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6-역사-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학 편년사료대계
  • 영문 : -
연구책임자 허흥식
공동연구자
  • 김용선 / 한림대학교 / 교수
  • 민현구 / 고려대학교 / 교수
  • 허성도 / 서울대학교 / 부교수
  • 천혜봉 / 성균관대학교 / 명예교수
  • 이성무 / 본원 / 교수
  • 박성수 / 본원 / 교수
  • 정구복 / 본원 / 교수
  • 권희영 / 본원 / 부교수
  • 최진옥 / 본원 / 조교수
연구기간 1996-01-01 ~ 1997-06-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한국학계의 모든 문헌을 편년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를 전산화하고 검색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모색한다. 일부의 사료는 이미 전산화되어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基本史書를 포함하여 기타 史書文集, 古文書, 金石文 등이 연대별로 정리되고 이를 주제별 또는 용어별로 검색기능을 가지도록 전산화하는 과정은 앞으로 거쳐야 할 필연적인 추세이다.
   모든 자료를 집적하고 검색하는 새로운 단계의 자료로 가공하기 위한 단계에 부응하여 사료의 편년자료대계를 시도하고 이를 위한 첫단계로 한국의 전시대(B.C2333-1910)까지의 시대에 대한 수집이 가능한 자료를 편년화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사료로서 이용될 수 있는 통시대적인 방대한 자료를 집적하기 위한 각 방면의 조사화 수집과 정리, 전산으로 수요에 부응하도록 가공하기까지 광범위한 작업 가운데서 첫단계로 고려시대(918-1932)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나누어 종합하고 수렴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1. 해당시대에 관한 사료의 목록화 작업
   2. 편년으로 배열이 불가능한 문헌사료의 처리방법(의 처리)
   3. 주제별분류어 작성
   4. 傅記 史料의 정리방법 묘지와 열전
   5. 문집류(詩文)의 정리방법
   6. 비문헌자료(유물과 유적, 또는 일괄자료)의 정리방법

 

연구내용
   1. 한국학 편년사료대계(이하 이 사업)는 연월일별로 수록이 가능한 모든 기록을 사료로 종합하여 전산정보화의 기초를 마련한다.
   2. 年度만 확인되는 경우 연말에, 연월만 확인되는 경우 월말에 일괄 정리하고 같은 날자에 발생한 기록은 시간순으로 수록한다.
   3. 왕조시대의 사서에서 편년체를 중요시하고, 기전체 사서인 경우에 본기(또는 세가)를 중요시하고, 연표와 지, 열전의 순서로 수록한다.
   4. 내용이 중복될 경우 오래된 기록을 토대로 삼고, 기타의 자료는 전거와 차이점만 명시한다.
   5. 인물과 관계된 기록으로 시기가 불분명한 성품이나 가계 등은 몰년의 졸기에 포함시킨다.
   6. 왕대와 관련된 사항은 왕의 재위 말년에 몰아서 수록한다.
   7. 국가, 왕조, 단체, 개인 순서로 수록한다.
   8. 모든 기록은 정보화를 대비하여 분류어를 따르고 분류기호를 설정하여 수록한다.
   9. 관문서, 공문서, 사문서, 사서 금석문, 문집, 일기 등 모든 문헌목록을 작성한다.
   10. 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자료를 수집하고, 전산 입력 과정을 파악하여 중복을 피하고, 협력 체계를 유지한다.
   11. 전산입력을 통한 지식산업의 정보화에 최종목표를 둔다.
   12. 이 사업은 장기적이고도 누적적이며 영구적으로 추진한다.
   13. 이 사업의 중간 완성은 5년 단위로 하고, 이를 국가기관과 일반에 제공한다.
   14. 이 사업은 분업적으로 위탁할 수 있으나, 최종수렴과 확장 및 보존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하 본원)이 주관하고 보유한다.
   15. 이 사업은 본원의 기타 연구사업과의 연계성을 우선적으로 감안한다.
   16. 이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추진성과를 최대한 보장하고,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협조받은 부문에 대해서 반드시 명시한다.
   17. 이 사업은 1996년 착수하고, 1차 성과는 2001년에 공개한다.
   18. 年干, 月干, 日辰 天文, 地理, 人事의 순서로 수록한다.
   19. 조직과 책임자
        다음과 같은 부서로 나누어 사업을 추진하고 부서별 담당자는 추후에 선정하되 역사연구실 교수는 시대별로 참여를 원칙으로 하고 사회과학부와 국학연구기관의 전문가를 위탁할 수 있다. 개항이후의 편년사료대계는 국사편찬위원회와 사회과학부와의 공동작업을 모색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부 한국학편년 사료 전산화의 과제와 방향
   1. 편년자료 전산화에 대한 제안                        ······· 이성무
   2. 서지자료의 편년화를 위한 제안                     ······· 천혜봉
   3. 검색체계를 위한 자료정리의 선결조건           ······· 허성도
   4. 편년사료의 문제점과 극복을 위한 제안          ······· 박성수


2부 고려시대사료의 편년화를 위한 선결과제
   1. 작업개요와 수렴체계                                    ······· 허흥식
   2. 고려사 各志의 편년자료화의 방향과 과제      ······· 민현구
   3. 고려 傅記資料의 수집 · 정리와 작업순서      ······· 김용선


3부 시대별워크샾
   1. 고대        (상고삼국시대)                                 ······· 정구복
   2. 조선후기 (임란후철종까지)                             ······· 최진옥
   3. 최근세     (고종부터광복까지)                        ······· 권희영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