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1-02
연구과제명
  • 국문 : 고려사의 역주 연구, 2
  • 영문 : -
연구책임자 허흥식
공동연구자
  • 정구복 / 본원 역사학전공 / 교수
  • 박용운 / 고려대학교 국사학 / 교수
  • 박종기 / 국민대학교 국사학 / 교수
  • 채웅석 / 가톨릭대학교 국사학 / 교수
  • 김기덕 / 건국대학교 국사학 / 강사
연구기간 2001-01-01 ~ 2001-12-15 연구형태 원고와 디스켔
연구목적 및 배경

   475년간 지속되었던 고려국가는 한국중세의 핵심을 이루며 이 시기에 대한 대표적인 정인지 등이 편찬한 고려사이다. 역사전공에서 그동안 대사업으로 삼국사기, 삼국유사, 경국대전을 완성하였으며, 이번에는 장기적이고 앞서보다 큰 작업으로 고려사 역주연구를 대상으로 삼았다. 고려사 역주는 고려국가의 역사를 통괄할 뿐 아니라 고대사는 물론 근대사에도 체계적인 연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고려사를 연대기적 세가와 문물제도를 서술한 各志, 인물에 대한 열전으로 나누어 3개의 작은 작업팀을 구성하고, 각분야로 연구를 확대하고 기존의 성과를 검토하여 취사 선택과 산삭을 더한다.

 

   1) 사료의 가공된 정도와 이를 반영한 목록 --

   사료는 原本寫本, 판독사본과 활자본, 사진과 影印本, 해제와 연구논문, 校勘本修正本, 註釋本譯註本, 書冊本電算本 등 여러 형태가 있고, 전산본인 경우에도 다양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가공된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사료의 가공단계에 따른 목록이 갖추어지고, 이에 따라 다양한 다양하게 확인이 가능한 검색의 전산화본에 이르기까지 성취된 정도가 밝혀진 정보체계가 확보되어야 한다

   2) 단편자료의 가공된 정도와 이를 반영한 목록 --

   각 자료에 대한 종합 목록은 물론, 각자료의 정리와 연구상황을 파악하여 전산화를 위한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단계를 파악하여 수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전된 단계로 추진하도록 기획한다.

 

   주석의 작업을 위한 기획의 목적은 모든 사료를 집적하고, 이들 상호간의 개별성과 상관성과 차이점을 빠르고도 정확하게 식별하여 정확하고도 체계적인 한국학의 연구를 증진시키는 준비하기 위함이다. 무엇보다 연구자를 사료의 수집과 대조, 교감으로부터 벗어나, 수준 높은 창조성을 발휘하도록 시간과 노력을 줄여주기 위한 작업이다.

   1) 작업의 순서를 설정하는 작업

   2) 각 사료의 목록과 해제와 가공 단계를 확인하는 작업

   3) 모든 자료를 필요한 사항을 신속하게 검색할 뿐 아니라 이를 종합적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전산 입력하는 작업

   4) 입력으로 만족하지 않고 고도의 학술정보체계를 갖도록 가공하는 작업

   5) 사료의 개별화와 종합화 및 원형에 가깝게 복원시키는 작업

   6) 원문의 교감, 색인, 분류가 가능하도록 일체화시키는 작업

   고려사를 중심으로 1)고려시대를 편년적으로 연결되는 시간적인 모든 사료를 연결시키고, 2)공간적으로 고려를 떠나 해외에서 활동한 흔적과 해외의 고려에 대한 관심도 집적시키면서 연결시키는 방안을 모색한다. 3)인명을 추적하여 이들이 공간과 시간을 연결하여 고려와 해외에서 활동한 사실을 종합한다. 4)고려의 물산이나 제도와 해당된 사항이 국내외에 관련된 사항을 연계하여 역주한다.

 

 

연구내용
   고려사의 역주 연구는 성과가 50책을 예상하는 방대한 작업이므로 이를 5개년 계획에 의하여 역주를 마치고 6년째에는 출간(인쇄 또는 CD-rom)을 예상하므로 다음과 같이 6개년 계획으로 다음과 같이 5개년 계획을 세우고 진행한다.

