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0-사회민속-2
연구과제명
  • 국문 : 전국향토사회의 생활민속 자료 조사연구
  • 영문 :
연구책임자 이두현
공동연구자
  • 김택규 / 영남대학교 / 교수
  • 이해준 / 목포대학교 / 교수
  • 장철수 / 안동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1990-01-01 ~ 1990-12-30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세대 간 가치관의 혼란, 전통문화의 단절, 정체성의 상실 문제의 극복 방안으로서, 더 나아가 통일 후의 민족문화의 동질성의 확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전통생활 문화를 조사·정리하여 학술연구와 정책 수립의 바탕이 되는 종합 민속지를 연차적으로 발간함.

 

연구 배경 및 자료

 

 조선시대의 유교적 생활관은 마을의 경관뿐 아니라 인간관계와 신앙·의례 생활에도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전통적 가치관까지도 지배해왔다. 따라서 전통적 생활문화의 연구는 민속 조사와 함께 조선시대의 관찬 문헌과 개인문집 등의 자료와 연관시켜 보다 깊이 연구될 수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조사, 질문지조사, 면접조사, 참여관찰조사

 

연구 내용

 

 생활문화는 역사적 산물이면서 또한 사회적 현상이라는 관점에서, 전통적 일상생활공간이었던 마을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형성되어 왔다. 따라서 조사 단위를 마을로 하되, 조선시대 이래의 마을의 형성, 역사적 인물과 유적, 인간관계와 조직, 생활과 물질문화, 의례와 신앙의 내용과 변화를 조사하고, 이에 연관된 문헌자료로서 읍지, 족보, 호적 대장들을 정리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