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1-19
연구과제명
  • 국문 : 철학의 종언 – 비트겐시타인의 사회적 상대주의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해창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1-03-21 ~ 2001-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전통은, 그것이 잘못된신념들 위에서 이룩된 것이든 아니든 간에, 한번 수립되면 좀체로 깨어지지 않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통에 익숙해져서 그 전통이 주는 다양한 요소들을 습관화, 의식화한다. 한마디로 전통에 안주해 있으면 위험에 직면할 필요도 없고 삶은 편하다”. 그래서 이 전통에 도전하는 사람은 매우 강한 저항에 부딪친다. 더군다나 그 도전이 전통에 대한 부분적인 수정이 아니고 전면적인 부정이라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전통에 대하여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자신들이 그 전통의 체제 안에서 모든 것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대체로 새로운 시도를 꺼린다. 왜냐하면 그러한 시도가 우선 자신의 모든 것을 허물어 버리리라는 두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통의 타당성을 가리기보다는 그 전통이 주는 위안 뒤로 숨는 경향을 보인다. 하물며 2000년 이상 지속된 철학의 전통을 단번에 부정하고 나서는 것은 대단한 모험일 뿐만 아니라 완강한 저항에 부딪치게 마련이다.
   철학자들은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로 언제나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철학사를 이루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철학의 정의에 관해서는 다양한 대답이 있어 왔지만, 이들 대부분은 전통적으로 철학의 고유영역이 있다는 것을 당연하게 전제한다. 그런데 이러한 인식에 대해 의문을 던지고 철학의 개념 자체를 바꾸어 놓으려는 시도들이 20세기에 본격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특히 20세기 마지막 사반세기를 풍미한 포스트 모더니즘은 철학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논문은 반철학 또는 철학의 종언에 관한한 그 원조 철학자 중 한사람으로 간주되는 비트겐시타인의 사회적 상대주의를 비판적으로 개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연구내용
   비트겐시타인은 철학적 입장을 가지고 있었는가? 비트겐시타인은 conventionalist인가 아니면 pragmatist인가? 이 점에 관하여 우리는 일관되게 기술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하면,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의 입장이 한번 확정되면 자기파괴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의 철학적 입장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 채 시작할 수밖에 없다.

 

   (1) Saying and ShowingTractatus의 열쇠이다. 논고는 표상의 한계를 결정하려는 시도이다. 논고는 칸트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차이가 있다면, 칸트는 지식의 한계를 그으려고 한 반면에 비트겐시타인은 표상 또는 의미의 한계를 그으려고 하였다. 비트겐시타인에게 논리는 사실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따라서 논리는 기술될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의 언어는 사실언어이기 때문이다. 사실언어는 사실을 표상한다. 논리는 그 사실언어를 가능케하는 것이다. 논리는 명제와 명제에 의해서 지시되는 세계가 공통으로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공통의 뼈대가 표상을 가능케하는 것이다. 논리는 표상되거나 말해질 수 없지만 보여질 수는 있다. 논리의 명제는 senseless. 논리명제는 세계의 논리형태를 보여준다. 세계를 초월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시도는 nonsensical(unsinning).
   비트겐시타인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세계는 그 경제가 논리명제인 세계저체이다. 세계내에 있는 모든 것은 사실의 표상이고 논리에 의하여 구조되어 있다. 이 경제는 칸트의 이성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지위를 갖는다. 어떤 의미에서 그것은 세계내에 있고 또 다른 의미에서 세계내에 있지 않다. 따라서 논리명제는 경계밖(nonsense)에 있지도 경계내에(sense) 있지도 않다. 그들이 바로 경계(senseless)이고 표상의 조건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 아니라 보여준다. 경계밖은 nonsense이지만 윤리와 같이 심오한 부분은 경계내에 있는 것보다 중요하다.

 

   (2) 탐구논고를 비판한다. 그림이론을 부정한다. 즉 모든 단어는 의미가 있고 의미는 단어가 지시하는 대상이라는 주장을 부정한다. 비트겐시타인이 비판하는 또 하나(어거스틴)는 의미가 심적이고 따라서 사적이라는 관념이다. 여기에서 비트겐시타인과 실용주의의 공통점을 살펴보자. 실용주의에 의하면, 기호의 의미는 목적있는 활동에서의 그 역할이다. 실용주의는 이런 점에서 contextualism이다. 이렇게 볼 때 비트겐시타인은 묵시적 실용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the meaning of a word is its use in the language” (PI, 43) 그리고 “Words are also deeds” (PI, 546)라는 언명에서 우리는 비트겐시타인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다.
   비트겐시타인과 퍼스는 유사한 점이 많다. 비트겐시타인과 마찬가지로 의미에 대한 퍼스의 접근은 사적 느낌이나 다른 설명할 수 없는 현상 또는 원리에 의존하지 않는다. 즉 지시를 통한 용어의 정의를 배제한다. 대신에 의미를 공공행위와 결과를 통해서 설명한다. 둘다에게 사고는 기호이다. 그들은 모두 회의주의를 공격하고 보편적 회의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둘다 자연법의 결과들이 탐구과정을 종식시킨다는 것을 부정한다.