 

   ∘ 1차년도 : 역주 가운데서 집약적 노력이 필요한 各志의 전문가를 담당시켜 그 가운데서도 주석이 가장 미비한 부분에 대한 모형적 주석을 시도하여 이를 연구결과로 제출한다.
   ∘ 2차년도 : 各志의 본격적 주석을 전문가의 분담으로 추진하고 열전의 주석과 고려사의 미비한 부분에 대한 보완 방향을 모색한다.
   ∘ 3차년도 : 각지의 주석을 계속 추진하고, 열전에 묘지와 행장 등 전기자료를 보완하는 방향을 모색한다.
   ∘ 4차년도 : 각지와 열전의 주석 및 고려사에서 미비한 불교지와 예문지의 보완을 위하여 묘비와 유적과 유물을 연결시켜 확대시키는 작업을 모색한다.
   ∘ 5차년도 : 각지의 주석 및 불교지와 예문지의 보완을 계속하고, 세가와 연표의 주석을 시도한다.
   ∘ 6차년도 : 이상의 주석을 총괄하여 CD-rom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출간하거나 독자에게 제공하는 통신으로 올리는 방법을 모색한다.

 

   2차년도에는 다음과 같이 연구참여자가 분담하여 고려사 諸志의 주석을 담당한다.
   - 허흥식: 선거지의 역주현황과 개선방향
   - 정구복: 예지의 역주현황과 개선방향
   - 박용운: 백관지의 역주와 향상방안
   - 박종기: 지리지의 역주와 향상방안
   - 채웅석: 형법지의 역주와 향상방안
   - 김기덕: 오행지의 역주와 향상방안
   이상과 같이 2001년도에는 본격적인 선거지와 예지를 1차 착수하고 나머지는 2차년도에 본격적인 주석 작업을 진행시킨다.

 

   고려사를 역주하고 연구하기 위해서 우선 사료가 파악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사료가 어느 단계로 정리되었는가에 대한 목록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료의 편년화에 대한 작업의 순서와 미비한 분야에 대한 보충작업을 진행시키고 점검해야 하겠다.

 

   1. 사료의 범위와 목록화
   고려시대의 사료를 편년화하는 방향은 크게 사료의 범위를 설정하는 작업이고, 이를 실현한 결과가 자료의 목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고려시대의 사료는 고려시대에 정리된 사료와 조선시대에 편찬된 자료라도 고려사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면 범위에 포함 시킬 수 있다. 또한 오늘날에 발견되고 판독하고 활자화된 자료라도 고려사에 관한 내용이 실렸거나 고려시대에 제작된 문헌이나 유적이나 유물이라면 범위에 포함시켜야 한다.
   모든 사료는 제작된 당시에 관한 사실을 전혀 담지 않기는 어렵지만 내용의 대부분이 다른 시대를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국사기는 고려중기의 김부식이 중심되어 편찬하였고, 진서표는 물론이고 내용 가운데에도 고려의 당시 지명과 연결시켜 설명한 부분이 적지 않다. 그러더라도 대부분 분량은 삼국시대의 사실을 기록하였으므로 고려시대의 사실은 극히 적은 분량이다.
   삼국사기에 편찬된 해당 시대인 고려시대의 사실은 적게 실려 있다하더라도 편찬자의 관점ㅡ사학에서 이를 사관이라 역사의식이란 용어로 자주 쓰였다ㅡ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전체가 중요한 사료로 쓰일 수 있다. 관점이란 사실이나 내용보다는 편집체계나 다른 사서와 비교하여야 규명되는 비교사학의 일면이 있으므로 해당 시대와 다른 대상을 수록했다 하더라도 편찬당시의 사관이 반영된다. 사관이란 서술하려는 대상의 시기보다는 서술한 시기의 사관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삼국사기를 고려시대의 사료로 취급하는 측면은 사실면에서는 조선시대에 편찬된 고려사보다 중요성이 적지만 고려시대의 사관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려사보다 훨씬 중요성이 있다. 편년사료대계에서 가장 주의할 점은 사실의 내용만 중요시하고 당시의 사관에 관한 연구를 어렵게 만들 위험성이 있다. 편년사대계에서 전산회되는 만큼 편년적인 나열에 그치지 말고 모든 자료를 저술하거나 간행된 연대별로도 수록함으로써 당시의 관점도 입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배려하기를 빠뜨리지 말아야 하겠다.
   고려시대의 사료란 사실뿐 아니라 사관을 포함한 당시에 편찬된 삼국시대의 사서도 필요하므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모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조선시대에 편찬된 고려사와 고려사 절요는 물론 최근에 처음 소개된 고려시대의 금석문과 고문서도 포함시키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사료는 삼국시대와 이에 대한 보고서가 나오거나 시기에도 포함되는 이중성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작은 규모의 금석문, 고문서 유물과 유적 등 사료는 이를 같은 부류끼리 종합하여 고려사의 부분적 단위로 수렴할 필요가 있다.
   모든 사료는 사료가 나타내는 시간상 사실과 사료가 작성된 시기의 관점을 반영하는 이중성이 있으며, 이를 구분하기 어려운 당시의 자료는 극히 적다. 따라서 사료가 나타내는 시간적 다양성은 사료의 정리와 이용에서도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고려사 역주를 추진하는 사업은 어느 한시대를 잘라서 완성하기는 어렵다. 이 사업의 완성이란 용어를 사용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완성을 목표로 삼은 작업의 과정에 불과하지만 가령 고려사의 역주가 어느 정도 추진되었다고 표현될 정도라면 이와 인접한 시기의 역주도 상당한 진전되어 연결되게 마련이다.
   고려사의 역주에 수록될 범위는 목록으로 정리하고 새로 보고되거나 정리하는 자료를 보완하는 교정을 거쳐야 한다. 우선 문헌자료로 사서와 문집, 금석문, 고문서를 들 수 있다. 비문헌 자료로는 유적과 유물에 대한 목록과 사진과 해설서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좀더 세분하여 사례를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1) 문헌사료
      (1) 사서 -- 가장 깊이 있는 연구와 번역, 그리고 주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를 종합할 필요가 있고 새로운 천착은 단시일에 향상시키기 어렵다.
      (2) 문집 -- 작가에 따라 정리된 단계가 일정하지 않다.
      (3) 고문서 -- 문집보다 적은 분량이고 근래에 정리되고 있으나 번역과 역주에는 한계가 있다.
      (4) 金石文 -- 비석, 묘지, 인장, 화폐, 瓦塼, 大簡, 碑石墓誌의 판독은 진전되었으나 인장과 와전 등의 정리는 미비하다.
      (5) 逸書目錄 -- 삼국사기와 고려사에는 예문지가 없으므로 일서목록은 후에야 작성되기 시작하였고 매우 불충실하다.
   2) 비문헌자료
      (1) 유물(도자기, 유기, ) -- 문화재목록과 도서관 및 개인의 수장목록을 종합하여 작성될 필요가 있다.
      (2) 유적(궁궐지, 사지, 주거지, 왕릉, 묘지, 성곽, 제방, 수리시설) -- 조사보고서와 사적목록을 종합할 필요가 있다.
      (3) 회화 -- 문화재 지정보고서와 博物館收藏目錄 등을 안내서로 이용할 수 있다.
      (4) 건축 -- 유적에 포함된 문화재인 경우가 많다.
   3) 일괄자료
      (1) 복장물 -- 불복장. 탑복장의 보고서는 매우 단편적이고 연구자의 관심있는 분야만 정리되고 종합적인 일괄보고서는 극히 적다.
      (2) 寺址 -- 폐사지에 대한 조사보고서와 문화재가 보유한 사지에 대한 설명은 문화재에 부가하여 설명된 경우가 많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高麗史 選擧志譯註 現況改善事例
         ················· 허흥식(본원 교수)
머리말
1. 選擧志典據構成
2. 飜譯註釋現況
3. 選場同年錄
4. 禘祫功臣의 분석
5. 맺음말

