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중점연구/연구교육연계
과제코드 AKSR2019-RE03
연구과제명
  • 국문 : 사회적경제의 사회학
  • 영문 : Sociology of Social Economy
연구책임자 한도현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19-01-01 ~ 2019-06-30 연구형태 연구교육연계
연구목적 및 배경

본 연구과제는 본원의 연구교육연계 사업으로 지정된 20191학기 개설 강의 <사회적 경제의 사회학>이다. 이 강의 안에서 사회적 경제의 사상사와 관련 이론들을 연구함으로써 사회적 경제 논의의 학술적 지평을 넓히고 역사사회학적 접근을 통해 한국 역사 속의 사회적 경제 자원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경제 연구의 한국적 발전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사회적경제 이론에 있어 여러 접근을 탐색했으며 한국과 외국의 사회적경제 실천 사례를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이 과목의 성과를 working papers(초고논문)로 생산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연구참여를 실질적으로 유도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이 교과목에서 사회적경제의 역사문화적 전통을 탐색하고 사회적경제의 이론들, 실용주의 사회학(pragmatic sociology), 시민 경제학, 도덕적 경제(moral economy), 여성주의(feminism) 등 다양한 실천경험과 관련된 주제와 관점에 대한 학습과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문가 특강, 강독, 토론 등을 진행했다.

또한, 본 교과목은 수업 시간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온라인 카페를 수업 도구로 하여 활발하게 활용하였다 (http://cafe.daum.net/cooperation-study). 카페 운용 방법은 학습진도표에 따라 지정된 논문/학술서 등과 초청 전문가들이 특강 전에 지정해준 주요논문/연구서 등을 읽고 수업 전날까지 논평문(Response Paper)을 작성하여 카페에 올려 학생 상호간에도 동료들의 Response Paper를 읽고 비평할 수 있도록 하여 상호학습의 공동체를 실행하여 사회적 경제의 이론과 그 실천의 사례를 보다 심층적으로 학습하고 수업 시간의 시공간적 제한을 보완하여 수업 효과 및 연구 효과 향상을 도모하였다.

뿐만 아니라 강의실 밖에서도 교수와 학생, 또 학생 상호 간의 토론을 전개하였으며, 워크숍, 현장답사, 결과발표회 등을 통해 연구-교육 연계 과제의 성과를 제고하였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전문가 특강

(1) 특강자 : 김창진 (성공회대 교수, 사회적경제 대학원장)

특강내용: <세계협동조합운동사: 사상과 실천>

(2) 특강자 : 정해창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특강내용: <실용주의>

(3) 특강자 : 김병수 (도시기획자, 전 사회적기업 이음대표)

특강내용: <도시의 미래, 삶을 위한 공동기획사>

(4) 특강자 : 엄은희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특강내용: <다문화와 사회적경제: J-K Gibson Graham의 경제이론을 바탕으로>

(5) 특강자 : 안애경 (Sonoann Organization 대표, 아트디렉터/큐레이터)

특강내용:

(6) 특강자 : 윤형근 (한살림연합 전무이사)

특강내용 : <무위당 장일순의 사상과 실천>

(7) 특강자 : 김기섭 (파프리카인터네셔널 대표)

특강내용 : <생명의 사회적 경제를 위해>

(8) 특강자 : 박재천 (제정구기념사업회 상임이사)

특강내용 : <복음자리의 역사: 제정구 선생과 정일우 신부의 활동을 중심으로>

    2) 수강생들의 초고논문 10

       (1) 커뮤니티와 사업의 혼재 사회적협동조합 청년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2) 프리랜서 교육서비스 사업자 협동조합의 성공 요인 강서구 내 교육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3) 경력단절 여성들의 자조운동으로서 협동조합

