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3-정치경제-1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강광식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3-01-01 ~ 1993-12-15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분단체계하에서 야기된 남·북한 간의 이질성이 통일 시 심각한 사회·심리적 후유증을 유발할 것을 예상. 그 극복방안을 체계적으로 모색함으로써 통일준비 과정의 내실화와 통일 기회비용의 극소화에 기여
연구 배경 및 자료
- 남·북한 이질화에 관한 선행연구 자료 - 통일한국의 미래상에 관한 선행연구 자료 - 통일 독일 현장 연구 자료 - 위의 선행연구자료에 대한 유기적 연관 분석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 문헌연구 - 전문가 집단의 워크샵
연구 내용
- 남북한 기존체제의 분야별 이질화 양상 - 비교분석(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학술 등) - 남·북한 주민의 주요 사회가치체계 갈등양상 비교분석(역사관, 도덕규범관, 국가관, 기타 일상적 가치관) - 통일 대비 갈등적 기존 사회가치체계 융화 방안 모색
1. 예상되는 사회심리적 갈등의 원인 분석: 체제적 측면 1) 정치 2) 경제 3) 사회, 문화 4) 교육, 학술
2. 예상되는 사회심리적 갈등의 원인 분석: 가치체계적 측면 1) 역사관 2) 도덕규범관 3) 국가관(대외관) 4) 사회관(일상적 가치관)
3. 현장경험사례 분석 1) 통일독일 현장경험사례 2) 남·북 대화 현장경험사례 3) 월남 귀순자 현장경험사례
4. 사회심리적 갈등 해소방안 탐색 1) 통일이전 단계 2) 통일이후 단계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1. 序論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