 

고려사 예지 역주 현황과 개선 사례
         ················· 정구복(본원 교수)
1. 머리말
2. 예지의 구성
3. 예지자료의 구성
4. 예지자료의 성격과 의미
5. 맺음말
고려사 예지 역주

 

譯註 高麗史地理志 - 楊廣道
         ················· 朴宗基(國民大 國史學科 敎授)
머 리 말
1. 楊廣道 序文 譯註
2. 南京留守官 楊州, 屬郡3 · 屬縣6 譯註
3. 安南都護府 樹州, 屬縣6 譯註
4. 仁州, 屬郡1 · 屬縣1 譯註
5. 水州, 屬縣7 譯註
6. 江華縣, 屬縣3 譯註
7. 廣州牧, 屬郡4 · 屬縣3 譯註
8. 忠州牧, 屬郡1 · 屬縣5 譯註
9. 原州, 屬郡2 · 屬縣5 譯註

 

▨ 『高麗史刑法志 譯註(1) - 職制, 奸非, 戶婚, 大惡, 殺傷
         ················· 蔡雄錫(가톨릭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 『高麗史五行志 水行 譯註
         ················· 金基德(건국대 국사학과 강사)

 

譯註 高麗史百官志(1)
         ················· 朴龍雲(고려대 국사학과 교수)

연구결과

   선거지와 예지는 착수 첫해이므로 전체적인 역주 현황과 번역 사례를 제시하였고, 백관지, 지리지, 형법지, 오행지는 2차년도분 역주에 착수하여 본래의 계획량 1500매를 1000매 초과하였으며, 2책분량의 역주본을 간행할 예정임.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