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1-01
연구과제명
  • 국문 : 장서각 소장 어문학 자료의 종합적 연구 2
  • 영문 : -
연구책임자 임치균
공동연구자
  • 이광호 / 본원 / 교수
  • 김건곤 / 본원 / 부교수
  • 이종묵 / 본원 / 부교수
연구기간 2001-03-21 ~ 2002-06-15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본 연구는 잔당오대연의를 중심으로 장서각 소장 번역소설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래 한문본이었던 것을 어떤 필요로 인해 한글로 번역한 시문집에 대해서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고문백선은 김석주가 편한 한문본을 후대 누군가가 한글로 번역한 유일본이기 때문에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공동 연구자들이 각각의 분야에 맞게 역할을 분담한다.

   1) 자료조사 : 임치균, 이광호, 김건곤, 이종묵
   2) 번역소설 전반에 걸친 개괄적인 검토 : 임치균
   3) 잔당오대연의에 대한 어문학적 해석 : 임치균, 이광호
   4) 잔당오대연의의 역주 및 현대활자화 : 임치균, 이광호
   5) 장서각본 고문백선연구 : 김건곤
   6) 장서각 소장 한글 한시집류 연구 : 이종묵

 

연구내용
   본 연구는 장서각 소장 어문학 자료의 종합적 연구라는 장기 연구 계획의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1) 잔당오대연의(55)를 중심으로 번역 소설에 대해 전반적인 검토와 잔당오대연의에 대한 어문학적 해석 및 역주.
      2) 장서각 소장 고문백선에 대한 검토
      3) 장서각 소장 한글 한시집류 연구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한글 필사본 殘唐五代演義의 국어 문법적 검토

         ················ 이광호(국어학, 본원 교수)
1. 서론
2. 본론
   2.1. 번역에 나타난 몇 가지 양상
   2.2. 표기법의 특징
   2.3. 의문법 어말어미의 특징
   2.4. 감탄법 어미의 특성
   2.5. 동명사어미의 특성
   2.6. 시상체계의 특성
3. 결론

 

한글 필사본 잔당오대연의연구
         ················ 林治均(韓國精神文化硏究院 副敎授)
1. 서 론
2. 중국 번역소설의 향유
3. 잔당오대연의의 전반적 특징
4. 번역 양상과 의미
5. 결론
부록장서각 소장 번역소설 목록
             「잔당오대연의역주

 

조선시대 한시 번역의 전통과 양상
         ················ 李鍾黙(본원 부교수)
1. 서론
2. 조선시대 중국시문류의 번역
   1) 조선 전기 중국 시문류의 번역
   2) 조선후기의 중국 시문류의 번역
3. 조선후기 개인 문집의 번역
   1) 浩然齋 金氏호연재유고
   2) 宜幽堂 南氏의유당유고
   3) 孝明世子학석집, 翼宗簡帖
4. 조선후기 문헌자료에 삽입된 한시의 번역
   1) 기행문에 삽입된 한시와 을병연행녹
   2) 실기류에 삽입된 한시와 선부군언행유사
   3) 야사류에 삽입된 한시와 조야회통
5. 결론

 

藏書閣本 古文百選硏究
         ················ 金乾坤(本院 부교수)
I. 緖論
II. 息菴의 삶과 著述活動
   1. 家系宦歷
   2. 師友淵源交遊
   3. 選集編纂
III. 17世紀秦漢古文派息菴視角
   1. 秦漢古文派成立
   2. 息庵擬古文에 대한 批判的 受容
IV. 古文百選編纂動機特徵
   1. 編纂動機
   2. 體裁內容
   3. 選文觀
   4. 意義影響
V. 結 論
: 古文百選所載 息庵 評

연구결과

   『잔당오대연의에 대해서는 문학적인 검토와 함께 어학적인 고찰이 이루어졌으며, 역주 작업도 완료되었다. 특히 장서각 소장 번역 소설 목록과 간단한 소개도 함께 마련하였다.
   한시 번역 연구에서는 조선 중기에서부터 조선 후기 여성 독자를 위한 번역과 그 양상과 의미에 대한 폭넓은 검토가 이루어졌다. 특히 왕실에서의 번역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살폈다.
   『고문백선연구에서는 고문백선의 체제와 의미를 고문진보와의 대비를 통하여 잘 나타냈으며, 고문백선이 선집으로서 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밝혔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