       (4) 사회적 경제를 통한 노인자살예방의 가능성

       (5) 쪽방촌 주민들의 가난의 문화넘어서기 - ‘동자동사랑방사랑방마을주민협회의 실천을 중심으로

       (6) 시각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별 공급 현황 분석
       (7) 아파트 키즈, 기억의 실천 - ‘추억할 권리에서 시작된 도시 커먼즈 운동
       (8) 사회적 경제모델을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개발 성공사례 연구: 캠프 NGO의 필리핀 국제개발 사업 분석
       (9) Community of Practice and Embodied Cooperation: Argentine Tango in Korea
       (10)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Insurance Cooperatives in South Korea: The Blue Cross Medical Insurance Cooperative and Its Pioneering Leader Jang Gi Ryo

연구결과

본 대학원에서연구-교육 연계과제로서 진행된 본 수업에서 초청특강 강사들의 발표문과 발표자료 9(수업 중 8, 워크숍 중 1)을 확보해 다양한 지적 자극과 연구의 자산으로 삼을 수 있었다. 그리고 수강생들의 연구논문 10편이 작성되어 학생들의 다양한 연구 관심을 키우면서 생산된 모든 초고논문들은 본 과제의 주제인 <사회적경제의 사회학>과 직접 관련되어 있다. 또한, 학생들은 기말 연구논문을 제출할 때 각자가 전문학술지를 선정하여 그 학술지의 투고요령에 따라 논문을 작성하여 논문 작성 요령 및 투고에 대한 기초훈련을 받게 되었다. 본 수업의 참여자들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연구논문 draft를 발전시켜 완성된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경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강생 개인들의 연구역량의 발전이 기대된다. 이미 한 편의 논문(김은식)은 국내외 학술회의에서 발표되어 CIRIEC 2019 국제회의에서 큰 관심을 얻은 바 있었다. 저명 국제학술지 편집자로부터 투고 요청이 와서 수정 후 투고할 계획이다

참고문헌

김성기, 2014. 사회적 경제의 이론과 실제. 아르케

김왕배. 2011. 호혜경제의 탐색과 전망. 사회와이론. 19:177-213.

김의영. 2011. 굿 거버넌스 연구 분석틀: 로컬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0(2): 209- 234.

김의영,구양미,권헌익,안도경,안상훈,이옥연,이준웅,최인철,한신갑. 2016. 사회적경제의 혼종성과 다양성. 서울: 푸른길.

김정섭. 2013. 농촌지역사회의 자율성과 협동조합: 홍동면 사례연구, 농촌사회23(2): 173-211

김정섭.정유리.유은영. 2017. 농촌 지역사회발전 접근방법의 유형과 실천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창진. 2015. 퀘벡 모델: 캐나다 퀘벡의 협동조합사회경제공공정책. 경기도 고양:가을의 아침

김희송. 2016. 사회적경제 연구의 동향과 쟁점: 2001-2005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16(1): 51-87.

문용식. 2009. 1718세기 사창을 통한 지방관의 재정 보용 사례, 역사와현실72:69-101.

박숙경 외,. 2017. 장애인 탈시설 방안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시설에서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박주형.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공간과 사회23(1):5-43.

사단법인 선 . 2016 리더를 위한 사회적 경제 강의: 사회혁신 리더 10인이 전하는 새로운 경제이야기. 아르케

이재열 외. 2015. 한국사회의 질: 이론에서 적용까지. 한울.

장일순. 2009(1997) 나락 한 알 속의 우주. 녹색평론사.

정규호. 2008. 풀뿌리 사회경제 거버넌스의 의미와 역할: 원주 지역 협동조합운동을 사례로, 시민사회와 NGO}. 6(1): 113- 148.

2013. 도시공동체운동과 협동조합 지역사회만들기, 정신문화연구, 36(4): 7-36.

2014. 자본주의 넘어서기로서 지역공동체 전략과 농업협동조합의 역할, 농촌사회. 24(2): 291-298.

주윤정(미발표).2019. 장치의 해체와 관계의 복원: 이탈리아 바자리아 법과 장애인 탈시설운동

차두원,진영현. 2016. 초연결 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미래. 한스미디어.

