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2-24
연구과제명
  • 국문 : 재외 한인의 역사와 문화 : 한민족 공동체 연구(1)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경일
공동연구자
  • 윤휘탁 / 동아대학교 / 연구교수
  • 임성모 / 연세대학교 / 강사
  • 이동진 / 형사정책연구원 / 연구원
연구기간 2002-03-22 ~ 2002-12-15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지정학적 위치와 역사적 특수성을 배경으로 식민지 지배를 경험한 한국은 일찍이 19세기부터 만주를 비롯한 중국과 일본, 러시아, 미국의 여러 지역들로 민족이산을 경험하여 왔다. 오늘날 해외에 정착해서 살고 있는 한민족은 세계 142개국에 560만 명에 이르러, 중국과 이스라엘, 이탈리아에 이어 세계 4위의 규모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세계 각지에 산재한 해외 동포들에 대한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최대의 과제인 민족통일이라는 과제뿐만 아니라 이와 밀접히 연관된 동아시아에서 안정과 평화의 정착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이 연구에서는 중국(만주)과 일본, 미국, 러시아,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 뉴질랜드의 주요 지역들에 역사적/현재적으로 거주했거나 거주하고 있는 해외 한민족들의 이주사와 아울러 일상생활과 문화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를 연차적으로 진행해 보고자 한다. 재외 한민족의 역사와 생활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조사를 통해 이들의 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민족 공동체나 글로벌 네트워크(global network)와 관련하여 그것의 의미와 전망을 설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연구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연구는 중국 일대의 한인 사회를 연구하는 것에서 나아가 단순히 이들을 고립된 공동체로 보지 않고, 모국과의 연관 관계에도 아울러 초점을 맞추어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민족 공동체, 또는 global network의 문제의식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장춘(新京), 심양(奉天), 하얼빈, 대련과 조선인 밀집 거주지역인 연길 등에서의 조선인 공동체에 관한 문헌 연구와 현지 조사를 병행하려고 한다. 특히 이들 지역들에서 조선인공동체의 지역공동체, 직업공동체, 상호부조조직 등의 형성 여부와 아울러, 이들 조직들의 해당 사회/지역에서의 역할, 그리고 모국과의 연계 등을 검토할 것이다. 역사적(통시적)이고 공시적인 연구를 결합하여, 중국사회 내부의 정치, 경제, 사회 변동에 따른 한인 사회의 변화 양상과 아울러, 1980년대 이후 이른바 한중 수교 이후 조선족 사회의 변화와 그 실태, 그리고 한국으로의 노동력 이주와 관련한 현지 사회의 변화 양상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려고 한다. 나아가서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주제와 관련된 주요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함으로써 만약 사정이 허락한다면 연구논총의 시리즈와 아울러 자료집 발간을 구상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연구내용
   해외 한민족에 대한 연차 연구의 첫 해에는 해외 이민사회의 형성이 가장 빨랐던 중국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려고 한다. 중국에서도 만주 일대는 일제시기 조선인이 가장 많이 이민을 간 지역이었다. 만주의 농촌에는 농업이민자가 다수였지만, 대도시에서는 노동자계급, 중간계급, 자본가계급 등을 망라하여 다채롭게 존재하였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보면 예컨대 만주의 대도시에서 조선인사회가 존재하였는가 아니면 계급사회로 용해되었는가가, 그리고 조선인사회가 존재하였다면, 계급과 민족이 어떻게 교차하였는가가 주요한 쟁점의 대상으로 부각될 수 있다. 만주에서의 조선인기업가에 관한 사례 연구가 있는데, 1960년대 중반이후의 미국 대도시에서의 제1세대 한인이민기업가에 관한 연구와 관련하여 의의를 가지고 있다(Light & Bonacich 1988).
   만주의 대도시에는 기업가뿐만 아니라 관료, 대학교수, 언론인, 문인 등 중간계급도 얼마간 존재하여, 이산사와는 구별되는 이민사에서 선구적인 위치를 점한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해방 후에 남한에 귀환하여 남한의 엘리트의 일부를 이루었다. 그리고 이들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이 만주의 대도시와 농촌 지역의 조선인사회에 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 각 지역의 이민자사회에 관한 비교 연구로서, 그리고 1960년대 중반 이후의 이민사와의 비교 연구로서, 나아가 남한 엘리트 형성의 한 경로에 관한 연구로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특히 박정희 시대는 이러한 만주국 엘리트가 정책 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최근에 대동아공영권에 대한 비판, 만주국에서의 2등국민설에 대한 비판 등이 제기되고 있지만, 실제로 만주의 대도시와 농촌에서 조선인사회의 실상, 조선인엘리트와 대중의 생활에 관한 자료의 수집이나 실증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 이어 연차적으로 일본과 미국, 러시아, 캐나다, 호주(뉴질랜드 포함) 지역에 대한 연구 조사를 향후 5개년에 걸쳐(2002년도 포함) 진행하려고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만주국 대도시의 조선인 이민사회 연구
         ················ 김경일(본원 교수 · 사회학)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2. 만주 이민사회의 형성
3. 이민사회의 구성과 그 특성
4. 도시에서의 민족 구성과 직업 활동

