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1996-철학종교-4
연구과제명
  • 국문 : 현대철학의 종언: 그 의미와 미래적 전망 中 (1996년도) 현대철학의 개괄적 분석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해창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6-01-01 ~ 1996-12-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주지하다시피 현대를 열어간 추진력을 상징하는 언명이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슬로건이다. 시간적 차이는 있지만, 동서양을 막론하고 과학기술이 인간의 삶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해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말은 현대사회의 진행을 적절하게 대변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리라는 당초의 희망이 실현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현대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제 문제는 그 반대를 가리키고 있는 듯하다. 보다 많은 지식의 축적, 자연에 대한 왕성한 실험정신 등이 인류의 생활을 향상시켰는지 몰라도 오늘날의 사람들은 그 부산물로 고통받고 있다. 현대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그 극복을 위한 처방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현대의 사상적 저변을 구성하고 있는 철학적 조류를 폭넓게 진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인들이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감응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제 문제들의 철학적 원천이 무엇인가를 포괄적으로 추적하는 것이다.

 

연구배경
   본 연구자는 최근 몇 년간 문명사적인 입장에서 이 주제에 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왔다.
   이 주제와 유사한 성격의 주제를 가지고 한국 · 독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연구를 주도한 바 있다. 그 결과로 출간된 것이 인간성 상실과 위기극복(철학과 현실사, 1995)이고 본 연구자는 합리적 정신과 현대의 위기라는 논문을 통해서 현대사회와 현대인의 당면하고 있는 문명적 위기, 자아 인식의 변천, 이성의 정체, 합리성, 이성의 해체, 이성의 재건 등을 폭넓게 논의한 바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4년간 계속연구로 한 권의 책을 출판한다.

 

연구내용
   현대철학의 흐름에 대한 분석은 주로 분석철학 또는 현상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감이 있다. 최근에는 이성 대 탈이성의 구조를 통해서 20세기 마지막 사반세기의 조류를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철학에 대한 개괄적 분석을 기본적으로 합리성 대 탈합리성, 보다 넓게는 현대성 대 탈현대성이라는 이원적 구조에 의해서 시도할 것이다. 이런 시각을 가지고 20세기 철학의 흐름, 즉 신헤겔주의, 신관념론 등을 일별하고 이어서 20세기에 전개되는 실용주의, 논리실증주의, 일상언어 및 이상언어분석, 현상학, 실존주의 등을 분석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천년 이상 수용되어 왔던 플라톤적 세계관의 붕괴로 시작되는 철학적 전환이 발생하였던 20세기 초의 철학적 전개를 철학의 증언의 시작으로 볼 것인가라는 문제를 다룰 것이다. 철학의 전환에 관한 논의는 전통적으로 철학적 사유의 중심에 있어 왔던 이성의 위치 차체에 대한 점검으로 시작된다. 플라톤 이래 철학을 이끌어 온 이성과 그 이성의 담지자인 인간 그리고 이성의 구체적 행사인 합리성, 이것들이 빚어낸 현란하고 장대한 철학사의 끝을 살고 있는 현대인이 당면하고 있는 상대주의적 무력감을 분석하고 어떤 철학적 반성이 요구되는가를 포괄적으로 진단하여 볼 것이다. 동시에 철학적 반성의 주체로서 자아의 개념이 어떻게 바뀌어 왔는가를 추적할 것이다. 20세기 후반에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인간의 종언은 사실상 추상적 인간(Man)의 종언이다. 오랜 세월에 걸쳐서 우리의 의식에 지배적으로 심어져 왔던 인간의 모습, 즉 합리적이고 자유의지를 소유한 자기 의식적 존재이며, 인간 이외의 모든 사물을 지배하는 권리를 부여받은 존재로서의 인간의 종언은 다름 아닌 철학(Philosophy)의 종언이다. 이러한 문제를 과학기술문명의 발달과정과도 연계시켜 분석해볼 것이다.
    제1차년도의 연구는 현대철학의 흐름에 대한 포괄적인 진단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세밀한 논의보다는 문명사적인 시각에서 접근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현대철학의 흐름을 인식론 중심의 전통적 철학 대 반철학의 구도로 재해석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전개하였다.


(1) 개관
(2) 20세기 초의 다양한 철학적 조류 또는 운동은 반철학의 시작이라는 시각에서 현대철학사를 일별함.
(3)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 듀이가 그 중에서도 돋보이는 로티의 지적선조임.
(4) 로티의 반철학이 가지는 함의.

참고문헌

Richard Rorty, Philosophy and the Mirror of Nature (Princeton, 1979)
                              Consequences of Pragmatism(U. of Minn, 1982)
                              Philosophy : Its end and its New Hope (Iwanami Shoten, 1988)
                              Contingency, Irony, and Solidity (Cambridge U., 1991)
                              Essays on Heidegger and Others (Cambridge U., 1991)
Jean Baudrillard, The Illusion of the Mind (Polity Press, 1994)
David Griffin and others, Founders of Constructive Postmodern Philosophy (SUNY, 1993)
Hilary Putnam, Renewing Philosophy (Harvard, 1992)
                                 Reason, Truth and History, 김효명 역 이성 · 진리 · 역사(민음사, 1987)
C. Schrag, The Resources of Rationality (Indiana U., 1992)
K. Jaspers, Vernunft und Widervernunft in Unserer Seit, 황문수 역 현대의 이성과 반이성(사상사, 1992)
K. Baynes, ed. After Philosophy, End or Transformation (Cambridge, MIT, 1993)
F. Nietzsche, Zur Genealogie der Moral, f. Golffing
               trans. The Genealogy of Moral (N. Y. Doubleday, 1956)
D. Ehrenfeld, The Arrogance of Humanism (Oxford U., 1978)
E. Ballard, Man and Technology (Dusquesne U., 1978)
P. Feyerabend, Farewell to Reason (Verso, 1993)
M. Hollis & S. Lukes, ed. Rationality and Relativism (Basil Blackwell, 1983)
I. Jarvie, Rationality and Relativism in Search of a Philosophy and History of Anthropology (Routledge & Kegan Paul, 1984)
J. Dewey, The Quest for Certainty (N. Y., 1960)
J. Harris, Against Relativism (Open Court, 1992)
K. Nielsen, After the Demise of the Tradition (Westview, 1991)
한정선, 현대와 후기 현대의 철학적 논쟁 (서광사, 1991)
윤평중, 포스트 모더니즘의 철학과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서광사, 1992)
리오타르, 포스트모던적 조건 (서광사, 1992)
이진우(엮음), 포스트 모더니즘의 철학적 이해 (서광사, 1993)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