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91-사회민속-6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두현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1-01-01 ~ 1992-06-14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직면하여 각 지방의 마을들의 과소화현상과 더불어, 고로들의 사망으로 전통문화의 단절이 심화되어가고 있다. 이 시점에서 전통 생활 문화를 조사·정리하여 기록으로 남기고, 학술 연구와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가 될 심층적인 종합민속지를 작성하는 데 있다.
연구 배경 및 자료
조선시대의 유교적 생활관은 마을의 경관뿐 아니라 인간 관계와 신앙·의례 생활에도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전통적 가치관까지도 지배해왔다. 따라서 전통적 생활문화의 연구는 민속조사와 함께 조선시대의 관찰문헌과 개인문집들의 자료와 연관시켜 보다 깊이 연구될 수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조사로서 읍지·족보·호적 등과 질문지 조사와 면접 및 참여관찰 조사를 실시한다. 1991년은 1990년의 선행 조사에 이어 제 1차년도 조사로서 호남지역의 영암군 영암읍 장암리 장암정 마을(반촌 문씨마을),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참빗마을) 등 2개 마을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연구 내용
전통 생활의 터전이었던 마을을 단위로 하되, 각 지역의 문화 영역에 따라 대표적인 마을을 선정하여 실시하되, 마을의 형성, 역사적 인물과 유적, 주민의 구성, 가족과 친족, 생업과 의식주, 세시풍속과 놀이, 가신신앙과 마을신앙, 기타 종교 생활 등 전통 생활 문화의 역사와 그 변천을 살핀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