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2-교육윤리-6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도성달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2-01-01 ~ 1992-12-15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주로 인지적 접근법에 의존해온 종래의 도덕교육방법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도덕적으로 자율적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새로운 도덕교육방법을 사회윤리적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것임.
연구 배경
도덕적 인간이란 도덕적 지식과 도덕적 실천력을 지닌 자율적 인간을 의미한다고 보면, 우리의 학교 교육에서 도덕교육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도덕적 지식(도덕규범에 대한 추론 능력)의 함양은 물론 도덕적 실천력을 배양하는 데 실패했다고 할 수 있음. 도덕행위의 실천 의지는 개인의 도덕적 지식·신념 뿐만 아니라 도덕성의 사회적 요인(제도, 구조, 정책 등)도 간과될 수 없는 요소이므로, 도덕 교육은 사회윤리적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할 적실성이 있음.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 연구 및 조사 연구
연구 내용
- 사회윤리의 이론적 정립 - 도덕성의 사회적 요인과 도덕 교육과의 관계 - 현행 초·중등학교 도덕교육의 문제와 실상 분석 - 새로운 도덕 교육 방법론의 탐구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