타나카 나츠코. 2014. 이탈리아 사회적 경제의 지역전개. 아르케.

한도현. 2018. 그라민 뱅크’ 600년 앞선 민초들의 신용조합. 세계일보. 2018.3.17. http://www.segye.com/newsView/20180316006501

Luc Boltanski. 2011. On Critique: A Sociology of Emancipation. London: Polity.

Bowles, Samuel. 2016. The Moral Economy: Why Good Incentives are No substitute for Good Citizens. Yale Univ Press.

and Herbert Gintis. 2011. A Cooperative Species. 최정규,전용범,김영용 옮김. 2016. 협력하는 종. 한국경제신문

Donnachie, Ian. 2000. Robert Owen: Owen of New Lanark and New Harmony. East Linton, Scotland: Tuckwell Press.

Evers, Adalbert and Laville, Jean Louis. 자활정보센터 옮김 2008. 세계화 시대의 새로운 복지: 사회적 경제와 제3섹터. 나눔의집

Hitlin and Piliavin. 2004. “Valu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Hitlin & Vaisey, S. (2013). The New Sociology of Morality. Annual Review of Sociology, 39(1)

Jacobs, Jane. 1961(1992)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유강은 역. 2010.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그린비)

Mook, L, J Quarter, and S Ryan. 2010. Researching the social economy. Toronto: Univ of Toronto Press.

Olsen, Mancur.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 public goods and the theory of groups (집단행동의 논리 : 공공재와 집단이론최광, 이성규 옮김. 한국문화사 2013).

Owen, Robert. 1991. A New View of Society and Other Writings. Penguin Classics. Penguin Books.

Owen, Robert. 하승우 역. 사회에 관한 새로운 의견. 서울:지식을 만드는 지식

Piliavin, J. and Hong-Wen Charng, “Altruism: A Review of Recent Theory and Research”.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 16: 27-65.

Polanyi, Karl. 1944,. The Great Transformation. 홍기빈 옮김. 2009. 거대한 전환. 도서출판 길.

Quarter, J, L Mook, A Armstrong. 2009. Understanding the social economy. Toronto: Univ of Toronto Press.

Rifkin, Jeremy. 2014. The Zero Marginal Cost Society. 안진환 옮김. 2014. 한계비용제로사회. 민음사.

Ropke, Wilhelm. 2014. A Humane Economy: The Social Framework of the Free Market. Intercollegiate Studies Institute.

Schwab, Klaus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dited by Foreign Affairs. (김진희, 손용수, 최시영 옮김. 4차 산업혁명의 충격). 흐름출판.

Simpson, Brent, and Robb Willer. 2008. "Altruism and indirect reciprocity: The interaction of person and situation in prosocial behavior." Social Psychology Quarterly 71.1 (2008): 37-52.

. 2015. "Beyond Altruism: Sociological Foundations of Cooperation and Prosocial Behavior". Annual Review of Sociology. 41:43-63

Stiglitz, Joseph E. 2015. The Great Divide: Unequal Societies and What we can do about them. New York: W W Norton and Company, Inc.

Udehn. 1993. “Twenty Five Years with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Acta Sociologica

Whyte, William Foote. 1982. "Social Inventions for Solving Human Problem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1): 1-13.

Whyte, William Foote and Kathleen King Whyte. 1988. Making Mondragon: The Growth and Dynamics of The Worker Cooperative Complex.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김성오 역. 2012. 몬드라곤에서 배우자: 해고 없는 기업이 만든 세상. 역사비평사)

Zamagni, Stefano and Luigino Bruni. 2004. Economia Civile. (제현주 옮김, 21세기 시민경제학의 탄생. 북돋움.)