 

□ 「滿洲國奉天巿民族構成朝鮮人
         ················ 尹輝鐸(東亞大 硏究敎授)
1. 序論
2. 奉天巿形成民族構成
   1) 奉天巿沿革發展過程
   2) 奉天巿民族構成人口分布
3. 職業 商工業分野에서의 民族構成
   1) 民族別 職業分布現況
   2) 民族別 商工業 · 貿易實態
4. 勞動分野에서의 民族構成
   1) 民族別 就業實態
   2) 民族別 處遇實態
5. 保健社會敎育分野에서의 民族構成
   1) 民族別 保健福祉實態
   2) 民族別 敎育實態
6. 結論

 

이민과 정착 사이 : 만주국 시기 新京의 조선인 공동체
         ················ 이동진(한국형사정책연구원)
1. 서론
2. 장춘/신경의 도시화와 조선인의 이민과정
   2-1. 장춘/신경의 도시화의 두 계기 : 철도 건설과 국도 건설
   2-2. 조선인의 이민과정
3. 신경에서의 조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3-1. 인구수
   3-2. 인구집중도
   3-3. 직업
   3-4. 기타 사회인구학적 특성
4. 조선인의 이중의 통합
   4-1. 집단으로서의 통합
   4-2. 개인으로서의 통합
5. 조선인 공동체의 이중의 분리
   5-1. 집단으로서의 분리
   5-2. 개인으로서의 분리
6. 결론 : 귀환자와 잔류자

 

만주국 시기 하얼빈 조선인 사회의 형성과 실태
         ················ 임성모(연세대 강사)
머리말
1. 만주국 수립 이전의 하얼빈과 조선인 사회의 형성
   1-1. 하얼빈의 도시 형성
   1-2. 하얼빈 조선인 사회의 형성
2. 만주국 수립 이후 하얼빈의 발전과 변용
   2-1. 하얼빈의 확장과 경제권 형성
   2-2. 중동철도 접수와 하얼빈 경제권의 쇠퇴
   2-3. 군사 · 정보 거점으로서의 하얼빈
3. 만주국 시기 하얼빈 조선인 사회의 실태
   3-1. 하얼빈 조선인 사회의 인구사회학적 실태
   3-2. 하얼빈 조선인 단체의 정치 · 사회 활동
맺음말

연구결과

   이 연구는 한민족 이민사에서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 동북3(만주) 지역에서의 만주국 시기(1932-1945) 대도시 조선인 이민사회의 형성과 구조를 해명하고 있다. 이 연구는 4명의 공동연구자가 장춘(新京), 심양(奉天), 하얼빈의 3개 대도시를 사례로 이들 도시에서 형성된 조선인 이민 사회를 역사적 시각에서 조명하였다. 만주 지역에 대한 연구의 주류가 조선인 인구밀집 지역인 연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이주사 위주였던 것에 비해, 이 연구는 대도시의 조선인 이민 사회에 초점을 맞춰 각 도시에서 조선인 이주의 과정과 경로, 조선인 이민사회의 구성과 성격, 도시 내에서 지역적 분포와 집중, 도시에서의 일상생활의 여러 양상들 및 민족/인종집단들과의 상호관계, 식민지 조선과의 연관 등의 다양한 차원에 걸친 분석을 시도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