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1-사회민속-3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복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1-01-01 ~ 1991-12-31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전통적으로 매스 미디어의 기능은 정보나 오락을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주로 논급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가 거대화되고 산업화되면서 그 기능도 원자화된 수용체를 결집시킬 수 있는 힘의 원천으로, 사회 변혁을 인도하는 견인차로 그리고 수용자의 일탈 행위를 막는 사회화 과정의 수단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오늘날 우리 나라는 산업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기존 질서가 도전을 받고 있는 현실에 처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급속한 사회 변화에 따른 가치 갈등의 현실 속에서 매스 미디어가 무엇을 할 수 있고 또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 연구: 매스 미디어의 기능을 구조기능주의적 관점에서 연구 조사연구: 전문과들과의 면접(Delph: Technique)을 통해 문제점 및 해결 방안 모색
연구 내용
1. 사회 발전 과정에 있어서의 매스 미디어의 기능 (선·후진국 비교 연구) 2. 공동체 의식 창출 산업으로서의 매스 미디어의 위상 3. 변혁과 역사 발전 그리고 매스 미디어와의 관계 4. 미래 사회의 특징과 가치 갈등 해소 방안 연구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