Zmirak, John. 2001. Wilhelm Ropke: Swiss Localist, Global Economist (Library of Modern Thinkers). Isi Books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본 과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학생들의 연구참여를 바탕으로 진행된 연구-교육 연계과제이다. 개설과목은 <사회적경제의 사회학>이며 본 과제에서는 사회적경제의 사상사 및 이론 연구를 통해 사회적경제 논의의 학술적 지평을 넓히고 역사사회학 접근을 통해 한국 역사 속의 사회적경제 자원을 분석하여 사회적경제의 한국적 발전을 탐색하고자 했다.

영리 목적이 아닌 경제활동 영역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 비영리조직, 협동조합, 자원봉사활동, 윤리적 경제, 윤리적 소비, 국제협력, 공정교역 등을 사회적 경제라는 개념으로 포괄하고 있다. 이 영역은 시장과 정부라는 이분법적 구분에 근거한 접근방식에서는 과소평가되어왔지만, 시장과 정부를 중심으로 한 사회 경제적 위기 극복 노력이 차례로 좌절을 겪게 되면서부터 부각되기 시작되면서 오늘날 사회적 경제는 유럽과 미국으로부터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많은 나라에서 시민사회와 국가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대학원에서는 사회적 경제에 대한 연구와 강의의 개설이 아직 많이 부족하다. 본 과제에서는 이 한계를 염두에 두고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사회적 경제 분야의 연구와 실천을 대학원 세미나에서 다루기로 했다. 이를 위하여 실용주의 사회학(pragmatic sociology), 시민경제학, 도덕적 경제(moral economy), 여성주의(feminism) 등 다양한 실천 경험과 관련된 주제와 관점에 대한 학습과 분석을 병행하였고 다양한 영역의 연구자들을 초빙해 특강을 진행하였으며, 우리 대학원에서 가까운 수도권에 사회적 경제 실천을 지원하는 서울시의 <서울혁신파크>를 답사를 했다.

강의 진행에 있어서 수업 시간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온라인 카페를 수업 도구로 하여 활발하게 활용하였다 (http://cafe.daum.net/cooperation-study). 카페 운용 방법은 학습진도표에 따라 지정된 연구논저들과 초청 전문가들이 특강 전에 지정한 주요 논문들이나 학술 저서 chapters을 읽고 수업 전 날까지 논평문을 작성하여 카페에 올리도록 했다. 이를 통하여 사회적 경제의 이론과 그 실천의 사례를 보다 심층적인 학습, 또는 수강생 상호 간의 토론뿐 아니라 교수-학생 간의 토론을 유도하였다. online 카페를 활용함으로써 수업 시간의 시공간적 제한을 보완하여 수업 효과 및 연구 효과 향상을 도모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학기 말 논문을 소논문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권장하고, 그 결과들을 working papers와 학술대회 발표문, 그리고 등재지 학술논문 등으로 생산하여 학생들의 연구 참여 기회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물로는 전문가 초청 8, 현장답사 1, 학술 결과 발표회 1, 학술논문 10편 등이있다.

학생들의 학기말 연구논문은 다음과 같다.

(1)커뮤니티와 사업의 혼재 사회적협동조합 청년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2)프리랜서 교육서비스 사업자 협동조합의 성공 요인 강서구 내 교육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3)경력단절 여성들의 자조운동으로서 협동조합, (4)사회적 경제를 통한 노인자살예방의 가능성, (5)쪽방촌 주민들의 가난의 문화넘어서기 - ‘동자동사랑방사랑방마을주민협회의 실천을 중심으로, (6)시각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별 공급 현황 분석, (7)아파트 키즈, 기억의 실천 - ‘추억할 권리에서 시작된 도시 커먼즈 운동, (8)사회적 경제모델을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개발 성공사례 연구: 캠프 NGO의 필리핀 국제개발 사업 분석, (9)Community of Practice and Embodied Cooperation: Argentine Tango in Korea, (10)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Insurance Cooperatives in South Korea: The Blue Cross Medical Insurance Cooperative and Its Pioneering Leader Jang Gi Ryo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