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92-교육윤리-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길상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2-01-01 ~ 1993-05-24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2차대전 말기와 해방직후 미국의 대한교육정책을 국내여론 동향과의 관련 하에서 분석함으로써 한국 현대 교육사 연구의 기초를 형성한다.
연구 배경 1940년대의 국내 여론이 정책 결정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용할 자료는 미국문서 보관서 문서 중 국내 여론조사보고서, 국내 신문기사, 기타 해방 전후 국내문제에 관한 연구 결과 등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연구
연구 내용 1. 해방 직전 국내여론에 대한 평가와 미국의 한반도 통치 계획 2. 해방 직후 여론 동향과 미국의 교육 정책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Ⅰ. 여론과 교육 Ⅱ. 해방 직전의 여론과 미국의 대한정책구상 Ⅲ. 해방 직후의 여론과 교육 Ⅳ. 미군정 후기의 여론과 교육 Ⅴ. 결론 |
||
연구결과 | 첫째, 미국은 2차 대전의 종전 이전에 한국에 관한 다양한 정보의 수집과 분석을 시도했으며, 특히 종전 이후 한국인들 사이에 나타나게 될 잠재적 여론의 동향에 대한 분석을 주의깊게 수행하였다. 둘째, 해방 직전에 행한 여론 분석을 통해서 미국은 한반도에는 종전과 함께 일정 기간의 정치사회화를 위한 예비 단계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결론에 도달하였고, 이러한 점령의 명분과 목표의 설정은 정치사회화의 한 수단으로 교육을 자리매김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해방 직후의 여러가지 교육정책은 그 내용면에 있어서나 수행과정상에 있어서나 여론 조작을 통한 점령의 정당성 확보라고 하는 정치적 목표달성의 수단으로서의 성격이 매우 강하였다. 넷째, 1947년 이후 미국은 한국교육 개혁을 위한 적극적인 개혁과 지원을 시작하였다. 한국인들의 정신세계에 대한 투자가 이제는 더 이상 모험이 아니었다는 확신을 여론 분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