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3-교육윤리-7
연구과제명
  • 국문 : 대학생의 지성 및 덕성함양을 위한 교양교육 분석
  • 영문 :
연구책임자 오만석
공동연구자
  • 박우희 / 서울대학교 / 교수
  • 김정오 / 서울대학교 / 교수
  • 이각범 / 서울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1993-01-01 ~ 1993-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새로운 시각과 개념틀에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지성, 덕성 및 리더쉽을 함양시킬 목적으로 우선 외국의 저명 대학들에서 실시 중인 교양 교육을 그 유형, 목표, 내용, 실시 방식 등에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배경 및 자료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하버드 대학,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 캠브릿지 대학, 일본의 동경대, 독일의 훔볼트 대학 등을 그 대상으로 그 교양교육의 목표, 내용 및 방식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각 대학에서 교양 교육과 관련해서 수행된 연구보고서(예: 하버드의 경우 코너코스보고서, MIT의 하쓰보고서, 동경대 보고서), 코스 개관 및 운영 방식 등을 분석하는 틀을 만들고, 특히 지성, 덕성 및 리더쉽 함양과 관련되는 교양 교육 추천도서목록 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각 대학에서 실시 중인 교양 교육은 해당 대학이 그 시대정신과 이에 따라 요구되는 과업에 부응하기 위해 교양교육의 기본 개념, 가치 및 원리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것인 만큼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가 당면한 제 문제들의 해결에 필요한 지성, 덕성 및 리더쉽 프로그램의 이론적 틀이 마련된다. 

 

 1. 교양교육의 비교분석 차원의 설정, 교양교육의 기본 정신의 변천, core approach, distributional approach, great books approach 등의 각 특성, 장·단점의 평가

 2. 교양교육과 관련된 각 대학의 연구보고서 분석, 기존교양교육의 문제점, 새 교양교육방식의 기본 시각, 하버드, 동경대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려 함.

 3. 교양교육과목 기술(description) 분석. 영역, 이수요건, 평가방식, 교양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 등.

 4. 덕성, 지성 및 리더쉽 함양과 관련된 교양 과목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을 분석. 

 예) social and moral reasoning, public action의 사회적 책임, 리더쉽 강좌 내용 분석 등. 

 5. 교양교육에 포함되어 있는 추천도서 목록 분석 및 정리. 특히 덕성, 지성 및 리더쉽 함양을 중심으로 하는 도서목록 작성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