학회와 조선어학 연구회의 맞춤법 논쟁은 국어 표기법사를 다루면서 결코 빠뜨릴 수 없는 대목이 된다. 그 논쟁의 경위, 논쟁 내용 등을 밝히고, 본 논쟁의 국어표기법사상의 의의도 설명한다.
   3. 구한말의 국문연구소는 근대에 들어와서 처음으로 정부가 설치한 국문 연구기관이었다. 이 연구소가 설치되기까지의 경위, 연구소 설치의 시대적 의의 등을 살피고 각 위원이 제출한 연구 보고를 분석 검토하며, 국어표기법사상의 의의를 생각해본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통일안 맞춤법과 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의 3회에 걸친 개정과의 사이의 관계를 살핌. 통일안 맞춤법이 제3회 개정 언문철자법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확인하고, 두 철자법을 극명하게 비교하여 보면서 그 발전 양상을 살핌.

참고문헌

   개화기 일제시기의 신문, 잡지, 관련 저서, 관공서 공문 등 광범위한 데에 이르며, 그들을 정리, 노트, 분석하여 논문을 기술할 것이다. 참고문헌이 방대하므로 그 중 기본적인 것 몇 가지만 들어보임에 그친다.

 

   개화기의 국문연구 : 이기문, 1970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연구 : 이기문, 1963
   국어사 : 김형규, 1959
   신국어학사: 김민수, 1973
   증정보주 조선어학사 : 소창진평, 1964
   일제하의 한국연구 V :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70
   한국문자급어학사 : 김윤경, 1950
   한국문화사대계 V :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67
   주시경학보 1-13 : 주시경연구소, 1988-1994
   한글 1-73 : 한글학회
   나라사랑 1-16 : 외솔회, 1975-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