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교육윤리-1
연구과제명
  • 국문 : 「민국여지승람」 편찬을 위한 기초연구
  • 영문 :
연구책임자 이계학
공동연구자
  • 유광호 / 본원 / 교수
  • 박병련 / 본원 / 부교수
  • 박동준 / 본원 / 조교수
연구기간 1994-01-01 ~ 1994-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민족지학은 한 민족의 삶의 모습과 삶의 환경을 총체적으로 여실하게 드러내려고 노력하는 학문이다. 이런 민족지학적인 안목에서 보면 조선시대 성종 12년, 서기 1528년에 편찬된 「東國輿地勝覽」 전 50권과 서기 1528년 조선시대 중종 23년부터 3차의 수정보완을 거쳐 1530년에 전 55권으로 편찬된  「新增東國輿地勝覽」은 조선시대 우리민족의 삶의 모습과 삶의 환경을 여실하게 드러내 주고 있는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이 자료는 조선시대 우리 민족의 삶의 모습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창구의 구실을 하고 있다. 또한 지방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자료이다. 그러나 그 후 464년이 다가오는 지금까지도 우리 민족의 삶의 모습과 삶의 환경을 드러내주는 범국가적인 사업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는 70년대 이후 산업화로 모든 분야가 급격하게 변모해 가고 있으며, 세계무역제도의 변화로 한국의 사회구조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東國輿地勝覽」의 정신을 이어받아 20세기 말과 21세기 초를 중심으로 우리민족의 삶의 모습과 삶의 환경을 여실하게 드러내줄 수 있는 「民國輿地勝覽」(가칭)을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편찬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놓여있다. 그리하여 우리의 후손에게 우리 민족의 삶의 모습과 삶의 환경을 조감해 볼 수 있는 문화유산을 전해야 하고, 문민시대의 지방화 추세를 맞이하여 애향심을 고취하고, 우리민족의 전통적인 삶의 방식과 삶의 환경을 애호하는 정신을 고양시켜야 할 때이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청과 장기적인 안목에서 연구자들은 각 지방별로 다양한 관점과 편제로서 출간되고 있는 地方誌나 鄕士誌를 「東國輿地勝覽」의 기본정신을 이어받아 민속지학적인 배경 하에서 학제적인 접근방법으로 민족여지승람의 편찬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 배경

 20세기 말 한국인의 삶의 모습과 삶의 환경을 총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표준화된 자료는 시대적 요청이다. 따라서 문민시대를 맞으면서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사업」과 「구비문학대계사업」에 상응하는 거원적 사업으로 이 「만국여지승람 편찬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본원의 위상에 걸맞는 사업으로 판단하였다.

 금년도에는 「민국여지승람」의 세부편찬 모형의 개발을 위하여 「민국여지승람」을 편찬하는 데 필요한 관련자료를 분석하고 체계화하는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민족지학적인 안목에서 학제적인 접근방법을 통해서 「민국여지승람」의 편찬방침과 편찬내용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각 학문 분야별로 자료를 수집하여 체계화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방안을 모색한다. 이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야별 전문가를 동원한 수차의 워크샵을 통해서 편찬내용과 자료수집 방법 및 기술방법에 대한 연구를 추진한다.  

 그리하여 「민국여지승람」의 편찬방침과 세부 편찬내용을 체계화하고, 연구방법을 분야 별로 체계화하여 최종 보고서를 작성한다. 

 

연구 내용

기초연구: 4인이 수행

연구분야

- 역사/인물 분야

- 지리/환경 분야

- 종교/신앙 분야

- 정치/행정 분야

- 경제/산업 분야

- 사회/민속 분야

- 교육 분야

- 기타(사전편찬 전문가)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3. 연구방법

  4. 연구의 의의

 

Ⅱ. 민국여지승람의 체제 탐색

  1. 선행연구의 분석

    1) 대한지지편찬연구의 분석

    2) 조선시대읍지의 성격과 지리적 인식에 관한 연구분석

    3) 민속학과 민속지의 체계의 구상

    4) 민속학과 문화인류학적 고찰

  2. 관련자료의 분석

    1) 세종지리지 및 동국여지승람의 체제분석

    2) 군지와 읍지의 체제분석

      - 시흥군지의 분석

      - 과천읍지의 분석

      - 밀양지의 분석

      - 안산읍지의 분석

      - 충청북도지의 체제

      - 백과사전 군지체제 분석

  3. 분석결과의 요약

  4. 민국여지승람의 성격과 구성체계

    - 체제의 성격 -------- 삶중심의체제

    - 승람체계의 골격 --- 삶의 세차원(시간/공간/인간) 및 역동

 

Ⅲ. 승람체제의 내용체제

Ⅳ. 생활 영역별 조사방법

Ⅴ. 민국여지승람의 기술방법

Ⅵ. 연구결과 및 결론

연구결과

 가칭 「민국여지승람」 편찬을 위한 체제분류 및 내용분류 체계화를 하였고, 내용 조사 및 연구방법론을 제시했으며, 기술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에 앞서 지지편찬의 선행연구물을 분석하고, 지지편찬을 위한 내용 분류체제의 이론적인 근거를 살펴보았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