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1-16
연구과제명
  • 국문 : 덕성(德性)과 지혜(智慧)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계학
공동연구자
  • 이상훈 / 본원 민족문화연구소 / 교수
  • 이종철 / 본원 민족문화연구소 / 조교수
  • 박홍태 / 동덕여자대학교 / 교수
  • 조정호 / 서울대학교 BK21-APED / 특별연구원
  • 서명석 / 공주교육대학교 / 강사
연구기간 2001-03-21 ~ 2001-11-24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교육의 알파와 오메가는 사람이다. 궁극적으로 교육은 삶다운 삶, 사람다운 삶을 구현하기 위한 기획이다. 삶다운 삶, 사람다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물격(物格)에 불과한 인간을 하나의 어엿한 인격(人格)으로 기르는 일이 중요하다. 그것이 교육의 본질이다. 지난 해(2000) 본인이 수행했던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격은 죽순처럼 매끄럽게 자라나는 것이 아니라 대나무처럼 마디져 자라난다. 인격발달은 신체발달처럼 양적으로 증대하고 기능적으로 분화와 통합을 거듭하면서 점진적 · 연속적으로 성장했다가 노쇠해 가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이긴 하지만 極則反의 원리를 따라 단속적 · 비약적인 초월의 과정을 거쳐 계속 발달해 간다. 그리고 인격발달의 최종과정에 이르러서는 대초월의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인격을 확립하게 된다. 이러한 사람들이 인격발달의 표준이고 기준이며, 사람으로서의 품격을 극한까지 이룩한 성인군자들이다. 그들이 인격을 확립한 방법론적인 특징은 덕성의 함양에 있고, 그들의 인격적인 특징은 지식이나 기술이 아니라 탁월한 지혜(智慧)에 있다. 지혜란 주어진 삶의 상황에서 올바르게 헤아리고 판단하여 슬기롭게 살아가는 지적 능력이다. 그러므로 지혜란 삶다운 삶, 사람다운 삶을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지적 능력이다. 그래서 이러한 지적 능력이 덕성과는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동서양을 가로질러 인류의 위대한 교학사상을 중심으로 구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우선, 이 연구는 '덕성과 지혜'의 관련성을 교육학, 신학, 철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공동으로 연구한다는 점에서 다학문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 이 연구에서는 인류의 위대한 교사들의 교학사상이 중심적으로 논의되기 때문에, 고전 중심의 문헌연구(文獻硏究)가 될 것이다. , 유가(儒家)에서는 유학의 고전들, 불가(佛家)에서는 불경, 특히 반야지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화엄철학의 고전들, 고대 희랍의 경우에는 플라톤의 저작들, 기가(基家)에서는 성서(지혜서, 잠언, 시편)와 기독교 신학자들의 저서, 그리고 선가(仙家)에서는 동양의 고전과 그간에 이루어진 무()문화에 관련된 동서양의 문헌들이 고찰의 대상이 될 것이다. 그리고 덕성과 지혜에 관련된 현대의 연구물이나 최신의 논문들도 고찰의 대상이 될 것이다.
   셋째로, 시간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멀리 있는 것을 가까이 가져와서, 옛날과 지금 사이에 다리를 놓는 재해석의 과정을 통하여, 보다 더 보편적인 새로운 이해에 도달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넓은 의미에서의 해석학적(解釋學的)인 방법이 될 것이다.

 

연구내용
   덕성(德性)과 지혜(智慧)란 말의 개념을 분명하게 정의내린다. 그리고 이들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동양에서는 선가(仙家)의 교학사상과 유가(儒家)의 교학사상, 그리고 불가(佛家)의 교학사상에서 구명한다. 아울러, 서양 문명의 양대 지주를 이루어 온 고대 희랍의 교학사상과 기가(基家)의 교학사상에서 구명해 본다.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덕성과 지혜간의 관련성을 논의한다. 따라서 덕성과 지혜에 대한 개념 정의는 이 연구의 서장(序章)이 될 것이고, 선가(仙家), 유가(儒家), 불가(佛家), 고대 희랍, 및 기가(基家)의 교학사상에서 구명한 덕성과 지혜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은 이 연구의 중심 내용을 이루게 될 것이다. 그리고 덕성과 지혜의 관련성에 대한 종합적 논의는 결장(結章)이 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I장 서론
         ·············· 이계학(본원교수)

