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1-교육윤리-4
연구과제명
  • 국문 : 현대 교육이론의 한국적 조명
  • 영문 :
연구책임자 오만석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91-12-15 ~ 1992-06-14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현대 우리나라는 과열 입시경쟁으로 인한 입시 위주의 교육, 평가 위주의 교육, 단편적 지식중심의 교육으로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의 교육이론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이 한국 교육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2000년대 한국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및 자료

 

 20세기 전반부의 교육학은 "교육의 과학화"라는 슬로건에서 볼 수 있듯이, 실증주의 교육이론에 의해서 주도되어 왔으나, 197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종래의 교육학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과 함께 여러 입장에서 교육학의 획기적 재구성을 시도해 왔으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이들 노력에 대한 종합적 정리 및 검토가 미흡하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 조사 및 워크숍

 

연구 내용

 

 이 연구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을 지배해온 기능주의 및 실증주의적 교육이론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20세기 중반부터 제안되어온 인간주의 교육이론, 사회비판적 교육이론, 해석학적 교육이론, 후기 근대주의적 교육이론을 중심으로 이들이 한국 교육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의 개선에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연구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서론

 2. 기능주의적 교육풍토

 3. 인간주의 교육이론과 한국 교육

 4. 한국 교육의 문제와 사회비판이론

 5. 현대해석학에서 본 한국 교육의 문제와 과제

 6. 후기 근대주의 이론과 한국 교육의 방향

 7. 2000년대 한국 교육의 방향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