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2001-18
연구과제명
  • 국문 : 미래적 사유의 본질과 그 도래 : 후기 하이데거와 불교의 화엄 · 선학적 사유와의 비교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형효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1-01-01 ~ 2001-12-15 연구형태 단독저술
연구목적 및 배경

   지금 우리는 21세기의 새 천년의 시작에 즈음하고 있다. 20세기와 더불어 인류는 근대와 현대를 400년간 지배해 오던 모더니즘적 사유의 해체를 말하면서 동시에 재래의 철학적 사유의 종언을 아울러 고하는 그런 문명의 변혁기를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모더니즘의 본질이 과학기술주의와 경제주의를 근간으로 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궁극적 정답의 존재가능성을 믿는 그런 사유를 본질로 하고 있다. 그런 사유의 본질은 동시에 권력의지의 생리에 입각한 그런 정치문화를 잉태한 것과 같이 간다. 말하자면 모더니즘의 생리는 바로 의지를 그 생명의 기반으로 삼고 있다. 그래서 과학기술주의나 경제주의나 권력의지의 정치문화나 다 의지의 형이상학이고 일선적인 발전의 신화를 굳게 간직한 그런 문명의 체계다. 그런 발전의 의지를 망각한 문명은 마치 자전거가 앞으로 나아가지 않으면 쓰러지듯이 정체되거나 후퇴되어 도태되고 탈락되고 마는 그런 운명에 처해질 수밖에 없다. 말하자면 모더니즘의 문명은 소유를 가장 큰 문제의식으로 삼아 온 그런 지배체제다. 한국도 이런 문명의 지배방식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다. 한국뿐만 아니라 그 어떤 나라도 예외일 수 없었다. 그래서 선진국과 후진국의 갈림이 생겨날 수밖에 없었다. 지구상의 모든 나라들이 지난 400여 년간의 모더니즘의 시대에 선진국이 되기 위한 경쟁의 시대였고, 그 경쟁에서 이긴 나라가 세계의 지배를 정당화한 그런 권력의지의 시대였다. 그 경쟁에서 진 나라들은 선진국에 비하여 후진국이라는 슬픈 열등의식에서 살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제 그 의지의 지배경쟁과 그 경쟁을 찬양하던 의지의 형이상학이 종말을 고해야 한다는 사상이 새로운 미래적 사유의 본질로서 도래를 준비하고 있다. 현대 사상사에서는 그것을 포스트 · 모더니즘이라고 부르지만, 이런 명칭 자체가 그렇게 행복하게 작명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 명칭 자체가 자칫 어떤 일시적 유행을 연상시키는 그런 피상적 뉘앙스를 풍기고 있기 때문이다. 좌우간 그 명칭이야 어떠하든 간에 새로운 변혁의 도래가 사상적으로 문명적으로 오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현대철학에서 저 모더니즘의 과학기술주의, 경제주의, 기능제일주의, 소유주의, 정치적 권력의지주의의 본질을 가장 심오하게 존재론적으로 해명한 이가 독일의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그의 철학적 사유가 다른 이들보다 훨씬 앞질렀고, 또 심오하기에 많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하여 오해되어 왔고 제대로 읽혀지지 못한 그런 아쉬움을 남겼다. 대체로 이점은 동서의 차이가 별로 없는 것 같다. 이들은 하이데거를 현상학적 실존사상가나 또는 해석학적 현상학자로 늘 보려고 하는 한계를 거의 탈출하지 못했다고 보여진다. 프랑스의 싸르트르(Sartre)는 하이데거를 너무나 오해했고, 또 해체주의의 철학자로 불리워지는 데리다(Derrida)의 사유도 그가 말하고 있지는 않지만, 또 때때로 하이데거를 현존의 형이상학자로 비판하기도 하지만, 하이데거의 사유에 가장 깊숙이 영향을 받은 것임에 틀림없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최근에 와서 서구에서도 하이데거를 우리의 해석과 유사하게 읽으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특히 하이데거의 후기 사상을 불교의 선사상과 연관지어 해석하는 연구가 일어나고 있지만 화엄학과의 관계 아래 그의 사유를 재해석하는 것을 필자는 과문의 탓인지 들어보지 못했다. 더구나 그의 전기 사상을 불교의 유식학과의 관계에서 재해석하는 시도를 필자의 하이데거와 마음의 철학이라는 졸저 이외에 달리 다른 출처를 찾지 못했다. 이것은 필자의 선전을 위함이 결코 아니라, 하이데거의 전후기의 통털은 사유를 불교적인 방식으로 보는 것이 온당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즉 전자는 유식학적으로, 후기는 화엄학과 선학의 방식으로 하이데거의 사유를 읽는 것이 그의 난해하고 심오한 사유를 우리가 접근해 나가는 가장 온당한 길 중의 하나라고 보여진다. 하이데거는 특히 후기에서 자기의 사유를 미래적 사유라고 자주 강조한다. 그런데 그 미래적 사유가 동양에서 오래 전에 사유되어 왔던 불교의 화엄학과 선학적인 사유의 본질과 너무나 닮았다. 또한 노장적 사유가 불교의 저런 사유와 이웃하고 있기에 하이데거의 후기 사유가 노장사상과의 유사성을 지적하는 것도 빠뜨릴 수 없는 대목이다.
   우리는 하이데거의 미래적 사유가 불교의 화엄적인 선학적인 사유의 빛을 다시 열어 놓는 길로 접어든다고 보기 때문에, 그의 존재론적 사유를 불교적으로 해석하여 다시 동양적으로 재음미해 보는 것이 미래적 문명의 도래를 준비해야 하는 우리로서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보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이 화엄적 선적 사유는 중국에서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 등 동양 삼국의 정신문화의 전통에 해당하고 또 특히 한국은 이 화엄학적인 선의 전통이 일본보다 더 강한 곳이기에 한국의 전통문화의 본질을 미래적 사유로서 재해석하여 부활시키는 그런 학문적 의미도 지니고 있다 하겠다. 불교사상 중에서 화엄학과 선학,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노장의 도가적 사유를 하이데거의 사유의 도움을 받아서 다시 음미하고 해석해 보는 것은 정신의 문화, 존재()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문화, 의 의미를 지키는 문화, 과학기술주의 거대함을 이겨내는 문화, 소유에 의한 지배를 소유되지 않음에 대하여 존경을 표시하는 문화, 권력의지(la volonte)(de la puissance)有爲性에 대하여 沒意志(la nolonte)無爲性을 문명의 기저로 삼는 그런 존재구조의 설립에 엄청난 의미의 일단을 던질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그런 확신을 동시에 한국의 민족문화의 미래적 지표를 사유하면서 세상에 대하여 한국문화의 보편적 창조 역량을 조명해 주는 계기도 될 수 있으리라. 원효가 그 당시의 불교를 원융하여 동아시아의 정신문화의 고양에 이바지하였듯이, 원효가 늘 사용하던 融二而不一의 사유법이 다시 미래적 사유의 본질적 근간으로 활성화되는 일이 도래하리라. 우리의 연구는 그런 미래적 사유의 도래를 준비하는 한국 지성의 한 사색이기를 겨냥하고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본 저술의 연구방법은 후기 하이데거의 저서들에 대한 독파와 이해 그리고 해석을 위주로 함.
   2) 본 저술의 연구방법은 불교의 화엄학과 선학에 관한 저술을 독파하고 분석함을 위주로 함.
   3) 본 저술의 연구방법은 하이데거와 불교와의 사상적 비교연구의 길을 위주로 함.
   4) 본 저술의 연구방법은 한국 정신문화의 미래적 방향을 해석하는 길을 방법의 주안점으로 두고 연구함.
   5) 본 저술은 자료분석의 연구를 위주로 함.

