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1-08
연구과제명
  • 국문 : 京畿 12雜歌의 西道的 特性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영운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1-03-21 ~ 2001-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한국 전통음악 중 경기민요를 대표하는 장르로 중요무형문화재로까지 지정된 경기잡가(속칭 12잡가)는 경기민요를 대표하는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서도민요적인 창법을 지닌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경기잡가에 드러나는 서도적 특성이 단순한 창법의 문제인지, 음계 구성상의 문제인지를 분석 · 고찰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경기민요에 서도적인 특성이 드러나는 이유를 특히 20세기 전반기 전통음악 연행상황에 비추어 밝혀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 중심의 분석적 연구 및 민족음악학적 채록 · 분석 방법을 활용함.

 

연구내용
   1. 경기 12잡가의 각 악곡별로 구성음별 중요도를 추출하여 선법적 특징을 분석함.
   2. 서도민요의 창법이 경기민요에 영향을 미친 과정을, 사회적 · 인적 교류에서 찾아보고자 함.
   3. 아울러 경기 12잡가의 음계구조와 음악형식을 밝히게 될 것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머리말
2. 경기 12잡가의 형성과 전개
3. 경기 12잡가의 장단과 형식
   1) 장단
   2) 형식
4. 경기 12잡가의 음조직
   1) 구성음별 중요도
   2) 경토리와 서도토리의 구성음별 중요도 분석
   3) 경기 12잡가의 구성음별 중요도 분석
5. 맺는말: 경기 12잡가의 서도적 특성

연구결과

   경기12잡가 12곡이 하나의 장르로 인식된 시기는 20세기 중반 이후이며, 그 직전 시기인 20세기 전반기는 12잡가의 전성시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서울을 중심으로 발생한 잡가가 평안도(서도) 출신 藝妓들에 의하여 서울 지역에서 盛唱되었고, 그 과정을 통하여 서도음악의 특성[토리]이 경토리와 혼효 되었다.
   이러한 두 지역 음악의 혼효 현상은 12잡가를 구성하는 각 단일 악곡 속에서도 발견되며, 현재의 연주자 중에도 두 가지 토리를 혼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20세기 전반기 음악사회의 배경으로부터 기인된 것임을 밝혔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