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1-13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의 근대성과 신여성의 병리
  • 영문 : -
연구책임자 권희영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1-01-01 ~ 2001-08-31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한국 사회와 문화의 근대화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아마도 여성의 근대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의 근대화라고 할 때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여러 다른 정의가 가능하겠지만 본고에서는 여성의 개인성의 자각, 성적 존재로서의 정체성 확보의 과정이라는 정의에서 출발한다.
   여기에서 개인성이라고 할 때 그것은 흔히 사용하는 자아의 개념인데, 이는 주체가 자기의 인격에 대하여 가지게 되는 이미지라고 할 수가 있다. 이는 사회라고 하는 대타자에 의하여 주체에게 부여되는 위치라는 의미에서의 상징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상징과 주체가 자신에 대하여 가지는 이미지로서의 자아는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충돌하고 상호변형되면서 문화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고 보는 편이 오히려 타당할 것이다.
   일제시기의 신여성은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분석의 대상이 될 만큼 흥미로운 존재이다. 전통적인 가족관이 변형되고 붕괴되며 새로운 가치를 주장하는 이론들이 유입되면서 여성들의 역할과 태도, 자기 이미지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같은 급속한 환경의 변화는 주체들의 적응과정에 일종의 부조화를 초래하기 마련이다. 한국의 여성들이 어떻게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여 가면서 자신들을 신여성으로 변화시켜갔고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어떠한 부조화의 증상(symptome)을 보였는가 하는 것을 탐구하는 것이 본고의 과제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한국여성의 역사를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 여성에 대하여 언급한 당대의 담론들을 분석하고 그 안에 있는 심리적인 부분들에 주목하여 여성사의 심성사적 구성을 시도한다. 심성사적 구성이라고 할 때 동원할 수 있는 자료가 특별히 한정되거나 구별되지는 않는다. 모든 담론 중에 일반적인 문화 중에서 심적 태도를 읽어낼 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료로는 기본적으로 당대에서 생산된 문헌, 신문, 잡지 등을 분석하여 다른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진이나 그림자료들이 있는 경우에 이를 보충하여 자료로 활용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프랑스 심성사가들의 연구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아리에스의 경우와 같이 일상적인 삶의 변화에 주목하여 그 변화를 추적하고 분석하되 특별한 심층적 분석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또한 정신분석적인 방법을 적용한다.

 

연구내용
   우리는 일제시기의 신여성들이 어떻게 자기 정체성을 확보하여 갔으며 어떠한 점에서 실패하였고 어떤 심적 태도와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점검하여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의 근대화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신여성에 나타난 여러 가지 사건 즉 범죄, 정사, 이혼 등을 정신분석학적으로 접근하여 새로운 세대로 등장하게 된 신여성의 문제를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머리말
2. 조선의 전통적 가족에 있어서의 여성
3. 근대화와 여성들의 태도변화
4. 근대화과정에서의 증상과 병리
5. 맺음말

연구결과

   신여성은 자기것에 대한 경멸과 증오, 그리고 타자에 대한 동경으로 당대의 여성들이 가지게 된 거울상이었다. 이 타자를 자기화하였을 때 여성들은 더 이상 이전에 경멸하였던 자기 것을 더 이상 경멸함이 없이 바라보게 될 것이다. ‘신여성이 증상일 수밖에 없었던 것은 신여성담론이 기억으로서가 아니라 상상으로 예견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여성 담론에서 현 존재는 불쾌한 기억으로 존재하였던 바 이전의 것은 전통이 될 수가 없었다.
   미래적 이상으로서의 근대와 버려야 할 현실로서의 상징 사이의 거리에 신여성은 증상으로 표출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는 유교문명이 여자에게 준 위치가 흔들리면서 나타난 결과였다. 증상으로서의 신여성은 현재 사라졌다. 여성은 이미 근대성을 쟁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신여성이었던 어머니가 회상된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