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중점연구/연구교육연계 | ||
---|---|---|---|
과제코드 | AKSR2019-RE0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전용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9-01-01 ~ 2019-06-30 | 연구형태 | 연구교육연계 |
연구목적 및 배경 | 이 강좌를 수강하는 석박사 과정생으로 하여금, 서학 및 서양과학 수용사에 관한 기초지식을 함양하고, 해당분야의 고전문헌 강독, 나아가 원전으로부터 논제를 추출하고 논문을 작성하는 연구자적 소양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
연구방법 및 내용 | 19세기 조선유학자 김치진(金致振, 1822~1869)의 『척사론(斥邪論)』을 번역하고 주석을 붙임. 담당 교수와 수강생 전원이 공동 강독을 통해 초벌 번역과 주석을 수정함.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斥邪論序* 1. 東人問答**, 2.卞斥造成天地, 3.卞斥天神魔鬼, 4.卞斥四元行**, 5.卞斥元祖原罪*, 6. 卞斥天堂地獄*, 7.卞斥降生救贖三位一體*, 8.卞斥認主報主, 9.卞斥神父敎宗*, 10.卞祭祀, 11.卞斥四末*, 12.卞斥聖事七蹟, 13.卞斥異端*, 14.卞斥聖櫝*, 15.卞斥十誡*, 16.卞斥致命, 17.卞斥窘難, 18.卞斥愛仇, 19.卞斥痛悔默想明悟, 20.卞斥三德三司三仇四樞七克八端十四哀矜*, 21.卞斥婚配, 22.卞斥科宦, 23.卞斥救靈*, 24.卞使之背敎*, 25.卞世人虛傳說, 26.卞回改, 27.總論, 28.卞救弊, 29.斥邪十一條*, 30.明天學本旨* ●목차에서 *표시는 본 연구에서 처음 번역한 항목을, **표시는 본 연구에서 재번역한 항목을 나타낸다. 표시가 없는 것은 이전에 다른 사업의 지원을 받아 번역된 것이다. |
||
연구결과 | 김치진(金致振, 1822~1869)의 『척사론(斥邪論)』을 완역하여, 한글 번역 원고는 전체 200자 원고지 약 960매를 완성함. 이 가운데 약 500매는 이전 강독회에서 완성된 것이며, 금번 연구를 통해서는 이전에 번역되지 못했던 부분과 재번역한 부분을 합쳐 총 460매(A4 60매)의 새로운 번역문을 완성함. |
||
참고문헌 | (1) 『척사론(斥邪論)』의 판본 및 관련 원전 ① 金致振, 1856, 규장각본(奎1225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② 金致振, 1931, 국립중앙박물관본(古1621-4), 조선총독부발행. ③ 尹宗儀, 1848, 『闢衛新編』, 수원교회사연구소(영인본, 1990). ④ 許侙, 1903, 『大東正路』, 여강출판사(영인본, 1985).
(2) 2차 연구문헌 노대환, 2006, “19세기 중반 김치진의 「척사론(斥邪論)」”, 『대구사학』 84. 노대환, 2008,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 노론 척사론의 전개”, 『조선시대사학보』 46. 노대환, 2011, “19세기 중반 李鎬冕의 「原道攷」와 척사론”, 『교회사연구』 36. 박종천, 2016, “조선 후기 영남 유학자들의 벽 이단론(關異端論)”, 『철학연구』 138. 徐昌治, 養鸕徹定 編, 안경덕, 이주해 역, 2018, 『파사집: 17세기 중국인의 기독교 비판』, 일조각. 송요후, 2018, “김평묵(金平默)의 「벽사변증기의(闢邪辨證記疑)」에 나타난 척사사상(斥邪思想)에 대(對)하여”, 『동국사학』 64. 원재연, 2018, “정조대 처사 홍정하의 천주교리서 비판과 천주교 인식: 「성세추요증의」를 중심으로”, 『동국사학』 64. 유성선, 2016, “華西學派 衛正斥邪論의 義理精神 一考察”, 『화서학논총』 7. 이기경 저, 김시준 역, 1987, 『闢衛編 : 韓國天主敎迫害史』, 명문당. 차기진, 2002, 『조선 후기의 西學과 斥邪論』, 한국교회사연구소. |
||
연구결과물 |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 |
---|---|
이 연구에서는 서학비판론을 담고 있는 김치진(金致振, 1822~1869)의 ????척사론(斥邪論)????을 완역하였다. 목차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척사론(斥邪論)????은 서문을 제외하고 전체 30항목에 걸쳐 천주교의 각종 교리와 의례에 대해 유가철학자의 입장에거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출하는 전체 한글 번역원고 약 960매 가운데, 약 500매는 이전에 다른 사업의 지원을 받아 번역한 것이며, 금번 연구를 통해서는 이전에 번역되지 못했던 부분과 재번역한 부분을 합쳐 총 460매(A4 60매)의 새로운 번역문을 완성하였다. |
|
세부과제별 요약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