 

연구내용
   본 단독저서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구성함 (예정)

 

   서론- 과학기술시대에 왜 하이데거를 불교적으로 해석하는가?
   제1- /의 동거성
   제2- 性起差延
   제3- 한없는 깊이의 은적과 나타남/숨음의 의미
   제4- 서양사상사의 본질
   제5- 無爲無不爲와 기술, 자연성과 자연
   제6- 철학의 종말과 서구 형이상학의 본질
   제7- 기억과 귀의와 감사로서의 사유
   제8- 진리의 본질과 로고스의 해석
   제9- 中道의 법과 원융적 사유
   제10- 말의 본질과 존재의 말하기
   제11- 깨달음의 와 횔더린의 세계
   제12- 四重物事事無碍와 사물들의 사귐
   제13- 예술작품의 본질과 존재의 본질현현
   제14- 장미꽃이 피는 이유와 놀이의 즐거움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서론 과학기술시대에 왜 하이데거를 불교적으로 해석하는가?


✳ 1 /의 동거성
   제1절 근거의 앎과 /의 독법
   제2절 존재의 法性性起, 그리고 理事無碍


✳ 2 性起差延
   제1절 존재의 본질로서의 性起無碍差延
   제2相入相卽의 길로서의


✳ 3 한없는 깊이의 은적과 나타남/숨음의 의미
   제1의 한없는 깊이
   제2나타남/숨음의 갈마들기


✳ 4 서양사상사의 본질
   제1절 권력의지와 허무주의
   제2절 권력의지와 과학기술주의


✳ 5 無爲無不爲와 기술, 자연성과 자연
   제1절 무위의 무불위적인 테크네(techne)와 인위적 有爲의 기술(Technik)
   제2절 자연성(physis)과 자연(Natur)의 변별성


✳ 6 철학의 종말과 서구 형이상학의 본질
   제1절 왜 철학의 종말인가?
   제2절 서구의 형이상학적 사유의 본질


✳ 7 기억과 귀의와 감사로서의 사유
   제1가장 깊이 사유되어야 할 것의 사유와 법성의 명령
   제2절 들길에서의 사유


✳ 8 진리의 본질과 로고스의 해석
   제1존재자를 존재하게 함으로서의 진리와 마음의 무애로서의 자유
   제2절 로고스의 이중성과 그 해석


✳ 9 中道의 법과 원융적 사유
   제1절 시원적 사유와 존재의 시원으로서의 동거
   제2절 본질적 사유의 원융성


✳ 10 말의 본질과 존재의 말하기
   제1절 사물들의 거래로서의 세상읽기
   제2말의 본질본질의 말의 동류성


✳ 11 깨달음의 와 횔더린의 세계
   제1절 진리의 기증으로서의 깨달음의 와 마음의 해맑음
   제2절 횔더린의 세계에서의 마음과 세상


✳ 12 四重物事事無碍와 사물들의 사귐
   제1절 사물과 대상과의 구분, 그리고 보시로서의 사물성
   제2四重物의 그물망과 四重物을 보호하는 집짓기


✳ 13 예술작품의 본질과 존재의 본질현현
   제1절 세상과 대지의 不一而不二로서의 예술작품
   제2절 마음의 이중주로서의 예술작품의 진리


✳ 14 장미꽃이 피는 이유와 놀이의 즐거움
   제1절 충족이유의 근거로서의 존재와 장미꽃의 피는 이유
   제2절 본성의 사유와 놀이의 신비

연구결과

   저술의 목차가 잘 지시하고 있듯이 당호의 연구계획을 충실히 반영하였다고 사료됨. 그리고 Heidegger에 대한 연구자의 자득을 기술하려고 노력하였음.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