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1-06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고유사상 · 문화론의 연구사적 검토
  • 영문 : -
연구책임자 허창무
공동연구자
  • 김경일 / 본원 / 교수
  • 서영대 / 인하대학교 / 교수
  • 윤명철 / 동국대학교 / 겸임교수
  • 복기대 / 단국대학교 / 학예연구사
연구기간 2001-03-02 ~ 2002-02-28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그간 우리 학계에는 고유사상-문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어온 바, 이 고유사상-문화론은 민족적 정체성을 정립하는 문제와 관련해서 중요할 뿐 아니라, 21세기의 대안문화를 찾는 과제와 관련해서도 시사하는 바 크다는 지적도 있음. 이 연구는 고유사상-문화에 대한 논의가 우리 사상사-학술사 속에서 전개되어온 과정과 그 논의들의 근거-타당성 및 의의들에 대해 살피고자 하는 3개년 대과제의 2차년도 연구로서, 민족문화의 원류에 대한 남북 학계의 인식 및, 동이에 대한 연구동향, 천부경 문제, 고유 무속론 등에 대해 살피고자 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문헌연구 ;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헌연구에 치중할 수밖에 없다. 우선은 관련 연구사 및 논쟁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일부터 시작할 것이며, 그를 통하여 논의의 발전과정과 쟁점을 추출할 것이다.
   2. 비교사상적 시각 ; 해당 이론을 논평함에 있어서는 이론 자체의 논리구조를 분석하고 타당성을 살피는 데 그치지 않고, 다른 문화권 속에는 유사한 요소가 없는지 하는 것과 다른 이론들과는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 하는 것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고유성론의 객관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유념한다.
   3. 연구자 협의회를 통한 연구방향 조율 ; 연구자 협의회를 수시 개최하여 연구상황을 점검하고 연구방향을 조율하며 연구자간에 빠진 부분과 중복된 부분이 없도록 조절한다.
   4. 전문가 워크샾(연구결과발표회)을 통한 보완 ; 보고서의 1차 집필이 마무리된 후에는 외부 관련 학자들의 참여하에 연구결과발표회를 개최해서 의견을 교환하고 그 결과를 보충하여 최종 보고서를 작성한다.

 

연구내용
   ✳✳ 금년도(2000)의 연구내용(소주제)는 다음과 같음.
   (1) 한민족문화의 연원과 동이문제 (허창무, 본원)
   (2) 남한 주류사학계의 민족문화 연원 연구 (복기대, 단국대)
   (3) 북한사학의 고대문화 인식과 현황 ㅡ선사시대와 고조선을 중심으로ㅡ (윤명철, 동국대)
   (4) 천부경의 연구사적 검토 (김경일, 본원)
   (5) 한국 샤머니즘 연구사 (서영대, 인하대)

 

   ✳✳ 본 과제는 당초 3개년 연구과제로 기획하여, 1차년도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한 바 있음.
   (1) 고유사상-문화론의 전개와 의의 (허창무)
   (2) 神仙사상론의 검토 (정세근)
   (3) 한사상론의 검토 (박재주)
   (4) 민족주의사학(신채호-안재홍-정인보)의 고유문화론 (정영훈)
   (5) 최남선의 고유문화(不咸文化)(윤휘탁)
   (6) 대종교의 고유사상-문화론 (권혁수)
   (7) 환단고기의 고유사상-문화론 (신원봉)

 

   ✳✳ 3차년도에는 다음과 같은 주제를 상정하고 있음.
   (1) 花郞道의 연구사적 검토
   (2) 홍익인간이념의 연구사적 검토
   (3) 단군신화의 연구사적 검토
   (4) 고유종교론의 연구사적 검토
   (5) ‘三一神誥검토
   (6) ‘參佺戒經符都誌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韓民族文化淵源東夷問題
         ············· 허창무(본원, 교수)
I. 序論
II. 한민족의 연원에 대한 여러 주장
   1. 민족문화의 동질성 문제
   2. 민족문화의 형성문제
   3. 민족문화의 형성과 동이
III. 중국인의 동이인식의 변화
   1. 선진시대 중국인들의 동이인식
   2. 한당시대 동이인식의 변화
   3. 송명이후 동이인식의 변화
IV. 한국인의 동이인식의 변화
   1. 삼국시대의 동이인식의 변화
   2. 고려시기 동이인식의 변화
   3. 조선시대 동이인식의 변화
      1) 조선초기의 동이인식
      2) 조선후기 동이인식의 변화
V. 결론

 

南韓 主流史學系의 민족문화 연원 연구
         ············· 복기대(단국대, 교수)
1. 머리말
2. 해방후 연구의 주요 관점
   1) 연구대상의 설정
   2) 연구성과
3. 民族文化 形成說
   1) 外部流入說
   2) 自體形成說
4. 고조선중심지론
   1) 滿州說
   2) 平壤中心說
   3) 移動說
5. 앞으로의 방향

 

북한사학의 고대문화 인식과 현황 ㅡ선사시대와 고조선을 중심으로ㅡ
         ············· 윤명철(동국대, 교수)
1. 서언
2. 남북 역사학의 인식차이
3. 선사 시대의 인식
4. 고조선 시대의 인식
5. 맺음말

 

천부경의 연구사적 검토
         ············· 김경일(본원, 교수)
1. 들어가는 말
2. 천부경의 서지적 이해 : 성립 배경과 유통 경위
3. 천부경의 연구사 및 연구동향
4. 천부경의 사상적 의미
   1) 대종교의 경우
   2) 재야사학의 경우
5. 나오는 말

 

韓國 샤머니즘 硏究史
         ············· 徐永大(인하대 사학과, 교수)
1. 머 리 말
2. 해방 이전의 연구
   (1) 조선후기
   (2) 일제시기
3. 해방 이후의 연구
   (1) 고대의 토착종교 연구
   (2) 고려시대의 토착종교에 대한 연구
   (3) 조선시대의 토착종교에 대한 연구
4. 맺 음 말

연구결과

   당초 연구 계획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고대 중국인들과 고대 한민족의 세계관 내지 천하관은 동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따라서 이들의 동이인식의 변화를 통해서 오늘의 우리민족의 정체성에 대해서도 더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2. 대종교 측의 천부경 해석과 이진진의 천부경 해석은 근대적인 휴머니즘의 차원에서 이해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보여진다.
   3. 토착종교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이 분야 전공자와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관계 자료의 증대가 요청되며, 이와 병행하여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4. 북한은 남한과 동일한 역사적인 경험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현 체제가 규정하는 역사발전의 흐름 속에서 적지 않은 부분이 다르게 해석되고, 서술되고 있다. 그리고 이 같은 차이는 현재의 정치적인 상황이 규정하고 있으나, 결국 그 명분은 역사관에서 비롯되고 있는 것이다.
   5. 남한의 민족문화 연원연구는 순수한 문헌사학이나 고고학적 방면에서는 어느 정도 연구성과가 있지만 그 주변 학문에 대해서는 연구 부족하다. 예를 들면 이제 초보적이지만 유전자관계 연구나 신석기 및 청동기 시대의 자연환경연구 등은 아직 전무한 상태라고 봐야 한다.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 한국고유사상과 문화에 대한 연구가 보다 다양한 학제적인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