 

   (3) 비트겐시타인은 철학적 견해로서 실재론을 공격한다. 실재론에 의하면, 어떤 판단의 타당성은 인간의 판단과 독립적인 성격의 판단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렇다면 비트겐시타인의 상대주의는 conventionalism인가? 그의 몇 개의 주요 언명들을 들어보자. “A doubt that doubted everything would not be a doubt” (OC, 450) “A doubt without an end is not even a doubt” (OC, 625) “Doubting and non-doubting behaviour. There is the first only if there is the second” (OC 354) “Can I be doubt at will?” (OC 221) “At the foundation of well-founded belief lies belief that is not founded” (OC 253) “Explanations come to an end somewhere” (PI, 1) 비트겐시타인에 있어서 가장 뚜렷한 형태의 상대주의는 conventionalism 또는 사회적 상대주의이다. 왜냐하면, 타당성을 상대적으로 만드는 것은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의 실용주의와 양립한다. 왜냐하면 타당성을 상대적으로 만드는 것은 공동체의 관행, 그 공유된 삶의 형식이기 때문이다. context 자체는 집단적 사회적 전승이라는 의미에서 인간의 관행에 의해서 주어진 것 따라서 변경될 수 있고 포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들의 존재가 자연적 사실들과 양립불가능하지도 않다. 그들은 사회에 있는 다른 법칙들과 마찬가지로 강제적일 수 있다.

 

   (4) 비트겐시타인은 implicit pragmatist이고 동시에 conventionalist이다. 철학적 저작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명제와 질문들은 거짓이 아니라 난센스. . . . 철학자들의 명제나 질문 대부분은 우리 언어의 논리를 이해하는 데 실패한 데서 발생한다. . . . 가장 심오한 문제가 사실은 전혀 문제가 아니라는 것은 놀랄 일이 못된다. (T. 4.003)
   올바른 철학적 방법은 부정적 치료적이다. 탐구에서 철학적 방법은 긍정적이다. 철학은 기술적 탐구인데 그 목적은 오해를 불식시키는 것이다. Philosophy is a battle against the bewitchment of our intelligence by means of language. (PI 109) The results of philosophy are the uncovering of one or another piece of plain nonsense and of bumps that the understanding has got by running its head up against the limits of language. (PI 119) Philosophy may in no way interfere with the actual use of language; it can in the end only describe it. For it cannot give it any foundation either. It leaves everything as it is. (PI 124)
   철학은 규범적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다. 이런 점에서 비트겐시타인은 니체와 가깝다. 철학적 오해의 원인은 우리가 그림에 포로가 되어 있다는 데 있다. A picture held us captive. And we could not get outside of it, for it lay in our language . . . (PI 115) The confusions which occupy us arise when language is like an engine idling, not when it is doing work. (PI 132)
    For philosophical problems arise when language goes on holiday. (PI 38) 철학적 판단은 그것이 타당한 어떤 것을 보여 주거나 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타당할 수 있다. 비트겐시타인은 그의 철학적 탐구가 이런 의미에서 타당하다고 믿는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비트겐시타인이 이런 철학의 종언 논의에서 의미있는 이유는 다른 철학자들과 달리 그 자신속에서 이와 같은 양극적인 철학방식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플라톤에 의해서 시작된 서양철학은 니체에서 그 한 주기를 마감한다. 니체에게서 신의 죽음이 선포되었을 때 형이상학의 보루인 보편적 진리의 궁극적 보증자는 사라졌다. 소위 객관적으로 실재에 관하여 이야기를 한다는 형이상학은 이때 그 오랜 수명을 마친 것이다. 객관화된 대상세계의 모든 가능성이 기술문명의 형태로 성취되어 형이상학은 그 가능성을 완전히 소진한 것이다. 그러나 전통적 형이상학에서 추구하였던 본질은 결코 소멸되지 않았다. 본질은 과학주의 또는 언어의 객관화라는 옷을 입고 이십세기에 다시 등장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