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3-교육윤리-5
연구과제명
  • 국문 : 교원양성 교육에 관한 연구
  • 영문 :
연구책임자 안귀덕
공동연구자
  • 김영우 / 공주사범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3-01-01 ~ 1994-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해방 이후 한국 교원 양성 제도와 체제는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특히 초등 교원 양성 변천 과정사에 대한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아 이를 연대별로 그 특징을 체계적으로 밝혀보고자 함. 

 

 

연구 배경 및 자료

 

 초등교원 양성 제도에 관한 사적 자료의 수집 정리를 통하여 "초등교원 교육사"라는 한 권의 책을 발간하고자 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연구와 전문가 협의

 

 

연구 내용

 

 1. 미군정기의 초등 교원양성(1945-1948)

 2. 정부 수립 후 사범학교 교원양성(1948-1950말), 사범학교 현황(목표 교육과정, 운영 현황, 부설 교원양성기관 운영 현황 포함)

 3. 교육대학 제도와 교원양성(1960년대)(제도 교육 과정 운영 현황, 임시 초등 교원양성소)

 4. 1970-80년대의 초등교원양성제도와 운영현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001. <1940년대 후반기의 초등교원 양성>
002. 서론
003. 미군정기의 초등교원 양성
004.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의 초등교육 양성
005. <1950년대의 초등교원 양성>
006. 개관
007. 사법교육시책
008. 사범학교
009. 사범학교 부설 초등교육 양성 과정
010. 기타 단기 초등교육 양성과정
011.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교육과)
012. <1960년대의 초등교육 양성>
013. 개관
014. 교육대학
015. 보수교육제도
016. 임시 초등교원 양성소
017.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교육학과)
018. <1970녀대의 초등교원 양성>
019. 개관
020. 교육대학
021. 교육대학 부설 임시 초등교원 양성소
022. 대학의 초등교원 양성과정
023. <1980년대의 초등교원 양성>
024. 개관
025. 교육대학
026. 임시 초등교원 양성소와 보수 교육 제도
027. 대학의 초등교원 양성 과정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