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2-11
연구과제명
  • 국문 : 과학기술시대의 생명문화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도성달
공동연구자
  • 최진덕 / 본원 / 부교수
  • 김상봉 / 전 그리스도신학대학교 / 부교수
  • 유병렬 / 서울교육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2002-01-01 ~ 2002-12-15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 ‘생명문화는 인간의 생명과 존엄성을 모든 가치의 정상에 두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삶의 이상과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이유도 생명의 가치가 본질적, 근원적 가치라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오늘의 문화개념이 규범적인 것에서 기술적인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지만, 문화는 본질상 가치와 이상, 인간의 바람직한 삶의 모습과 분리될 수 없다. 오늘의 과학기술 문화에 대한 진단과 평가는 도덕적 당위를 그 준거로 삼아야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기능적 합리성이나 효율성을 중시하는 현대 과학기술 문화에 담겨진 반 생명문화를 고찰하고 생명문화 정립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러나 생명문화의 개념 자체에 대한 논란이 있고, 생명문화의 대상과 연구방법에 대한 이론적 정립이 미흡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더구나 이러한 연구는 철학, 윤리학, 종교학, 의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들간의 학제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단기 연구와 소형 과제로서는 많은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 이런 한계와 난점을 예상하면서도 본 연구를 수행하려는 것은 생명문화 연구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촉발하고 생명사상을 새롭게 인식케 함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우선 생명문화의 개념과 이론적 정립을 위해 동서양의 생명사상에서 그 중핵적 가치를 추출하고, 이러한 생명가치가 현대 과학기술 문화에서 지니는 의미, 그리고 생명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윤리적 처방과 제도적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되, 토론과 세미나 형식의 연구를 병행한다.
   - 생명문화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 틀을 정립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연구진과 관련 분야의 학자들과 공동으로 웍샾을 개최한다.
   - 각 분야별로 연구자는 연구의 기본방향과 프레임을 작성하여 전체 연구자 협의를 통해 확정한다.
   - 생명사상을 다루는 연구자는 기본적으로 생명문화의 핵심적 가치를 추출한다.
   - 연구자는 각 영역별로 생명문화의 개념과 이론적 틀에 준거하여 전체적으로 일관성과 공동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 본 연구의 중간발표는 늦어도 8월 이전에 세미나 형식으로 실시하고, 이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반영하여 최종 원고를 작성한다.
   - 각 분야별로 생명문화 정착을 위한 제도적, 윤리적 방안을 탐색한다.

 

연구내용

   1, 생명공학시대의 생명문화와 윤리(도성달)

   2, 칸트와 생명의 문제(김상봉)

   3, 儒學生命思想 - 生命과 죽음, 그리고 倫理: 老莊儒學의 사이(최진덕)

   4, 생명문화 형성을 위한 환경윤리와 환경교육(유병렬)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생명공학시대의 생명문화와 윤리
         ················· 도성달(본원 교수)
1. 왜 생명문화의 문제인가
2. 생명문화의 개념 정립을 위한 탐색
   1) 생명의 존재론적 본질로서 자유
   2) 인간존엄성의 근거로서 자유
   3) 자유의 반 테제: 환원주의와 결정론
   4) 과학기술의 힘과 생명문화
3. 생명문화에서 본 생명공학의 쟁점
   1) 생명공학 시대의 철학적 토대 : 발생술
   2) 정보 시스템으로서 생명체
   3) 인간생명의 차등과 불평등 : 우생학 이데올로기
4. 생명공학 시대의 생명윤리의 원리
   1) 미시윤리에서 거시윤리로
   2) 동기윤리에서 책임윤리로
   3) 가치윤리학의 새로운 조명
5. 요약 및 결론

 

칸트와 생명의 문제
         ················· 김상봉(전 그리스도신대 부교수)
1. 칸트와 생명의 철학
2. 생명의 개념
3. 부분과 전체의 상호의존성
4. 유기체와 생명
5. 목적론적 원리
6. 목적론과 기계론의 이율배반
7. 이율배반의 해소
8. 목적론과 생명의 형이상학

 

儒學生命思想 - 生命과 죽음, 그리고 倫理: 老莊儒學의 사이
         ················· 최진덕(본원 부교수)
1. 생명과 죽음의 다름과 같음
2. 죽음을 망각한 생명중심주의
3. 眞人 혹은 생명과 죽음의 이중주
4. 유학의 생명 중시와 義人의 죽음
5. 생명의 계보학과 인륜적 질서
6. 윤리적 의지의 생명 지배와 죽음 지배

 

생명문화 형성을 위한 환경윤리와 환경교육
         ················· 유병렬(서울교대 부교수)
1. 머리말
2. 환경파괴 및 생태위기의 실태와 원인
3. 환경윤리학의 제이론
   1) 서양 환경윤리학의 이론들
   2) 동양 환경윤리학의 이론들
   3) 동서양 환경윤리학 이론들의 시사점
4.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환경윤리교육의 방향과 과제
   1) 환경윤리교육의 의의와 중요성
   2) 현행 환경윤리교육의 현황과 문제
   3) 환경윤리교육의 개선 방향과 과제
5. 맺음말

연구결과

   생명문화의 개념과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서 동양의 노장사상과 서양의 칸트 철학을 살펴보았다. 특히 전자에서는 죽음의 의미를 통해 생명의 의미를 되새겨 보았고, 후자에서는 인간존엄성의 의미를 통해 생명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 두 연구를 통해 생명문화를 죽음과 삶이라는 두 각도에서 조명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과학기술시대에 필요한 생명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윤리적 처방과 제도적 방안을 생명윤리의 개념과 환경윤리의 측면에서 다루었다. 여기서는 생물학자들이 주장하고 있는 DNA와 도덕성과의 연관성을 비판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생명공학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도덕성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생명문화 정착을 위한 미시적이고 구체적인 방안들을 자세히 언급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