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89-교육윤리-11
연구과제명
  • 국문 : 미군정시대 교육의 역사적 배경
  • 영문 :
연구책임자 이길상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9-06-01 ~ 1990-03-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1. 2차 대전 후, 미국의 한국점령을 보는 상이한 관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분석하고
2. 실증적 자료에 기초해서 연구자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며
3. 이 같은 새로운 관점으로부터 미군정시대 교육이 갖는 교육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배경


1. 연구배경: 8·15 직후에 대한 그간의 국내외연구는 첫째, 20세기 미국외교의 기본이념이나 흐름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오는 역사적 시각의 결여와 둘째, 1차 자료(당시 문서들)의 부족으로 많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두가지 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2. 자료: 1차 자료로서 연구자가 미국 구립문서보관소(Washington DC와 Mayland의 Suitland 두 곳)에서 수집한 한국관계 문서들을 활용하고 2차 자료로서는 그간 국내외에서 발표된 군정관계 학위논문, 저서, 그리고 각종 논문들을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내용

1. 연구내용
1) 기존의 관점들에 대한 소개 및 비판
2) 20세기 미국외교의 기본이념과 한국점령
3) 2차 대전중 미국의 한국에 관한 연구
4) 미국의 전시 외교에서 한국을 향한 태도
5) 미국의 한국점령이 갖는 교육사적 의미

2. 가설
전후 미국의 한국점령은 일시적 사건이나 군사 전략적 목적에서 만들어진 즉흥적 결정이 아니고, 미국외교의 기본이념과 전통에 바탕을 둔 당영한 결과였고 또한 2차대전 중 미국의 한국에 대한 연구에 기존한 준비된 행동이었다. 처음부터 교육은 점령의 명분으로서 강조되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 및 자료분석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