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중점연구/연구교육연계
과제코드 AKSR2019-RE02
연구과제명
  • 국문 : 고려사의 역사민속과 문화변동 교육과 연구
  • 영문 : An Educational R&D Study of the Historical Folkore and Cultural Variations on the History of Goryosa
연구책임자 김일권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19-01-01 ~ 2019-06-30 연구형태 연구교육연계
연구목적 및 배경

본 과제는 한국 민속문화사 연구의 토대로서 고려시대에 주목하고서, ????고려사???? 「세가원전을 통한 고려시대의 역사민속문화양상을 직접 검토 분석하여, 원사료적 접근력과 해석력을 높이는 연구목적과 나아가 고려 당시의 역사민속문화 양상을 매 왕력별 및 주제범주별로 추출하여 각기의 자료특성을 구체화하는 연구목표를 지닌다.

연구방법 및 내용

· 고려사의 판본 고찰 및 선행 출간 자료물 분석

· 고려사」 「세가의 연대기별 강독과 원전적 이해 심화

· 고려사」 「세가의 왕력별·주제별 시대적 배경과 특성 고찰

· 고려사의 왕력별 풍속과 문화양상 기록물 개괄 작업 전개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고려사 세가 태조~정종대 역사민속 양상

2. 문종~신종대 역사민속 양상

3. 희종~충렬왕대 역사민속 양상

4. 충선왕~공양왕대 역사민속 양상

연구결과

1. 우리 민속현상의 중요한 시대적 근거인 고려시대의 역사민속문화 양상과 문화특질을 당시 시기별 흐름을 통해 조명하고 관련 자료를 추출함.

2. 고려사」 「세가에 나타난 역사민속문화 양상을 건국초기부터 고려 중기 및 후기의 각 왕력별로 정리한 토대결과물을 구축함.

3. 강독 및 토론을 통한 고려사」 「세가원전 검토와 고려시기 풍속의 대표적 주제와 시기적 문화범주를 추출 및 개발함

4. 태조대 훈요십조, 광종대 과거제도와 관복·관례제도, 성종대 천춘절의 절일문화 시작과 원구제천의 기풍제, 중동팔관회의 시대별 변모와 양상 등 세부 자료와 이슈 개발한 토대자료집 개발함.

참고문헌

고려사」 「세가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본 교육-연구 과제는 고려시대의 문화양상을 2차 논문류가 아닌 원전을 통해 직접 접하도록 함으로써 원사료적 핸들링 능력을 높이는 교육적 학문성 함양과 나아가 고려시대 민속문화 양상을 각 왕력별로 그리고 주제범주별로 파헤쳐 각기의 자료특성을 입체화하는 연구 심화를 목표로 삼았다.

교육측면에서, 첫째, 고려사의 판본 상황을 우선적으로 이해하는 교육이다. 고려사가 어떤 과정을 통해 성립되었고 어떤 편차와 구성을 지니는지를 개괄함으로써 이번 학기 다루는 대상자료의 기본 특성을 교육하고 공부하였다. 주된 참고자료는 북한 사회과학원 주관의 1964년 번역본(신서원 영인) 및 누리미디어 DB(2003),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의 국역 고려사(경인문화사, 2008), 국사편찬위원회의 고려사DB(2009~2015), 한중연의 고려사 역주 연구 시리즈물 등을 활용하였다.

둘째, 고려사」 「세가의 왕력별로 진행하는 강독과 교육이다. 수업 진도에 맞추어 나누면, 1:태조 원년(918)~5:덕종 3(1034)(p.65~267), 6:정종 즉위년(1034)~9:순종 즉위년(1083)(p.268~442) 등등 대략 50년 내외 분량으로 갈라서 접근할 수가 있다. 번역본을 위주로 하되 해당 원문을 동시에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셋째, 그 고찰의 결과로서 매 왕력별로 어떤 풍속과 문화 양상이 기록되어 있는지를 직접 확인하고 토론함으로서 고려시대 민속문화의 실제적 양상을 도모하려는 교육적 목표를 세웠다.

연구측면에서, 첫째, 매 왕력마다 문화양상과 자료 내용이 같지가 않다. 예컨대 광종대는 불교 중심의 문화, 성종대는 유교 중심의 문화, 의종대는 도교 중심의 문화 등이 돋보이며, 그렇지만 고려가 지향한 다원주의 맥락에 따라 유불도의 삼교 관련 자료가 공히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다. 민속학 주제에 직접 관련되는 세시풍속 기록과 축연이나 잔치문화 기록 등 제반 양상이 매 왕력마다 어떻게 개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매 왕력마다의 문화 양상을 개괄하는 작업을 전개한다. 예컨대, 문종대 23(1069) 3.2(3.27)에는 삼짇날 잔치와 시회를 열었으며, 선종 2(1085) 3.3(3.30)에는 한식 겸 상사제(上巳祭)를 올렸다. 이런 양상을 문종대 기준으로 삼짇날, 연등대회 등의 세시풍속 문화 양상, 상춘정 곡연(曲宴) 등의 축연문화 양상, 천변소재의 초재를 올린 구정(毬庭)문화 양상 등등으로 주제 범주화하여 정리 연구하였다.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