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연구결과물, 기타 파일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2-10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인의 일상생활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복수
공동연구자
  • 은기수 / 정문연 사회교육연구실 / 부교수
  • 박영도 / 정문연 사회교육연구실 / 연구교수
  • 故 박영은 / 前 정문연 사회교육연구실 / 前 교수
연구기간 2002-03-19 ~ 2003-05-23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이 연구는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구체적인 자료에 근거해 밝히고자 한다. 한국인, 한국사회의 특성은 제도, 구조 등 지금까지 학계가 관심을 기울여온 차원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일상생활과 같이 별로 관심을 기울여오지 않은, 어쩌면 지금까지는 무시되어온 분야에서 한국인, 한국사회의 특성이 만들어지고 유지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우리 자신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관해서는 누구나 잘 아는 것처럼 생각하지만, 막상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영위될까 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누구도 자신있게 한국인이 하루하루를 어떤 맥락 속에서 생각하고, 행위하면서 살아가는지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학계의 연구에서 무시되어 왔지만, 한국사회와 한국인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는 크게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로 나뉜다. 이론적 연구는 주로 프랑스에서 발달한 일상생활에 관한 이론 및 현상학 등의 관점에 연구에 기반하여 일상생활에 관한 이론을 정리, 소개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경험적 연구는 일상문화연구회가 펴내 두 권의 책이 있다. 그러나 경험적 연구는 모두 연구자 각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피상적 관찰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연구논문에 소개된 각 주제별 일상생활이 독자들이 모두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너무 많으며, 과연 한국인의 일반적인 일상생활이라고 볼 수 있을지 매우 의문스럽다.

 

   이 연구는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자료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서 1999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통계청은 4만여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각 사람당 이틀씩 매 10분 간격으로 자신들의 시간-일기를 쓰도록 했다. 그 결과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평일과 주말을 모두 포함하여 한국인들이 매일 10분 간격으로 무엇을 하고 지내는지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만들어냈다. 이전에도 한국방송공사는 1980년부터 매 5년 간격으로 국민생활시간조사를 했고, 그 보고서를 만들었다. 이 자료들은 모두 한국인들이 매일의 삶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고 살아가고 있는지 알려준다.

 

   이 자료는 비단 개인적인 차원에서 성, 연령, 교육수준, 직업 등에 따라 일과 여가를 어떻게 조화시키고 있는지 보여줄 뿐만 아니라 부부간에 함께 보내는 시간과 내용은 무엇이고, 따로 떨어져서 보내는 시간과 그 내용이 무엇인지도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가족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한국 사회에서 가족이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경우는 하루 생활 중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그 내용은 무엇인지도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 개인단위에서뿐만 아니라 부부단위, 그리고 가족단위에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3개년도 과제이다. 1차연도에는 개인 수준에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한다. 주로 일과 여가라는 측면에서 한국인들은 개인적으로 일상생활을 어떻게 영위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제2차연도에는 결혼을 한 부부를 단위로 일상생활을 어떻게 이루어가고 있는지 분석한다. 연령, 교육수준, 직업 등 여러 차원에서 부부가 함께 보내는 시간과 내용은 무엇이고, 따로 보내는 시간과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한다.

 

   제3차연도에는 가족단위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분석한다. 개인적인 수준에서의 일상생활이나 부부단위의 일상생활은 가족단위의 일상생활과 분리될 수 없다. 그러나 가족단위로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자료가 없거나 자료가 있어도 분석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이 연구는 아마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가족을 단위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한국인의 잠에 관한 연구
         ················· 은기수(한국정신문화연구원)
1. 서론
2. 기존연구검토
3. 자료 및 분석방법
4. 한국인의 여러 집단별 수면시간량과 수면시간대
   4-1. 주부들의 수면시간
   4-2. 전업주부와 맞벌이주부의 수면시간 비교
   4-3. , 중고등, 대학생들의 수면시간
   4-4. 미혼 직장인의 수면시간
5. 한국 여성들의 수면시간
6. 요약 및 결론

 

한국인의 여가와 미디어 사용
         ················· 김복수(한국정신문화연구원)
1. 서론
2. 일상생활에서의 일, 여가, 그리고 미디어
3. 분석; 한국인의 여가와 미디어 사용
4. 결론

 

거세된 시간, 식민화된 시간, 젠더화된 시간 : 시간압박 현상에 대한 시간론적 해석
         ················· 박영도(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교수)
1. 들어가는 말
2. 객관적 시간압박과 주관적 시간부족 인식 :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본 시간압박의 양상들
3. 시간압박 현상에 대한 시간론적 해석
   3-1. 거세된 시간
   3-2. 식민화된 시간
   3-3. 젠더화된 시간
4. 맺음말

연구결과

   김복수 교수는 이 연구에서 한국인의 TV 시청에 관해 분석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여가는 대부분 TV 시청으로 이어지고 있고 시청시간대가 동일한 여가의 동시화TV에 모든 여가가 종속되는 여가의 식민화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은기수 교수는 이 연구에서 한국인의 수면시간과 수면시간대에 관해 분석했다. 특히 주분의 수면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는데, 전업주부나 맞벌이주부의 수면시간양 및 수면시간대의 차이가 없음을 밝히고 있다.
   박영도 교수는 이 연구에서 시간압박에 관해 분석했다. 절대적 시간부족과 주관적 시간부족 사이에는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를 정신분석학적, 비판이론, 그리고 여성론의 입장에서 해석하고 있다.
   고 박영은 교수는 이 연구에서 한국인의 일상생활 중 전일제와 파트타임제 노동에 관해 분석하는 도중 지병이 악화되어 연구를 종결하지 못하고 타계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