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1-교육윤리-9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안귀덕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1-12-15 ~ 1992-06-14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급변하는 한국 사회와 청소년 문화 형성과의 사이를 연계하는 이론적 틀을 탐색하고 이 같은 틀 속에서 한국 청소년이 인식하고 느끼고 표출하는 문화 내용 양태를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음.
연구 배경 및 자료
청소년 문화 변천에 관한 기존의 문헌을 토대로 한국 청소년 문화에 대한 분석 모형의 설정과 이를 통한 청소년 문화 분석을 통해서 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는 것임.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청소년문화연구(1)에서는 해방이후 지금까지 청소년 문화와 관련된 기존의 문헌(논저) 분석을 통하여 한국 청소년 문화의 내용과 변천과정을 시대별로 기술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청소년 문화연구(2)에서는 현재의 청소년 문화의 실상을 조사하려는 것으로서 각 영역별 변인에 대한 척도 개발 및 조사를 통한 개량적 분석, 면접·관찰을 통한 질적 분석 연구를 하고자 함.
연구 내용
이 연구는 청소년 문화를 5개 영역으로 구분·조사하고자 함.
1) 청소년 의식 영역(사회의식, 정치의식, 윤리의식 등) 2) 청소년 가치관 영역(생의 목적, 행복, 결혼, 직업 등) 3) 정신건강 영역(자아정체감, 스트레스, 소외 등) 4) 언어 문화 영역(언어 내용, 은어, 비속어, 언어표현 특성 등) 5) 동료 문화 영역(놀이, 비행, 취미 등)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