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교육윤리-4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사회병리의 진단 및 처방 연구
  • 영문 :
연구책임자 이서행
공동연구자
  • 강광식 / 본원 / 교수
  • 전택수 / 본원 / 부교수
  • 박병련 / 본원 / 부교수
  • 황경식 / 서울대학교 / 교수
  • 송호근 / 서울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4-01-01 ~ 1994-12-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제반 병리적 요인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을 주요 분야로 모색함으로써 새로운 미래 창조를 위한 정책기반의 학리적 근거를 제시한다. 

 

연구 배경

 - 새정부의 개혁정책에 따른 한국병 치유방안 모색을 위한 학문적 뒷받침

 - 산업사회 진전에 따른 한국사회 제분야의 체질전환 방향 모색

 - 개방화와 국제화를 지향한 새로운 시대 조류에 적응하기 위한 방안의 체계적 모색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연구 및 전문가 워크샵

 

연구 내용

1. 한국사회의 병리적 현상의 역사적·사회적 연원에 대한 헤게적 진단

2. 분야별 병리현상의 특징적 양상 및 그 유기적 메카니즘 분석

3. 분야별 병리현상의 치유방안 모색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Ⅰ. 서론

 

Ⅱ. 사회병리에 대한 이론적 접근

 

Ⅲ. 한국사회 병리현상의 원인 및 실태

  1. 정치·행정 분야

  2. 경제·기업 분야

  3. 교육분야

  4. 언론분야

  5. 종교분야

  6. 외료분야

 

Ⅳ. 병리현상에 대한 극복방안 모색

 

Ⅴ. 결론

연구결과

1. 한국사회병리의 진단 및 처방에 관한 연구의 목적

2. 사회병리의 개념정의 및 연구의 기본시각

3. 한국사회의 병리현상 사례와 선행연구 현황

4. 한국적 사회병리의 원인진단, 한국인의 경제의식 시민공동체 구축방안, 노사갈등 극복방안, 관료제의 병리 극복방안

참고문헌

정문연, 「정신문화연구: 한국 사회의 병리진단」, 1990

조영재, 「한국의 서정쇄시론」, 율성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89

현대사회연구소, 「사회정화 추정연구」, 1984

이서행, 「한국사회 부정부패 구조의 원인과 그 실패」, 1991

하이펜하이어 편저, 김중위역, 「전력과 무패」, 한벗, 1982

김해동, 「한국 공직사회부패의 토양과 그 통제방안」, 사회정화위원회, 1982

Abueba, J. , "The Contribution of nepotism, Spoils and graft to Political development", in A. Heidenheimer(ed. ), Political corruption, 1970

Brasz, H. , "Sociology of Corruption", in A. Heidenheimer, 1978

Michael Clarke, "Corruption", 1983

H. I. Mansukhani "Corruption and Public Servants", 1979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