 

II장 선가(仙家)의 덕성과 지혜
         ·············· 조정호(서울대 특별연구원)
1. 머리말
2. 선가의 전승 : 한국문화의 소산
3. 선가의 덕성 : 조상숭배를 통한 공동체의식
4. 선가의 지혜 : 이타성에 바탕을 둔 예지
5. 맺는말

 

III장 유가(儒家)의 덕성과 지혜
         ·············· 이계학(본원교수)
1. : 유가의 덕성과 지혜
2. 덕성과 지혜의 관련성
   1) 중용의 지혜 ()
   2) 공자의 일이관지의 도
   3) 맹자의 양지양능론과 지혜
   4) 주자의 명덕론과 지혜
   5) 왕양명의 양지론과 지혜
3. : 동전의 앞면과 뒷면

 

IV장 불교의 덕성과 지혜ㅡ불교윤리학ㅡ
         ·············· 이종철(본원교수)
1. 들어가는 말
2. '무아론'의 천석-와수반두의 '인식론적 존재론'
3. 나가르주나의 사상
   3.1. 연기가 곧 공성
   3.2. 속제와 진제 : 지식과 지혜(반야)
   3.3. 공 사상의 윤리적 함의
4. 구마라집과 그의 문하 : 공사상의 동아시아 정착
   4.1. 승조의 공사상
   4.2. 축도생의 불성론
5. 맺는말

 

V장 노장의 도와 덕, 그리고 지혜
         ·············· 서명석(동국대)
1. 마음과 지혜의 접선
2. --자연-무위의 간-놀이틀
3. 도덕의 운동과 본래성
4. 도에로의 복귀와 지혜의 생성 가능성
5. 노장적 지혜의 지형학

 

VI장 기가(基家) 전통에 있어서의 덕성과 지혜
         ·············· 이상훈(본원교수)
들어가는 말
1. 기독교 이전(헤브라이즘)에서의 '지혜'의 전통
   1) 우주적 질서와 삶의 유비로서의 '지혜'
   2) 제도화로서의 지혜 교육
   3) 실생활에서의 '지혜'의 확장
   4) 신학적 탐구 대상으로서의 자리매김
2. 기독교(신약) 전통에서의 '지혜'의 의미
   1) 예수의 공생애와 지혜자
   2) 구속사의 핵심으로서의 지혜
3. 교회사 존통을 통해 본 지혜와 덕성
   1) 합리성 너머로서의 신앙과 지혜
   2) 이성과 신앙의 통합을 지향하면서
   3) 지혜를 추구하는 신앙의 국면
   4) 근현대적 전통 속에서의 지혜와 덕성
4. 지혜와 덕성, 그 상관성에 대한 기가적 함의
   1) '아는 것''경험하는 것' 사이
   2) 참 자아 형성과제로서의 지혜와 덕성
나가는 말

 

VII장 고대 그리스에 있어서 덕성과 지혜
         ·············· 박홍태(동덕여대교수)
1. 머리말
2. 영웅사회에 있어 덕성과 지혜
3. 비극에 있어서 덕성과 지혜
4. 소크라테스 시대에 있어서 덕성과 지혜
5. 맺음말

연구결과

당초의 연구계획에 의하여 각 연구자들이 협의를 거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문제
2. 선가(仙家)의 덕성과 지혜
3. 유가(儒家)의 덕성과 지혜
4. 불교의 덕성과 지혜 불교윤리학 시론
5. 노장의 도와 덕 그리고 지혜
6. 기가(基家) 전통에 있어서의 덕성과 지혜
7. 고대 그리스에 있어서 덕성과 지혜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