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교육윤리-2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시대 의례자료 체계화 - 조선시대 祭儀연구의 사회과학적 접근 -
  • 영문 :
연구책임자 정순우
공동연구자
  • 허창무 / 본원 / 교수
  • 김필동 / 충남대학교 / 부교수
  • 지두환 / 국민대학교 / 부교수
  • 안호룡 / 국방연구원 / 선임연구원
연구기간 1994-04-01 ~ 1995-03-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의례관련 연구를 체계화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민간 제의의 사회사적 의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기존의 예학에 관한 연구는 주로 역사학 분야에서 당쟁사 중심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조선조의 제의는 사회통합의 기재로서, 혹은 문화형성의 한 촉매로서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더욱 크게 담당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변동과정에서 의례가 담당한 역할이 무엇이며 그 존재양태는 어떠하였는가를 중점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개년 사업의 제 1차년도에 해당한다. 제 1차년도는 士大夫계층을 중심으로 유가사회 집단의 儀禮活動을 살펴보고, 제 2차년도는 평민층을 중심으로 한 기층집단의 民間祭儀를, 제 3차년도는 한국문화에 내재한 佛家 및 道家的 양식의 儀禮에 관해 체계화한다. 

 

연구 배경

 본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우선 1부에서는 조선조 의례의 존재양태를 구명하고자한다. 존재양태를 구명하기 위해서 연구영역을 구분하여 우선 가문, 문중을 중심으로 한 동리단위에서의 의례, 수령관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군현단위에서의 의례, 마지막으로 국가단위에서의 전례를 고찰한다. 다음 제 2부에서는 의례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예로 의례의 교육적 기능, 혹은 사회통합적 기능 등을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구명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연구

 

연구 내용

 일차년도의 개략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를 통해 의례는 조선조 사회의 통합과 해체의 가장 중핵적인 요인이었음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1. 조선조 의례의 존재양태

  가. 가문 문중 중심의 민간제의

  나. 군현 단위에서의 의례

  다. 국가단위에서의 의례

 2. 조선조의례의 사회문화적 기능

  가. 조선조제의의 교육적 기능

  나. 조선조제의와 사회통합

  다. 조선조제의와 사회변동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본 연구는 유가사회의 의례중 특히 제의에 관한 자료조사 및 이에 관한 해제작업을 실시하였다. 특히 규장각 및 장서각 소장의 문집 중에서 의례관련 자료를 총 목록화 하였다. 

참고문헌

지두헌, 조선전기 국가의례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89.

김필동, 조선시대 계의 구조적 특성과 그 변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89.

김의숙, 한국민속제의의 형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1990.

안호룡, 조선전기 상제의 변천과 그 사회적 의미,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89.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