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3-사회민속-1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조 커뮤니케이션의 형태 연구
  • 영문 :
연구책임자 김복수
공동연구자
  • 박정규 / 청주대학교 / 교수
  • 김광옥 / 수원대학교 / 교수
  • 윤병철 / 효성여자대학교 / 교수
  • 정대철 / 한양대학교 / 교수
  • 조맹기 / 서강대학교 / 강사
연구기간 1993-01-01 ~ 1993-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우리나라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조선조 사회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그 변화과정을 고찰하고자 함. 

 

 

 연구 배경

 

 서구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소개와 적용이라는 학문적 현실에서 벗어나, 우리의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오늘의 언론에 시사점을 주고자 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연구

 

 

연구 내용

 

1. 조선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제도에 대한 연구

2. 조선시대의 언관구조에 관한 연구

3. 교서-윤음에 대한 연구

4. 대항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조선조 참여고

5. 후기 조선조사회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분화

6. 개화기 언론과 개혁운동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朝鮮時代의 커뮤니케이션 形態 硏究
 2) 朝鮮時代 敎書·綸音에 관한 硏究
 3) 朝鮮時代 言官構造에 관한 硏究
 4) 朝鮮朝 對抗 커뮤니케이션의 讖謠 考
 5) 조선후기 사회의 커뮤니케이션체계 분화 과정 
 6) 開化期 言論과 改草運動

연구결과

- 조선조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사상과 형태를 도출하고, 조선 사회의 변화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밝힘.

- 조선조의 커뮤니케이션 사상, 형태, 정치사회적 관계 등을 통하여 우리의 전통적 언론관을 밝히고 그것이 오늘의 언론 현실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봄.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