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8-사회민속-4-다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필동(충남대 조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8-03-25 ~ 1991-02-28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조선시대 중인층의 형성 과정을 구성 범주별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각각의 구성 범주들이 갖는 법적적·사회통념적 수준에서의 신분·계급적 성격을 검토한 뒤, 각 구성 범주들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신분 범주로서 파악될 수 있는지를 살피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정리·발견된 사실들에 기초하여(특히 그 발전과정들을 음미해 봄으로써), 중인층이 조선사회의 변동 과정에서 수행한 역할과 역사적 의의를 조명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 연구
연구 내용
1. 머리말 2. 중인의 개념과 구성범주 3. 중인신분의 형성계기와 과정 4. 중인의 사회적 지위 5. 중인의 역할과 한계 6. 중인의 신분운동 7. 사회적·역사적 영향 8. 맺음말 본 연구는 세분된 주제에 대한 개척적 연구의 성격보다도(물론 가능한 범위에서는 그런 성격도 있지만) 기존 연구성과의 종합이라는 성격을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록연구의 성과들을 정리하고 쟁점들을 추려내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더하여 관련 자료들을 정리된 시각에서 재조명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김영모 1977 조선지배층연구, 일조각. 1982 한국사회계층연구, 일조각.
김필동 1982 "조선후기 지방이서집단의 조직구조(상/하)". 한국학보 28/29.
박천규 1980 "조선전기 서얼의 사회적 지위", 사학연구 30.
송준호 1987 조선사회사연구, 일조각.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