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89-교육윤리-3
연구과제명
  • 국문 : 해방후의 신교육운동의 전개 (1947 - 1949) 교육지 「조선교육」을 중심으로
  • 영문 :
연구책임자 홍웅선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9-06-01 ~ 1990-04-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해방 직후, 교육 이론의 진공 상태에서 새교육을 지향한 교육개혁의 방향을 제시한 문헌을 분석·검토함으로써
1. 일제교육의 잔재가 어떻게 불식되었으며,
2. 이른바 새교육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까지 누가 어떠한 생각을 발표하여, 교육 이론의 공백을 메구고 새로운 교육 사조를 수립하는 대교량적 역할을 하였는가를 살펴보려는 것임.

연구배경

해방 후, 교육자 단체로 백락준이 이끌던 교육문화협회, 안호상이 회장인 조선교육회, 오천석이 대표하는 새교육협회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국민학교의 아동교육연구회가 있었다. 이러한 단체들에 의해 편집 발행된 교육잡지로는 아동교육연구회의 「아동교육」과 조선교육연구회의 「조선교육」이 상당한 기간 동안 간행되었다. 본 연구는 1947년 4월에 창간이 되어 1949년 8월(?)에 종간이 된 「조선교육」을 빠짐없이 수집하여 그 내용을 분석 검토하려는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내용

1. 「조선교육」지가 1947년 4월 15일에 창간되기까지의 경위 "조선교육연구회"의 결성, 발기인 명단, 제정지원 등
2. 「조선교육」에 원고를 집필한 인사들에 대한 조사 분석
3. 「조선 교육」지에 발표된 교육 이론과 실제에 관한 논문의 비판적 분석
4. 「조선교육」지가 당시의 교육 개혁 운동에 끼친 영향
「조선교육」이 해방 직후 향방을 모르던 우리 나라의 교육계에 끼친 영향은 심대하였을 것이며, 그러한 활동은 50년대에 들어 우리 나라의 교육의 방향 및 내용을 결정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을 것이다.


연구방법

1. 「조선교육」지 전질의 수집(복사본이라도)
2. 집필자와 논문내용의 분류 및 분석
3. 시대별, 내용별, 집필 내용의 종합정리
4. 119447-1949년의 교육 이론 및 실제의 특질 규명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